연필깎이

2347704.jpg
한국 내 회전식 수동 연필깎이 중 가장 대중화가 잘 된 티티경인[1]의 하이샤파 연필깎이

1 개요

말 그대로 연필을 깎는 도구. '연필깎기'라고도 쓰지만 '연필깎이'가 표준어이다.[2] 연필기나 연필이는 틀린 말. 생각보다 자주 틀린다. 깍다 항목 참고.

필기구로서 연필을 쓰지 않는다면 자연히 연필깎이도 쓸 일이 없어진다. 미술 관련으로 4B 연필을 쓰더라도, 무조건 뾰족하게만 깎는 연필깎이를 쓰는 것이 오히려 번거로울 때가 많아서 보통은 칼로 깎는다. 대개는 초등학교 졸업을 전후로 샤프를 잡게 되면서 인연이 사라진다.

연필을 연필깎이(혹은 커터칼)로 깎은 후에 나온 시체찌꺼기를 연필밥이라고 한다.

홀더 펜슬의 경우는 연필깎이와 비슷하게 심을 날카롭게 하는 심연기가 있다.

2 종류

  • 칼: 주로 커터칼이나 문구점에서 파는 작은 접칼을 쓴다. 어린이가 다루기엔 위험하고, 어른에게도 잘 깎기가 쉽지 않고 번거로워 필기용으로 연필을 쓸 때는 그냥 연필깎이도 함께 산다. 깎을 때 대개 연필의 옆면이나 모서리를 따라서 깎기 때문에 나무껍질을 떼어낸 것과 같은 모양의 연필밥이 나온다.
  • 사포: 나무를 칼로 깎은 뒤 연필심이나 연필촉[3]을 문질러 다듬는다. 용도에 따라 심을 여러 모양으로 만들어 쓰기도 하는(예컨대 직선을 그을 때는 일자 드라이버 모양으로) 제도용 연필은 CAD가 보급되기까지 오랫동안 이 방법을 사용했다. 제도용으로 심의 굵기가 얇은 연필을 원한다면 연필을 손에서 굴리면서 갈면 된다.
  • 소형(또는 휴대용) 연필깎이
원뿔 모양 홈의 한 면에 칼날이 붙어 있어, 이 홈에 연필을 넣고 돌려 깎는 것. 크기가 작아서 '휴대용'이라고도 부른다. 정말 '휴대용'으로 쓴다면 관리를 잘 해주어야 흑연 가루나 연필 부스러기 때문에 주위가 더럽혀지는 일이 없다. 칼날이 무디거나 연필이 시원찮으면 잘 안 깎인다고 연필을 힘주어 밀어넣다가 심을 부러뜨리기 쉽다. 연필밥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길게 나오는데, 깎는 도중에 이를 끊고 빼면 종종 연필촉의 한 면이 거칠어진다.
  • 기계식(또는 회전식) 연필깎이
연필을 넣고 손잡이를 돌려 깎는, 일반적으로 '연필깎이'라 하면 연상하는 것. 개량형으로 칼날을 조정해서 깎고 난 뒤의 연필심을 제도용, 필기용, 미술 스케치용 등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달린 기기도 있다. 제대로 된 제품은 튼튼하기도 하고 조금 날이 무뎌졌어도 손잡이를 더 많이 돌리면 큰 문제 없이 쓸 수 있어서 수명이 꽤 길다. 다만 비틀리게 깎여 심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편축이 문제. 원통형의 새 연필을 깎을 때 비틀림이 두드러진다. 연필밥은 연필깎이가 외날이냐 양날이냐에 따라 다른데, 외날은 회오리 모양으로 나오고 양날은 뭉툭한 지우개똥과 비슷한 모양으로 나온다.
  • 전동 연필깎이
연필을 넣기만 하면 자동으로 깎아준다. 연필을 넣으면 이걸 인식해서 자동으로 깎는 것과, 연필을 넣은 뒤 따로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뉜다. 자동으로 멈추는 기능이 없는 것은 잘못하면 연필을 죄다 깎아버려서 새로 산 연필을 순식간에 몽당연필로 만드는 기적을 발휘한다.

3 대중매체에서

검정 고무신에서 등장하지만 시대상으로 한국인들이 연필깎이를 처음보기 때문에 무엇을 하는 물건인지 궁금해하다가 이오덕이 연필을 넣고 깎으면서 용도를 알게되고 이기영이 학교에까지 들고가서 자랑을 하게 된다. 이걸로 양희준이 질투를 느껴서 어머니에게 사달라고 격하게 조르다가 아버지로부터 알몸으로 밖에 나가있는 벌을 받은 적이 있다.
  1. 구 경인상사. 티티파스로 유명한 업체다.
  2. 단, '연필을 깎는 행위' 그 자체를 가리킬 땐 연필 깎기가 맞다.
  3. 흑연으로 된 부분과 나무의 속살이 드러난 부분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