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고라인

1 개요

누군가의 말에 따르면 그런 거 없다고 한다 [1][2]

'영원히 고통받는 라인'프로토스의 줄임말.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다섯 명이 한 팀을 이루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나머지 네 명은 죽을 쑤는 가운데 유독 한 명의 플레이어만 분발하는 경우 그 한 명의 플레이어를 가리켜 영고라인이라고 부른다. 영원히 고통받아라

'영원히 고통받는 XX' 같은 단어는 녹턴의 대사에서 유래했다는 둥 여러 설이 있으나 사실 합필갤의 작품인 '영원히 고통받는 심영'에서 유래한 것이 맞다. 그 후에 롤갤, 정확히는 롤갤 방송 내에서 해당 패러디를 알던 몇몇 유저를 중심으로 쓰이던 표현이었으나 다른 롤갤발 유행어가 그렇듯이 은근슬쩍 롤판 전체에 퍼지게 되었다.

사실 윗 단락에서 나온 개념 자체는 다른 다인전 스포츠에서도 쭈욱 있어 왔다. 스타크래프트만 해도 소년가장, 청년가장등 팀을 거의 혼자 힘으로 떠맏다 하는 선수들이 있기도 했고.

그러나 이 표현이 폭넓게 대중적으로 사용된 것은 역시 최인석 선수부터이다. 그런데 한국인 전반적으로 가장 유명한 영고라인은 역시 류현진이 있겠다. 당시의 그는 소년가장이라는 말로는 표현하기 부족한 끔찍한 고통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당시가 언제냐고? 안알랴줌 이런 식으로 이 표현이 퍼져나가 횡이동, 횡이동을 거듭하여 젊은 세대의 루저 정서를 반영하는 보편적인 표현이 될 지도 모른다.

물론 진지하게 따지고 들어가면 개인전인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와 달리 리그 오브 레전드는 팀스포츠이기 때문에 이런 표현[3]을 비판하는 프로 및 전문가들도 있다. 알렉스 이치는 시즌 2 당시부터 롤이 팀스포츠임을 크게 강조했으며, 클템은 영고라인이란 없다면서 정면으로 비판했는데, 캐리롤을 맡는 선수들이 그만큼 골드 및 기타 자원투자와 나머지 팀원들의 희생을 동반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물론 특정 선수 한 명의 교체로 팀파워가 확 상승하는 일이 잦은 것을 보면 롤에 개인의 잘못이 없다고 여기기도 쉽지는 않다. 다만 이것은 그 플레이어가 팀원 및 코치의 판단에 의해 새로운 선수로 교체되고 나서야 보다 공정하게 평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위 '특정 선수가 슈퍼플레이를 자주하는데 팀원들이 무력해서 진다'는 LOL 영고라인의 한눈에 띄는 대체적인 판단기준에 대해서는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4][5] 오히려 정말 고통받았다고 모두가 합의하는 프로겐, 비역슨, 포벨터의 경우 아무도 롤챔스 소속이 아니며[6] 정말 장기간의 검증을 통해 영고라인이라는 이미지가 확립된 것.

다만 이것을 눈에 보이는 개인의 화려한 플레이와 실질적인 팀에 대한 기여도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해야지, 모든 팀스포츠는 개인 단위로 따지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식으로 오해하면 매우 골룸하다. 야구의 경우 투승타타라는 표현이 얼마나 매니아들 사이에서 비웃음의 대상인지 생각해보면 팬들의 눈으로는 개인의 퍼포먼스를 정확히 평가할 수 없다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적절하다. 특히 KDA, DPM 등 롤판의 각종 어설픈 통계는 해석하기 매우 어렵고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증폭시킨다. 언급한 야구의 경우 세이버매트릭스를 통해 선수의 퍼포먼스를 팀으로부터 분리해내는데 큰 성과를 보았기 때문에 커리어가 나빠도 얼마든지 최상위 선수로 인정받을 수 있고[7][8] , 야구보다는 롤과 상황이 좀 더 비슷한 농구의 경우도 팀 커리어가 곧 선수 실력이라고 우기면 큰 비판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국내 LoL 판에서도 데뷔 후에 우승컵을 3개 들고 섬머시즌 팀을 나락으로 이끌었던 모 선수의 등장 덕분에 팀 커리어=선수 실력을 주장하는 어그로들은 이제 전부 박멸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여담으로 영고라인 가입 조건은 이 표정을 짓는 것이라 카더라.

어쨌든 이 문서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영고라인을 주로 서술한다.그 외에 리메이크 되기 전 시비르도 이 라인에 포함되기도 한다. 지금은 영고라인 탈출

영고라인 이외에도 말 그대로 죽지도 못하고 영원히 고통받는 캐릭터들에게도 쓰이기도 한다.

한때 국내파 현역 멤버 6명 중 4명이 IM 소속일 때도 있었다. 하지만 라샤는 건강이 나빠져 은퇴했고 파라곤은 플레잉 코치로 전향, 쿠로는 나진 소드로 이적, 라일락은 부진하면서 IM 멤버가 한 명도 남지 않았다. 그리고 그 국내파 멤버의 빈자리는 SKT 미드라이너들이 차지했다가 다시 IM으로 돌아왔다 새로운 iM 신입멤버 프로즌이 들어왔다 이제는 뱅도 넣어야 할듯... 그 뱅 우승했는데?

2 탈퇴 방법

탈퇴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2.1 가입안하는 방법

  • 복면가왕에서 2연승이상을 한다 특히남자
  • 남들보다 좋은 성적을 낸다

3 예시

영고라인/예시 참조.

4 관련 문서

  1. 스타크래프트나 테니스 같은 1대1 스포츠가 아닌, LoL 같은 5대5 팀 스포츠에서는 사실 이게 정답이며, 결코 근거없는 말이 아니다. 아래 내용을 보시라. 비역슨 항목도 참조해보면 좋다.비역슨 옐로우스타 재평가중이라는데요?
  2. 다만 사례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플레이어들 간의 개인기량 편차가 크고 연습량이 적으며 팀플레이 완성도가 낮은 해외리그에서는 영고라인이 꽤 타당성을 갖기도 한다. 눈에 보이는 화려한 플레이와 실제 팀 기여도가 100% 일치하지 않는 것은 해외도 마찬가지기는 하지만 '영고라인이 없다'라는 강한 발언은 롤챔스에서만 타당하다고 볼 수도 있다.
  3. 영어권에서는 ELO Hell이라는 표현이 영고라인을 주로 대체한다.
  4. 사실 슈퍼 플레이를 즐겨 하는 선수들의 특징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이라는 것이다. 전성기 인섹이 대표적인데 화려한 플레이를 많이 했고 하이라이트 필름을 많이 찍기도 했지만 그만큼 던지기도 많이 했다. 당시 KT의 멤버는 결코 나쁜 수준이 아니였다는 것. 오히려 막눈이 나간 불안한 나진에게도 많이 패하며 그런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 전성기 페이커가 인정받았던 이유는 슈퍼 플레이를 많이 하지만 그만큼 실수가 적었다는 것, 그리고 그 플레이로 팀이 우승하는데 공헌을 했다는 점이다. 스포츠에서 우승을 못한 선수는 결코 최고라 인정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5. 대표적으로 NBA의 크리스 폴. 안정적인 경기 운영에 득점력, 수비력, 패스, 드리블 다 갖춘 선수이지만 우승은 커녕 컨퍼런스 파이널도 못갔고, MVP 역시 한 번도 타지 못했다. 제이슨 키드는 말년에 버스타며 우승을 하긴 했지만 그 전 팀을 파이널 까지 올린 경험이 있으며, 스티브 내쉬는 백투백 MVP를 탔다.
  6. 즉 상대적으로 선수풀이 좁고 팀플레이가 덜 빡빡한 해외리그의 이야기라는 것이다.
  7. 과거 커리어를 보면 대표적인 경우가 세이버매트리션에 의해 재평가된 버트 블라일레븐과 같은 선수들, 현재로 보면 범가너와 달리 우승이 없는 커시진커쇼나 리긴스와 디포토의 유산에 고통받는(...) 트라웃 등이 있다.
  8. 다만 야구계에서도 팀에 가려진 개인의 실력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은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골든글러브에서 우승 프리미엄이라는 이유로 애먼 사람이 상을 받아가는 경우가 매번 나오는 것을 생각해보라.
  9. 물론 기존에 있던 팀보다 더 나은 팀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