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The-young-bucks-960x600.jpg
2014년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태그팀 | ||||
더 쉴드 | → | 영 벅스 | → | 영 벅스 |
2015년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태그팀 | ||||
영 벅스 | → | 영 벅스 | → | 미정 |
목차
1 프로필
width=100% | |
맷 잭슨(왼쪽, 형)과 닉 잭슨(오른쪽, 동생) | |
팀이름 | 영 벅스(한국어) The Young Bucks(영어) |
구성원 | 닉 잭슨(Nick Jackson) 맷 잭슨(Matt Jackson) |
신장 | 178cm[1] |
몸무게 | 총합 159kg[2] |
데뷔일자 | 2004년 8월 8일 |
소속 | 신일본 프로레슬링, ROH, PWG |
스테이블 | 불릿 클럽 |
관련사이트 | 맷 잭슨 width=24]] 닉 잭슨 width=24]] width=24]] |
테마곡 | Shot'Em, Double Barell |
2 이력
2.1 HRW(High Risk Wrestling)
2004년 10월 맷 잭슨은 가족의 도움을 받아 인디 프로레슬링 단체인 HRW를 만들었다. 그의 동생인 닉 잭슨과 말라치, 자신의 친구인 더스틴 커틀러의 도움을 받았고 그 세명은 몇 년 후 HRW 저작권을 가지게 되었다. 브랜던 커틀러와 소니 샘손은 링 밖과 안에서 HRW의 핵심인물로서 활약한다. HRW는 2달에 한 번 쇼가 진행됐고 닉 잭슨과 맷 잭슨은 본격적으로 자신의 기술을 만들기 시작했다. HRW는 캘리포니아 업랜드, 빅토빌레, 헤스페리아에서 여러번 성공적인 쇼를 운영했다. 가장 성공한 이벤트로는 2007년 8월 4일 헤스페리아에서 펼쳐진 'Highway 2 Hell'의 메인 이벤트인 맷 잭슨 & 닉 잭슨 & 마티 자네티 팀이 조이 라이언, 칼 앤더슨, 디아블로와의 경기에서 승리했다. 이때부터 마티 자네티는 영 벅스의 트레이너이자 둘도 없는 친구가 되었다.
2005년 2월 26일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에서 처음으로 영 벅스를 결성한 후 정식적으로 경기를 치르기 시작한다. 초창기 맷 잭슨은 '미스터 인스턴트 리플레이'의 이름을 사용했고, 닉 잭슨은 '슬릭 닉'으로 데뷔했다. HRW 데뷔전에서 카오스와 몽골 산티노 형제를 꺾고 승리를 거뒀다. '잭슨'이라는 각본상 성은 마버릭 텔레비전(Maveric Televison)에서 방영된 NWA 쇼케이스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HRW가 상승세를 타면서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유명한 단체 중 하나로 성장했다. 2006년 11월 7일 NWA 무대에서 처음으로 방송무대를 데뷔했다. 데뷔전 상대는 칼 앤더슨과 조이 라이언을 상대로 승리했다. 이후 NWA에서 활동하는 동안 카메라 앞에서 좋은 경험을 얻었다. NWA는 영 벅스를 책임지면서 텍사스, 네바다, 로드 아일랜드, 뉴 저지 등 여러 주에서 데뷔하게 된다. 영 벅스는 컬러우스 TV(Colours TV)에서 방영중인 NWA 쇼케이스에 지금도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2.2 PWG(Pro Wrestling Guerrila)
2007년 6월 10일, 영 벅스는 벌뱅크에서 펼친 'Roger Dorn Night'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에로겐스(크리스 보시, 스캇 로스트)에게 패배했다. 2007년 8월 31일, 같은 장소에서 펼쳐진 '2007 배틀 오브 로스앤젤레스 토너먼트'에서 피닉스 스타, 조크레, 로스 루차스를 꺾고 PWG에서 첫 승리를 거둔다. PWG에서 영 벅스는 드래곤 게이트 소속 레스러인 시마와 에이전트인 오지 사토시를 처음으로 만났다. 그들은 영 벅스의 경기력에 감동 받아 2008년 1월 5일 '올스타 위캔드 6' 1일차에서 드래곤 게이트 팀인 무슬 아웃로우즈(도이 나루키, 유시노 마사토)를 상대로 패배했지만 인상적인 경기력을 새겼다. 다음 날에는 다이나스티(스캇 로스트, 조이 라이언)을 상대했지만 패배했다. 1월 27일, 처음으로 PWG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차지하게 되지만, 다이나스티에게 다시 한 번 패배를 맛보게 되었다.
두 달 후 영 벅스는 '2008 DDT4' 자격선발 시리즈에 참가했다. 로닌 스카이와 스콜피오 스카이의 경기를 상대로 승리했다. 이후 로스 루차스와 비기게 되었다. 이후에 영 벅스는 처음으로 드래곤 게이트 투어에 참여하기로 됐고 마침내 2008년 7월 6일 PWG 15주년 기념 쇼에서 카즈마 & 미야자키와 다이나스티를 상대해 승리를 거뒀다. 이때 처음으로 다이나스티를 꺾었다는 점에서 의미는 배가 되었다.
2008년 8월 31일 '올스타 위캔드 7' 2일차 경기에서 지미 재콥스와 타일러 블랙을 꺾고 새로운 PWG 월드 태그팀 챔피언이 되었다. 영 벅스가 PWG에서 이뤄낸 최고의 업적 중 하나인 DD4 태그팀 토너먼트에서 커틀러 형제(더스틴 & 브래던), 케니 오메가와 척 테일러, 하이브리드 돌핀스(대닐손 브라이언 & 로데릭 스트롱)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2009년 6월 1일 영 벅스는 PWG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최장 보유 기록을 세우게 된다. 태그팀 챔피언이 된 이후 많은 지지를 얻은 영 벅스는 세계투어를 하기 시작한다. 2009년 7월 31일 PWG 16주년 기념 '쓰리멘더스 2'에서 부상을 입게 되면서 16개월 동안 공백기를 맞이하게 됐고 논 타이틀 매치에서 블랙 가이즈(엘 제네리코 & 휴먼 토네이도)에게 패배했다.
3 피니쉬 및 주요기술
3.1 태그팀 피니셔
- 멜처 드라이버[3] : 스프링보드 450 스플래시/툼스톤 파일드라이버 콤비네이션
- 인디테이커 : 멜처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툼스톤 파일드라이버이지만 한 명이 스프링보드를 이용하여 스파이크만 넣어주는게 멜처 드라이버와의 차이.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그 분 + 인디 단체에서의 활동 경력
3.2 맥 잭슨 피니싱 무브
3.3 닉 잭슨 피니싱 무브
450도 스플래시
4 경력
여러 인디단체를 뛰다보니 경력도 꽤나 많다. 그래서 단체별 경력으로 쓰려고 한다. 만약 많다고 느껴진다면 따로 하위 문서를 만들어도 된다.
- 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 5회(현재 보유중)
-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 2회
- 2013 슈퍼 주니어 태그팀 토너먼트 우승
-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PWG 월드 태그팀 챔피언 4회(현재 보유중)
- 2009년 다이너마이트 둠비레이트 태그팀 타이틀 토너먼트 우승
- 2011년 다이너마이트 둠비레이트 태그팀 타이틀 토너먼트 우승
- 2013년 다이너마이트 둠비레이트 태그팀 타이틀 토너먼트 우승
드래곤 게이트 USA
- 오픈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트 챔피언 1회
DDT 프로레슬링
- 아이언맨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Socal Uncensored
- 2011년 올해의 남부 캘리포니아 매치
- 2012년 올해의 남부 캘리포니아 매치
- 2013년 올해의 남부 캘리포니아 매치
- 2007년 ~ 2009년 올해의 남부 캘리포니아 태그팀
- 2014년 ~ 2015년 올해의 남부 캘리포니아 태그팀
스쿼드 서클 레슬링(Squared Cricle Wrestling)
- 2CW 태그팀 챔피언 1회
- SCW 태그팀 챔피언 1회(현재 보유중)
시카라(Chikara)
- 캠페나토스 데 파라자스 1회
얼터너티브 레슬링 쇼(Alternative Wrestling Show)
- AWS 태그팀 챔피언 1회
엠파이어 레슬링 페더레이션(Empire Wrestling Federation)
- EWF 태그팀 챔피언 1회
인세인 레슬링 리그(Insane Wrestling League)
- IWL 태그팀 챔피언 3회
패밀리 레슬링 엔터테이먼트(Family Wrestling Entertainment)
- FWE 태그팀 챔피언 1회
퓨처 스타즈 오브 레슬링(Future Stars of Wrestling)
- FSW 태그팀 챔피언 1회
프로레슬링 데스티네이션(Pro Wrestling Destination)
- PWD 태그팀 챔피언 1회
하우스 오브 글로리(House of Glory)
- HOG 태그팀 챔피언 1회
- 2013년 HOG 태그팀 챔피언 토너먼트 우승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Wrestling Observer Newsletter)
- 2014~2015년 올해의 태그팀
- 2016년 5성 매치
- 2009년 최고의 기술(모어 뱅 포 유얼 벅)
- 2014년 최고의 기술(멜쳐 드라이버)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드(Pro Wrestling Illustrated)
- 2015년 PWI 500인 선정 올해의 레슬러 49등 - 닉 잭슨
- 2016년 PWI 500인 선정 올해의 레슬러 46등 - 맥 잭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