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정구역

행정구역명 도를 찾는거면 도(행정구역)문서로.

2 동양철학의 주요개념

말 그대로 (the Way)이라는 뜻. 법칙, 방법, 법도 등을 뜻한다. 예를 들자면, 을 잘 휘두르는 방법은 검도(劍道), 즉 검의 길이다.

도(道)라는 개념을 실체(substance), 본질(essence) 등과 같은 서양철학의 초월적 개념과 동일시하면 심각한 오류가 생기니까 조심해야 된다. 도는 불변의 초월적 원리가 아니며, 계속 변화하고 생동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원리를 뜻한다.

노자의 주역에서는 '도(道)란 보이지도 않고 형체도 없으며 언어로 서술할수도 없다' 고 하였다. 심지어 "도를 도라 한다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도가도 비상도)."[1]라는 말도 있을 정도로 도란 설명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도는 어디에나 동시에 존재하며 만물의 생장,소멸,인과 등을 관장한다. 그리고 이 도가 사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된것이 바로 리(理)다.

또한 노자는 도덕경에서 도는 우주[2]를 의미하고, 은 그 '도'가 작용하는 원리를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라고 전에 서술돼있지만 이것 역시 매우 어긋난 설명이다. 도에 순응하는 행(行)을 덕이라하면 그나마 이전보다는 맞는 설명일 것이다. 아무튼 도는 설명해서 될 일이 아니다. 마치 장님에게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언어로 설명해주는 것과 같다.

노장사상(도가철학)이 독점하는 개념이 아니고, 춘추전국시대 때 두루두루 사용된 일반적인 개념이다. 논어에도 나오는 말이다. 사실 유학자들은 유교를 유교라고 안 부르고 도학(道學)이라고 불렀다. 올바른 길의 학문이라는 뜻.

나중에 불교중국에 들어오면서, 도가철학이 불교와 섞여서 도교(道敎)라는 종교가 만들어지기도 했는데, 여기서 말하는 도는 어느정도 초월적인 개념이다. 그래서 현상계의 인간이 초월계의 도(道)와 합일이 된다는둥하는 소리가 나온 것. 아래 나오는 "도를 아십니까?"는 그런 식으로 이것저것 잡탕이 되면서 생겨난 미신. 사실 종교라고 할 것까지도 없다.

2.1 종교(道)

"도를 아십니까?"와 같은 말을 하며 접근해 오는 상대와는 상종도 하지 말 것이며 눈도 마주치지 말자. 만약 추격해 온다면 그냥 도망치자. 99% 확률로 이 종교가 그 악명높은 순대국밥집대순진리회이다.

간혹 역으로 관심이 많다고 하면 도망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경우 장난이거나 사기꾼일 확률이 높다. 하지만 시험해 보지는 말 것. 잘못 혹했다가는 그 자리에서 몇 십만 원 내고 부적을 태우거나 제사 지내러 가는 수가 있다. 그냥 무시하는게 최고다.

자세한 내용은 대순진리회/전도 참고

반면에 서양에선 정신수양으로 인기가 있다고 한다. 도를 닦아 심신을 안정시키는 컴퓨터 게임까지 있는데, 아마 서양 특유의 물질주의에 대비해 신선하게 느껴지는 점과, 현대에 들어 기독교 신앙의 약화로 유행하기 시작한 뉴에이지와 비슷한 점이 어필한 듯하다. 다만 서양에서 말하는 '도'는 중국의 기수련[3]이나 풍수사상, 점괘 등과 좀더 연관되어 흥밋거리 측면이 강하다.

2.2 도 자가 이름에 붙는 무도

3 한국의 성씨

도(성씨) 문서로.

4 날붙이(刀)

한국어: 칼
영어: sword
일본어: かたな(katana)

'도(刀)'외날의 칼을 일컫는 명칭이며, 반대로 양날의 칼을 일컫는 명칭으로서는 '(劍)'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검 문서를 참고할 것.

중국식 분류 방법으로는 날이 한쪽에만 있는 외날의 칼을 (刀)라고 부르고, 날이 양쪽으로 있는 양날의 칼을 (劍)이라 부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검과 도는 그렇게까지 명확하게 구분되어서 쓰이는 글자는 아니다. 역사적으로 양날의 칼이 도로 불리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외날의 칼이 검으로 불리는 경우도 자주 있다. 때문에 검과 도라는 용어는 생각만큼 딱 잘라 나뉘는 용어는 아니다. 특히 한국어일본어에서는 역사적으로 검과 도라는 용어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쓰이는 경우가 매우 많았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러하다. 고로 무협소설이나 판타지 소설처럼 지나치게 두 도검과 그 검술을 구분하려 드는 것은 역사적 사례 앞에서 반박당하기 좋으므로 유의할 것.

5 윷놀이의 도

우리의 민속놀이 윷놀이에서 윷을 던졌을 때 하나만 뒤집어졌을 경우의 명칭. 말을 한 칸 움직인다.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으나 배리에이션으로 윷가락 중 하나에 표시해서 표시된 윷가락으로 도가 나왔을 경우 뒷도라 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영어 back을 붙여서 '백도'라고도 한다.

6 계이름(do)

계이름

(C, 다)

(D, 라)

(E, 마)

(F, 바)

(G, 사)

(A, 가)

(B, 나)


서양 음악에서 사용하는 7음음계의 첫음이자 장음계의 으뜸음. 전통 음악의 5음음계에서는 '무'에 해당한다. 고정된 음이름으로는 'C'라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다'라고 한다. 피아노 건반으로는 B#과 같은 음을 치게 되지만, 오케스트라에서 쓰이는 현악기 등 음정 조절이 자유로운 악기에서는 미묘하게 달라지므로 같은 음으로 취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한편 조성에 따라 '도'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다'장조라면 흔히 알려진 '도(C)'음이 도가 되지만 '사'장조라면 '솔(G)'음이 도가 된다.

리코더를 불 때 낮은 도를 내려면 모든 구멍을 다 막고 숨을 아주 약하게 내쉬어야 하기 때문에 삑사리가 나기 쉽다. 또한 윗옥타브 솔 이상의 음을 내기 위해서는 운지를 정확하게 하고 숨을 아주 강하게 내쉬어야 하기 때문에, 주로 이 악기를 연주하는 나이인 초등학생과 중학생 때는 이 음을 제대로 내지 못하는 일이 많다.

7 나라 이름(道)

춘추시대에 존재하던 소국으로 지금의 하남성 확산현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江), (栢)과 함께 (齊)와 사이가 좋았다. 이후에는 초(楚)의 영왕 때 심(沈)나라를 비롯하여 도(道) 땅으로 이주하였다는 기록으로 볼 때 (楚)에게 멸망한 것으로 여겨진다.

8 섬(島)

항목 참조. 위에 앉아있으면 섬이다

9 일본어(ど)

[접두어]

1. 정도가 몹시 심함을 나타냄.
2. 상대를 업신여기거나 욕하여 이르는 말.

S나 도근성 등 알게 모르게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앞의 예시는 1번의 의미), 이는 드레드노트급의 일본어 표기에서 왔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드'를 '도'로 발음했기 때문.[4]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보통 '왕', '초', '극'등와 같은 의미의 접두어로 번역된다. '초'변태, '왕'근성 '존나' 등.[5]

10 온도의 단위

예)물은 섭씨 0도에서 얼고 100도에서 끓는다. 기호는 ° 를 쓴다. 540도 돌려차기 온도와 각 모두 '도'로 쓰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개그도 있다. 영어로도 degree로 동일.

아들: 아빠 추워요. 집이 18도에요!
아빠: 그럼 집의 모서리로 가렴.
아들: 왜요?
아빠: 모서리는 90도니까.

회원님의 유머에 무릎을 탁! 치고갑니다. 이런 식으로(?)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 온도에는 º 다음에 섭씨, 화씨 등을 나타내는 C나 F를 붙여 ℃,℉로 쓴다. 윈도에서는 ㄹ + 한자로 입력 가능. 예외적으로 절대온도는 ° 를 붙이지 않고 그냥 K라고만 쓴다. 절대온도 항목에 가보면 알겠지만 켈빈은 영칭도 degree(도)를 붙이지 않는다.

각도의 경우 더 작은 단위는 로, 하위 단위로 가면 시간과도 단위 이름이 같아지게 된다. 영어로도 각각 minute와 second. 기호는 각각 ′과 ″(이 역시 마찬가지로 ㄹ+한자에 있다). 시간과 마찬가지로 60진법을 따라서 3600초 = 60분 = 1도이다. 온도의 경우 더 작은 단위는 부로 나타낸다. (용례로 "아이의 체온이 36도 5분 이다.")
  1. 이 말이 《노자》 1장부터 나오는 말이다. 노자는 친절하게도 자기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1장에 배치했으나, 후대 사람들은 이를 무시하고 저마다 "내가 설명한 도가 진짜 도다!" 드립을 치게 된다(...).
  2. 단, 노자가 말하는 도라는 건 확실히 말할 수는 없는데(도가도 비상도), 노자가 이를 억지로 크다고 하고, 또한 이것은 만물을 다스린다고 하였으니 우주라 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라고 전에 서술돼있었는데 매우 어긋난 설명이다. 이미 어떤 것이라고 가리킨 순간 큰 문제가 생기나, 매우 억지로 표현하면 만물을 아우르는 하나의 근원이자 원리라 하면 이 역시도 매우 틀렸지만 전보다는 조금이나마 가까울 것이다.
  3. '치(Chi)'라고 표기.
  4. 그래서 일본에서는 드레드노트를 '노(弩)'라고 부른다. 이 한자의 독음이 '도'이기 때문.
  5. 다만 관서 지방에서 이미 '도'라는 말을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