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는 총알이 발사되지 않는다

주의. 이 문서는 도시전설을 다룹니다.

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1 의미

총을 쓰려면 총알을 격발시켜야 하는데, 총알을 격발시키려면 화약을 점화시켜야 한다. 화약에 불이 붙으려면 산소가 필요하나 우주는 산소가 없는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총알이 날아가지 않는다는 주장.

2 실제

사실 우주에서, 정확히는 진공 상태에서 총을 쏴도 총알은 아무 문제없이 잘 날아간다. 직접 보자.[1]

탄피 속에는 격발을 위한 모든 것이 준비되어있다. 산화제 역시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대기권에서든 우주에서든 수중에서든 잘 발사된다. 마찬가지로 산화제가 내장된 로켓 역시 그렇다.

탄피속이 밀폐되어있는 구조라서 외부에서 산소가 들어올 방법이 없다. 금속 탄피가 만들어진 이유가 바로 화약이 물에 젖어서 화약이 점화되지 않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화약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폐하기 위함이다. 사실, 현대에 사용되는 화약 중에서 별도의 산화제가 필요한 것은 거의 없다. 심지어 흑색화약도 반응 중에 산소가 생성된다.

격발 시에 탄피가 파손되면서 공기가 유입된다는 주장도 있으나, 정상적인 발사 과정에서는 탄피가 파손되지 않는다. 탄피는 외부의 충격에서 장약을 보호해야 하고, 장약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압도 견딜만큼 강하다. 탄피 파손은 격발불량이나 탄피배출불량, 심지어는 총기 자체의 유폭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상용 탄피의 설계에는 버틸 수 있는 가스압이 반드시 표시되어있고 생산된 탄약은 꼼꼼한 검수를 거친다.

그래서 탄피는 튼튼하게 밀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물 속에서도 총을 쏠 수 있다.[2] 물의 저항 때문에 총탄의 속도는 크게 떨어지지만, 일주일 이상 물 속에 완전히 푹 담가 둔 탄약이 아니면 격발 자체는 문제가 없다.

3 여담

총은 아니지만, 포는 실제로 우주에서 발사된 적이 있다.[3] 소련의 군사용 우주 정거장인 '알마즈'가 바로 그 주인공. 이 우주정거장에는 자기방어를 위해 23mm 기관포가 장착되어 있었다. 심지어 우주 정거장을 폐기할 때가 다가오자 무인으로 이 기관포를 시험발사하기까지 하였다. 물론 발사에 실패하였다는 기록은 그 어디에도 없다.본격 외계인 격퇴하기

사실, 오히려 우주공간에서는 지구와는 달리 총알의 추진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의 저항이 없고, 옆바람처럼 총알의 방향을 엉뚱한 곳으로 바꾸는 요인도 없거나 미약하기 때문에[4] 오히려 유효 사정거리가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우주에선 공기 중과 같이 따로 총알을 막을 게 없으므로 어디 행성같은거에 충돌하지 않는 이상 영원히 날아갈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방해가 없다고 해도 우주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원자들과 부딪혀 결국엔 멈추게 된다[5]. 그리고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이나 태양계 안에서 발사하는 경우 지구나 태양의 중력에 묶여서 일정한 궤도를 따라 움직이게 될 것이다.

미래 우주전에선 총과 포탄, 미사일 등의 탄도병기 일변도인 현대전과는 달리 그 외에도 입자병기, 광학병기 등도 함께 사용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고질량체를 투사하기에 동일 에너지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파괴적이지만, 워프기술이라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착탄까지 며칠이 걸릴 지도 모르는 탄도병기, 질량이 작아 급가속이 유리하여 빠르게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동시에 질량 문제로 충격량이 작고 중력 내지 자기력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동일 에너지에서 탄도무기보다 효율과 파괴력이 밀리는 입자병기, 가장 빠르고 가장 정확하게 나가지만, 동일 에너지에서 효율과 파괴력이 가장 떨어지는 광학병기 각각의 장단점을 헤아려 적재적소에 배치, 상호보완을 꾀한다는 것.[6]

현재도 이미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폐기물들이 가동중인 인공위성이나 유인우주시설 등에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니, 만약 현대전전투기만한 우주 전투기가 도그파이트를 한다면 우주 기관포도 충분히 치명적인 위력을 발휘할 것이며, 심지어 채프를 뿌리는 행위조차 단순히 유도병기를 뿌리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뒤에 붙어 고속으로 추격해오는 적기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가할 수도 있다.

콜 오브 듀티 고스트의 첫번째 미션은 실탄총기를 가지고 벌이는 우주에서의 총격전을 다룬 미션이 있다. 신의 지팡이를 뺏으려는 남미 연방군과 지키려는 미국 우주인들의 싸움이다.
  1. 위 실험은 실제우주가 아닌 진공으로 만든 상자에서 총을 쏘는 것이다.
  2. 물 속에서는 수중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총이 아닐 경우, 말 그대로 쏠 수만 있지 실용성은 거의 없다. 물의 저항이 워낙 커서 총알이 몇 미터도 안 되어 속도를 모두 잃고 바닥으로 떨어진다. 실제로 AK-47같은 경우 고작 2미터도 채 안되어 총알이 바닥에 떨어진 실험결과가 있다. 또한 라이플이나 샷건같은 긴 총열을 지닌 총은 총열 안이 물로 가득 차 있는 경우에 격발하면, 총열이 진흙으로 가득 차 있을때처럼 총열이 가스압력을 버티지 못해 폭발할 수도 있다. 때문에 게임이나 영화 등에서 물 속에서 총을 쓰지 않는 것은 고증 오류가 아니다.
  3. 사실 영미계의 경우 총포 구분은 작동원리가 아니라 구경(20mm 이상 포)에 따라 구분한다. 예컨대 스페이스 마린에게 소화기(小火器) 취급인 볼터가 75구경(19.05mm)로 설정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유래한 것이다.
  4. 중력과 자기력등의 방해가 있을 수 있으나, 총기의 사정거리에서 그런 방해를 실제로 체감하려면 목성처럼 거대한 천체 근방이어야 할 것이다. 현대의 저격수가 염두에 둬야 하는 것보다 정도는 당연히 훨씬 덜할 것이다.
  5. 근데 원자라고 해봤자 교실만한 공간에 수소 원자 한두개정도가 끝이다.
  6. 저항이 거의 없고 가시거리가 엄청나게 길다는 우주의 특성상 교전이 시작되는 거리도 수천~수만km 단위 수준으로 길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급가속이 유리한 입자병기나 탄도의 왜곡이 없고 빛의 속도로 명중하며 계속해서 화력을 집중할수 있는 광학병기의 위상이 급격히 커진다. 하지만 이들은 결국 결정적인 한방이 부족하므로 결국 근접상황에서 발사하는 MAC 등의 매스 드라이버류 병기가 가장 많은 킬 수를 기록할듯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