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연(삼국전투기)

파일:위연 삼국전투기.png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위연을 서술하는 문서.

삼국전투기에서는 반골→反骨→半骨 해서 골이 반쯤 보이는(?) 키카이다로 패러디 되었다.

2 작중 행적

2.1 유표군에서의 행적

황조유표가 연달하 사망하자 대대적으로 남하하는 조조군의 추격을 피해 달아나는 유비를 번성으로 들이자고 문빙에게 제안한다. 하지만 문빙이 거절하자 문빙의 명을 거부하고 유비를 들이기로 결정. 문빙이 포스를 발산하자 문빙과 싸우며 시간허비할 정도로 자신은 바보가 아니라고 말하며 성문으로 향해 문을 개방한다. 허나 유비군은 위연의 말을 무시하고 그대로 남하해버리고 위연의 뒤에는 분노한 문빙의 모습이 나온다.

2.2 한현군에서의 행적

관우가 쳐들어왔을 때 일기토를 고집하는 황충에게 일기토만 고집하는 이유가 뭐냐며 화를 내는 한현에게 이유를 설명한다.

황충이 돌아왔을 때 한현이 황충을 죽이려하자 한현을 죽이고 유비에게 투항한다.

2.3 유비군에서의 행적

2.3.1 낙성 전투

황충과 함께 관우, 장비, 조운에게 밀린 유비군의 2군이라고 표현하는데, 그 때문에 공을 세우기 위해 싸우고 싶어 안달난 모습이 나온다.

방통이 낙성 전투에서 냉포의 영채를 습격하는 척 보이는 페이크로 등현을 유인했을 때 빠르게 움직여 등현의 영채를 점련하고 되돌아온 등현을 사로잡는다.

적극적으로 공성을 주도하던 중 방통이 죽자 후퇴한다.

이후 유순의 지원군이 왔을 대, 유괴를 죽이고 오의를 사로잡는 활약을 펼친다.

사로잡은 장임이 자결하였을 때 슬퍼하는 유비를 보고 장임의 죽음이 많이 애석하신 모양이네요라고 말한다.

2.3.2 이릉 대전

이릉 대전편에서 북쪽의 방어를 담당하고 있다는 언급이 나오며 조운과 함께 등장하는데, 관우, 장비, 황충이 죽어 썰렁해졌다는 조운의 말에 이제 자신들의 시대가 아니냐고 말한다.

2.3.3 가정 전투

자오도를 통해 장안을 직접 타격하는 제안을 내놓고 자신이 자오도로 장안을 향하면 하후무가 달아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양의의 태클에 반박하지 못하는 모습이 나온다.

제갈양이 양의와 위연의 말에 모두 일리가 있다는 말을 하자 모험을 하자며 자신의 주장을 좀 더 펼쳐보지만 제갈양이 맹달의 상용이 없다는 이유로 퍼스트 임펙트를 잃는 모험을 할 수 없다고 말해 거절당한다.

서량이 중립을 지킬 것이며 이에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하겠다는 강유의 말을 어찌 믿냐며 말하지만 제갈량이 믿을만한 정보라고 말하자 수긍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가정으로 자신이 출격하는 줄 알고 있었지만 마속이 출격하자 반발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제갈양이 위연은 비밀병기라 아무때나 나오면 안된다라고 말한다.

마속이 실책을 한 사실을 알게 된 제갈양이 급히 위연을 가정으로 보내자 갑작스러운 상황에 영문을 모르면서도 명령에 따르지만 곽회가 고상을 제압하고 열류성을 점거한 바람에 임무수행에 실패한다.

2.3.4 진창 전투

진창 전투에서 학소에게 막혀 별다른 성과 없이 퇴군하던 중 후방에서 추격해오는 위군의 왕쌍을 한큐에 보내버린다.

2.3.5 기산 전투

위군이 조진을 중심으로 사마의, 장합, 곽회를 통해 4방향에서 진격해오자 제갈양의 지시에 따라 유일하게 정상적으로 진격해오는 곽회와 대치한다.

전투가 벌어지자 곽회를 두 차례에 걸쳐 완전히 털어버린다.

사마의와 장합의 부대가 도착했을 때 싸우고싶어 안달이 났지만 위군이 싸우려들지 않자 위군에게 싸우러 나오라며 소리치는 모습이 나온다.

사마의는 위연의 말을 무시했으나 군 내부에서 불만이 터져나오자 장합과 가허, 위평을 출격시킨다.

파일:위연의 위엄.png

위연은 드디어 싸움을 벌인다면서 자신에게 달려드는 가허를 3합만에 두동강낸다.

위평을 죽인 오반에게 자신의 먹이를 뺐었다고 화를 내던 중 오반에게 장합이 남아있다는 말을 듣고 장합에게 싸우자고 소리치며 무시무시한 기세로 위군을 쓸어버린다.

2.3.6 오장원 전투

비의가 자신을 찾아오자 비의를 자신의 진영으로 맞이한 뒤 제갈양의 상태를 물어본다.

이에 비의는 제갈양이 죽었다는 사실을 숨기고 위독하다는 말만 전한 뒤 제갈양이 사망하면 어찌 행동할 것이냐고 묻자 제갈양이 전쟁을 하는 것이 아니고 국가가 잔쟁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갈양이 죽는다고 해도 후퇴할 수는 없다고 말하고 사마의가 후방을 습격할 것이기 때문에 더더욱 불가하다고 말한다. 이에 비의가 양의와 공동전선을 짜서 후퇴하면 될 것이라고 말하자 양의와 손을 잡는다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화를 낸다. 결국 비의는 위연을 두고 걸 수 밖에 없다고 판단하게 된 뒤 위연을 달래서 진영을 빠져나온다. 허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제갈양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개 되고 본대가 자신의 부대를 남겨두고 퇴각하려 하자 격노하여 본대보다 한 발 먼저 퇴각하고 잔도를 불태워버린다.

하지만 뒤늦게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고 어찌 행동할지 고심하던 중 부하가 사마의에게 투신하라고 제안하자 거부하고 한중으로 가냐는 부하의 말에 한중으로 가면 모반을 일으킨다고 생각할 것이라면서 양의가 반역을 꾀했다는 거짓 서신을 유선에게 보낸다.

이에 성도에서는 오해가 생겼음을 알고 양의에게 위연과 이야기해보고 안되면 토벌하라는 서신을 보냈지만 위연과 사이가 나빴던 양의는 왕평에게 명을 내려 바로 토벌하기로 결정.

결국 위연은 반역자로 몰려 마대에게 잡히게 된다. 자신이 잔도를 태움으로 인해 아군이 몰살위기에 처했던 것은 자신의 잘못이 맞다며 자책하고 죽음은 두렵지 않으나 역적의 수괴로 몰린 사실을 한탄한다. 그리고 처형당하기 직전 "나, 위연!!! 진실로 반란을 꾀하려 했다면 결코 이렇게 쉽게 끝나진 않았을 것이다!!!" 라고 외치고 참수당한다.

3 작중 묘사

후반기 촉군의 에이스

"다행히 촉군엔 에이스라 불릴만한 수장이 별로 없습니다. 위연만 만나지 않는다면 어떻게든..."- 곽회

작가는 위연을 예측을 전혀 하기 힘든 용장이며, 비유하자면 고릴라라고 말하고 후반기 삼국지에서 곽회를 잡을 수 있는 유일한 촉한의 무장이었다고 평가한다.[1]

유비가 입촉을 할 때 황충과 더불어 가장 큰 활약을 한다. 오리지널로 등현과 오의를 사로잡고 유괴를 참하였다.

기산 전투에서 아주 신나게 곽회를 탈탈 털어버리면서 포스를 발산한다.[2]

촉이 멸망할 때 촉나라의 인물들을 차례대로 보여주는데 거기에는 위연은 속해있고 양의는 안나온다.아마도 작가는 전에 위연반역에 대한 해석도 그랬고 그래도 촉나라를 지키고 충성했던 한 장수로 해석해서 넣어준걸로 보인다.[3]

4 게임

유비군 소속과 유표군 소속의 카드로 등장.

혼령석으로 소환할 수 있는 보스중 하나다.

4.1 7성 유비군

소속유비군
스텟
무력97
활력83
맷집97
총합277
스킬
피격시 44% 확률로 공격 대상에게 중독 피해피격시 56% 확률로 아군 전체의 디버프 제거

4.2 7성 유표군

소속유표군
스텟
무력107
활력85
맷집83
총합275
스킬
공격시 48% 확률로 적 전체의 버프 제거공격시 48% 확률로 공격 대상을 2번 공격

4.3 8성 유비군

소속유비군
스텟
무력126
활력116
맷집126
총합368
스킬
피격시 56% 확률로 공격 대상에게 중독 피해피격시 60% 확률로 아군 전체의 디버프 제거

4.4 8성 유표군

소속유표군
스텟
무력132
활력116
맷집116
총합364
스킬
공격시 56% 확률로 적 전체의 버프 제거공격시 52% 확률로 공격 대상을 2번 공격

5 여담

소개글에서 '스트레이트한 성격으로 오해를 자주 산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유비가 죽고 제갈양이 촉을 이끄는 시기에는 상식인 역할은 버리고 전장에 나서서 싸우고 싶어서 안달나고 거칠어진 성격으로 변했다.

대강 낙성 전투쯤에서 싸우고 싶어서 안달을 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아마 후일 위연의 최후와도 연결시키기 위해 입촉부터 성격을 바꾼 것으로 생각된다.

낙곡 전투편에서 여장을 하고 설명역으로 재등장한다. 흠좀무. 게다가 여자 말투로 말한다. "낙곡으로 가면 나오자마자 샌드위치 되지 않자냐!" "내가 잔도를 태웠자냐~!"
  1. 곽회는 한중공방전에서 하후연 사후, 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후 제갈양과 강유의 북벌을 번번히 방해, 혹은 좌절시킨 명장이다.
  2. 곽회가 장합의 부장으로 왔던 탕거 전투 편에서의 장비를 제외하면 곽회를 완전히 탈탈 털어버린 장수는 이 만화에서는 위연이 유일하다.
  3. 덕분에 최훈이 정사를 참고했다는 변명에 대한 비판요소가 될 수 있다. 정사를 보면 위연의 반란은 오히려 연의보다 더 변명할 여지가 없는 완벽한 반역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