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1 오컬트 도구
Ouija Board. (Wiza Board가 아니다.)[1]
Ouija라는 이름은 프랑스어 'Oui'와 독일어 'Ja' 에서 따온 것으로, 둘 다 예(Yes)라는 뜻이다. 네네 보드 일종의 심령대화용 점술판이라 할 수 있다.
위저 보드의 유래에 관해 많은 설이 떠돌지만, 14세기 프랑스에서 집시 계통의 유목민들이 영혼들에게 궁금한 것들을 물어보던 일종의 놀이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당시 이 게임의 성격과 위험성 때문에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이후 1800년대 중반에 이르러 사랑하는 이를 일찍 잃은 사람들이 영혼과의 접촉을 위한 방법으로 위저 게임을 찾기 시작했다. 1890년에 기업가 찰스 케나드는 케나드 노벨티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토킹 보드'(Talking Boards)라는 것을 만들어 판매했다. 위저 보드의 본격적인 시초다.
당시 케나드 노벨티 설립자들은 보드에 직접 이름을 물어봤고, 보드의 말판이 알파벳 O-U-I-J-A를 가리키면서 위저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아울러 위저가 행운을 빈다는 의미가 있다는 답도 전했다는 이야기도 함께 전해진다.
1920년대 위저 게임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유명세를 얻었다. 당시 유명 잡지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의 표지에 위저 보드를 든 커플의 모습이 실렸을 정도였다.
이후 1966년 모노폴리의 초기 발매처로 알려진 파커 브라더스에게 넘어가면서 지금의 위저 보드가 탄생하게 된다. 1991년에는 세계적인 완구 전문기업인 하스브로(Hasbro)사가 이를 인수했고,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강령술도 판권에 묶인 더러운 자본주의 사회
처음에는 실내게임으로 노벨티숍에서 팔려, 미국에서 일반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보드에는 알파벳과 함께 'Yes'나 'No', 'Good-bye', 'maybe' 등의 단어가 각인되어 있다. 플랜체트(세발달린 지시판)나 어떤 종류의 포인터를 말판 위에 미끄러지게 해서 사용한다. 위저 보드의 사용 방식은 두 명 이상의 사람이 마주보고 앉은 후 말판 위에 손을 얹고 주문을 외우면서 시작된다. "주위에 누가 와 있나요?"라는 질문에 말판이 'Yes'를 가리키면 시작할 수 있다. 처음에는 'Yes' 또는 'No' 로 답할 수 있는 것에서 점차 알파벳으로 단어를 완성하는 식으로 말판이 움직이게 된다. 참가자는 보드에 질문을 한 후 포인터나 보드를 움직여 포인터가 '가리키는' 문자를 읽는다. 지시되어진 문자의 스펠링을 읽어 질문에 대한 해답으로 삼는 것이다.
하지만 이 때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이 있다. 절대 혼자 위저 게임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위저 게임에는 15분 이상 게임을 지속해서도 안 되며, 말판이 위저 보드에서 떨어지게 되면 영혼은 사라지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는 등 암묵적인 규칙들이 존재한다. 용건이 다 끝나면 게임을 끝내도 되겠냐고 물어 허락을 받은 뒤 '잘 가세요'라는 인사를 남기고 'GOOD BYE' 쪽으로 포인터를 옮긴다.
한마디로 서양판 분신사바라 보면 무방하다. 오컬트적인 관점에서 보면, 종이에 필기구 하나로 주변에 있는 잡령 몇 마리를 불러내는 정도인 분신사바와는 달리 위자 보드는 진짜 악령을 부를 가능성이 크다는 속설이 있다.
여담으로 영화 엑소시스트에서는 히로인인 리건이 악마에게 부마되는 것을 암시하는 장치로 쓰였다. 캡틴 하우디라는 존재가 언급되는게 이게 악마를 암시하는 것.
영화 파라노말 액티비티에도 나온다. 여주인공 케이티에게 붙은 악령에게 말을 걸기 위해 남주인공 미카가 이를 이용한다. 다만 전문가는 일이 커질 수 있으니 사용하지 말라고 충고했는데도 멋대로 사용하는 바람에 악령이 더욱 강해져서 역효과를 불러일으켰다.
유명 인디 게임 바인딩 오브 아이작에서도 역시 등장하는데, 이 아이템을 얻으면 눈물이 지형지물을 관통하게 된다.
2015년에 이것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위자가 개봉했는데 평가는 최악.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의 평은 대부분 주인공의 답답한 행동 때문에 애먼 사람만 죽어나간다면 상당히 짜증스럽게 느낀다고한다. 일단 이영화의 문제점은 공포영화에 나오는 답답한 행동의 등장인물에 대한 전형적인 클리셰가 너무 많다는 것인데, 특히나 주인공이 내용상 가만히 있지 못하고 자꾸 삽질만 해대서 보는 사람을 짜증나게 만든다.
2 미 해군의 도구
항공모함의 승조원들이 함재기를 관리할 때 쓰는 판을 이렇게 부른다. 수리가 필요한 기체/재급유가 필요한 기체/재무장이 필요한 기체 등, 다양한 비행기 모형을 가지고 이걸로 무엇을, 어떻게, 언제, 무슨 조치를 취할 것인가를 정한다고 한다.
디지털화되는 추세에 맞춰서 이걸 바꿔보려고 했지만 구관이 명관이라는 진리만 확인하고 그냥 쓰이는 중이다.[2]미니어처 게임 사실 해군들이 쓰는 악령의 보드라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