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레인 크레이그

service-craig-01.png

William Lane Craig (1949~)

1 개요

미국의 종교철학자. 크레이그의 보간 정리로 유명한 논리학자 윌리엄 크레이그와는 동명이인이다

탤봇 신학대학 연구교수 겸 휴스턴 신학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신무신론 기수인 크리스토퍼 히친스, 샘 해리스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철학, 신학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공개토론으로 유명한 기독교 변증가이다. 토론에서 매우 강한 모습을 보이며, 토론 능력에 대해서는 무신론자들 사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참조 이에 대해 크레이그를 토론에만 강한 비전문가일 뿐이라고 보는 시선도 있는데, 비록 크레이그가 사용하는 철학적 주장의 난도가 그렇게 높지 않고 [1] 매번 비슷한 형식의 기독교 변증을 펴는 경향이 있으나 엄연한 철학 박사학위 소지자이며 학계에서도 논문을 꾸준히 쓰는 전문 철학자가 맞다. (물론 철학자들이 쓰는 논문이라고 반드시 모두 뛰어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철학자라는 이유만으로 크레이그의 철학적 주장에 특별한 권위가 있다고 할 수는 없다.)

2 생애

기독교 대학교 휘튼 컬리지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1971년 휘튼 컬리지 졸업 해에 아내와 결혼했다. 이후 1975년 트리니티 복음주의 대학교에서 종교철학, 교회사 석사과정을 마쳤다. 종교철학 석사과정에서 철학자 노만 가이슬러의 가르침을 받은 바 있다. 그 뒤 영국 버밍엄 대학교로 유학을 가 1977년 철학박사로 졸업했다.

이러한 이력 때문에 크레이그를 철학자로는 인정하지만, 기독교 변증에 있어 그를 신학에 무지한 비전문가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있는데 크레이그는 1984년 뮌헨 대학교에서 독일의 유명 신학자 판넨베르크의 가르침 하에 신학박사를 졸업했기 때문에 그를 신학자라고 지칭해도 굳이 틀린 말은 아니다. 애초에 이미 교회사 전공으로 석사를 졸업했다. 교회사도 엄연한 신학 분과다 물론 크레이그가 주로 신학계보다는 철학계에서 활동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신학 석박사를 졸업한 사람에게 신학적 지식이 신학 좀 아는 일반인 보다 못하다는 비난은 어폐가 있다.

3 견해

3.1 종파

남침례회 소속이지만, 신학적으로는 웨슬리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3.2 칼람 우주론적 논증

크레이그의 칼람 우주론적 논증은 다음과 같다.[2]

(1) 모든 존재하기 시작한 것에는 원인이 있다.
(2) 우주는 존재하기 시작했다.
(3) 그러므로 우주에는 원인이 있다.

크레이그에 따르면, 전제 (1)은 상식적으로 참이다. 왜냐하면 어떤 것이 원인 없이 나타났다면 이는 마치 마술과 같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의 일상적 경험과 과학적 증거들이 (1)이 참이라는 걸 증명하고 있다고 크레이그는 말한다.

크레이그는 전제 (2)가 철학적 논증과 과학적 증거에 의해 참이 된다고 본다. 먼저 철학적 논증은 이슬람 신학자/철학자 가잘리의 주장에 근거한다. 가잘리에 따르면 만약 우주가 존재하기 시작하지 않았다면, 현재에 앞선 과거로의 무한한 퇴보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가잘리에 따르면 과거의 무한한 퇴보는 불가능하다. 가잘리는 무한대라는 숫자가 잠재적으로(potentially) 존재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actually) 존재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였다.

무한대라는 숫자가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는 가잘리의 생각은, 크레이그에 따르면, 몇가지 논증에 의해 증명된다.[3]

다음으로 크레이그는 전제 (2)가 과학적 증거인 빅뱅이론에 의해 증명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빅뱅이론에 따르면 우주의 기원이 무로부터 나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제 (1), (2)가 참이므로 결론 (3) 우주에는 원인이 있다는 필연적으로 참이다.

3.3 도덕론적 논증

크레이그의 도덕론적 논증은 다음과 같다.[4]

(1) 만약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는 존재하지 않는다.
(2)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는 존재한다.
(3)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

전제 (1)이 참인 이유는 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를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하는 것을 두려워 하기 때문이다. 즉, 신이 없으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떠한 도덕률을 실천해야한다는 당위성을 요구할수는 없다고 사람들이 믿기 때문이다.

그런데 크레이그에 따르면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은 동시에 전제 (2) 역시 참으로 믿는다. 그 대표적인 예가 나치의 홀로코스트다. 사람들은 홀로코스트가 객관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라고 믿는다. (심지어 사람들은 앞서 말했듯이 자신의 가치관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것도 객관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객관적인 옳고 그름이 있다. 즉, 크레이그가 보기엔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가 존재한다고 믿으므로 그러한 존재는 실재한다.

3.4 지향성 논증

심리철학에서 지향성이란 무엇에 대한 태도를 뜻한다. 달리 말하면 지향성은 어떠한 대상에 대한 지칭이다. 예를 들어 "나는 사하라 사막이 크다고 생각한다"에서 '~라고 생각한다'는 사하라 사막이라는 대상에 대한 일정한 태도이다. 이러한 지향성 개념은 심리철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다. 그 이유는 일단 지향성이란 개념의 의미가 다소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가령 ~에 '대한'에서 '대한'이라는 개념이 불분명하다. 어느 철학자들은 이러한 개념이 실재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어느 철학자들은 그것이 실재한다고 믿는다. 그런데 만약 이러한 지향성이 실재한다면, 그것은 물질이 아니며 물질로부터 독립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윌리엄 크레이그는 지향성을 통해 신의 존재를 변증한다. 그의 지향성 논증은 다음과 같다.[5]

(1)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의식의 지향적 상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2) 의식의 지향적 상태는 존재한다.
(3)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

전제 (1)이 참인 이유는 크레이그에 따르면, 물리주의적 세계관과 지향성 개념은 서로 잘 들어맞지 않는데 비해 유신론적 세계관과 지향성 개념을 서로 잘 들어맞기 때문이다. 즉, 물리주의적 세계관에 따르면 지향성의 실재는 이상한 것이지만 유신론적 세계관에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신이 존재하지 않는 물리주의적 세계관에서는 지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게 합리적이다. 그런데 크레이그에 따르면, 지향성은 존재한다. (전제 2) 왜냐하면 상식적으로 그게 옳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은 존재한다는 결론은 필연적인 참이다.

3.5 역사적 예수 논증

4 비판

위에 언급된 모든 철학적 논증에서 볼수 있듯이 크레이그의 철학은 상식에 호소하는 논증이다. 그러나 철학의 주요한 작업 중 하나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진리로 받아들이는 상식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것이다. 크레이그는 이러한 철학의 의의를 무시한 채 일반인의 상식 수준에서 호소해서 신을 증명하려한다는 점에서 그의 논증들이 철학적으로 큰 가치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동시에 그가 기독교 변증가로서 유명세를 떨칠 수 있던 이유도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상식선에서 철학적 논증을 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크레이그는 대중철학자에 가깝다고 해도 틀린 얘기는 아니다) 그의 논증들에 대한 세세한 비판은 아래와 같다.

4.1 칼람 우주론적 논증에 대한 비판

전제 "(1) 모든 존재하기 시작한 것에는 원인이 있다"에 대한 근거제시에서 크레이그는 의 귀납법 비판을 무시한 채 모든 것에는 원인이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흄의 귀납법 비판이 의의가 있는 이유는 모든 결과에는 원인이 있다는 절대적 명제에 대한 합리적 의심을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크레이그는 이러한 흄의 비판을 무시한 채 단지 그것이 상식적이기 때문에 이 전제가 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흄이 귀납법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기 이전 철학자들이 전제 (1)을 당연시한 것과 차이가 없다. 문제는 흄 이후 이러한 전제는 의심받아 마땅한 것이 되었다는건데 만약 크레이그가 스스로 철학자라 자처한다면, 철학자로서 이러한 유의미한 철학적 쟁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철학자가 해야할 일 중 하나는 우리가 당연한 진리로 받아들이는 가정에 대한 반성적 작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크레이그가 이 가정에 대한 의심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전제 "(2) 우주는 존재하기 시작했다"도 다소 의문에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유일한지 또는 다른 우주들이 존재하는지 모르는데 빅뱅이론은 오직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기원에 대한 설명일 뿐이기 때문이다. 칼람 우주론적 논증의 의의는 결론 (3) "우주에는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이 바로 신이라는 함의인데 만약 다중우주론이 참이라면, 이러한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존재하기 시작했지만 다른 우주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사실 다른 우주에 살고 있는 지적 외계생명체가 만들어낸 가상세계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 우주는 그 외계인에 의해 시작된 가상세계일지 몰라도 그 외계인이 살고 있는 우주 역시 존재하기 시작했는지 우리는 알 길이 없다. 따라서 전제 (2)는 명백한 참이 될 수 없다.

4.2 도덕론적 논증에 대한 비판

(1) 만약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는 존재하지 않는다.
(2)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는 존재한다.
(3)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

우선 전제 (1)를 논하기 위해선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의 정의가 무엇인지를 따져 보아야 한다. 크레이그에 따르면 가치란 무엇이 좋고 나쁜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의무는 옳고 그름, 즉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다. 크레이그는 이렇게 가치와 의무를 구분한다. 그런데 사실 이러한 구분은 큰 의미가 없는게 어떠한 윤리적 행동이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늘 옳은 것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즉, 가치와 의무는 정비례한다. 가치를 논할 것인지 의무를 논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윤리이론을 지지하느냐에 달린 문제다. 예를 들어 공리주의에서 의무 같은 건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가치만을 논한다. 칸트의 윤리이론에서는 반대로 가치가 아니라 의무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그렇다면 좋고 나쁨 또는 옳고 그름에 대한 객관적 도덕 법칙(이하 객관적 도덕성:objective morality)은 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는가? 객관적 도덕성의 기원이 무엇인지를 탐구해본다면 이러한 주장이 참인지에 대한 충분한 의심이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전제 "(2) 객관적 도덕 가치와 의무는 존재한다"를 논해야 한다.

크레이그의 주장대로 객관적 도덕성이 존재한다고 해보자. 그런데 그게 무엇인가? 신경윤리적 관점에서 그러한 도덕성의 원천은 뇌 기능 활동 중 하나인 공감 능력이다. 인간은 모두 공감 능력이 있다. 가령 인간은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의 입장을 자신의 입장에 대입시켜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의 감정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이타성 및 양심 등이 보편적일 수 있는 것이다.기독교 변증가 C.S.루이스에 따르면 양심이 객관적 도덕이다 그런데 이러한 공감 능력은 전전두피질 영역의 활성화이다. 이 영역이 손상된 사람은 공감 능력이 결여된다. 사이코패스가 대표적인 예다 따라서 객관적 도덕성이 존재하는 이유는 또는 인간이 보편적으로 객관적 도덕성이 있다고 믿는 이유는 공감능력을 담당하는 전전두피질이 보편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제 (2)가 참이라고 해도, 여기서 신의 존재가 요청되지 않기 때문에 전제 (1)은 거짓이다. 그러므로 결론 "(3) 신은 존재한다" 역시 거짓이 된다.

물론 크레이그 또는 기독교인들 입장에서는 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공감 능력을 담당하는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전제 (1)이 참이라 주장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어쨌든 기독교인들에 따르면 뇌도 신이 창조하고 설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이미 신이 존재한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는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 도덕성이 인간의 뇌에 의존한다고 해도 여전히 전제 (1)이 참이라고 기독교인들이 개인적으로 믿을 수는 있지만 전제 (1)의 참을 주장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신의 존재가 증명되고 난 후에 가능한 얘기다.

4.3 지향성 논증에 대한 비판

(1)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의식의 지향적 상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2) 의식의 지향적 상태는 존재한다.
(3)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

유신론적 세계관이 지향성과 잘 부합한다는 크레이그의 생각은 맞지만 그렇다고 유신론적 세계관에서만 지향성이 존재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제로 심리철학자들 중에서는 물리주의자이면서도 지향성의 존재를 인정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들의 논증이 성공적이거나 크레이그가 그들의 논증을 성공적으로 반박하지 못한다면, 전제 (1)은 거짓이 된다.

심리철학계에서는 전제 (2)이 여전히 참인지 논쟁거리다. 그런데 크레이그는 그러한 논쟁에 대한 심각한 고려를 하지 않고 그저 상식적으로 그렇게 생각하는게 맞기 때문에 참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칼람 우주론적 논증에서 흄의 귀납법 비판을 무시한 것과 동일하게 자신이 믿는 신을 변증하기 위해서 '당연한 진리'가 아닌 전제(인과관계)를 당연한 진리로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크레이그의 논증은 이렇듯 늘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는 존재하므로 신은 존재한다"라는 동일한 패턴을 반복한다. 단지 '~'에 들어가는 내용만 바뀌는 셈이다. 즉, 무엇이든 크레이그 입장에서는 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어떤 것도 존재할 수 없는 셈인데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증명 없이 이를 주장만 하고 있으므로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인 것이다. 당연히 기독교인 입장에선 신 없인 아무것도 존재할 수 없겠지만 무신론자 입장에선 그렇지 않다.

5 관련 문서

  1. 대부분 칼람, 라이프니츠, 객관적 도덕성 논증을 사용한다
  2. http://www.reasonablefaith.org/popular-articles-the-kalam-cosmological-argument
  3. 자세한 건 다음 링크를 참조: http://www.reasonablefaith.org/popular-articles-the-kalam-cosmological-argument
  4. http://www.reasonablefaith.org/moral-argument
  5. http://www.reasonablefaith.org/popular-articles-does-god-exist
  6. 기독교 변증을 할 때 플란팅가의 논증을 종종 언급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