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克榮
1903년 9월 16일 ~ 1988년 11월 15일
1 소개
한국의 아동문학가이자 동요작곡가 그리고 아동문화운동가. 1903년 서울 태생이며 동요 반달의 작곡가로 잘 알려졌기 때문에 반달 할아버지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
1921년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23년 도쿄에서 색동회를 창립하였으며 일제강점기 중 희대적이게도 조선어 가사를 붙인 노래들을 작곡하여 어린이들에게 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는데 힘썼으며 1926년 만주로 건너가 음악교사로 활동하여 어린이들에게 동요를 가르치게 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중국에 머물다가 용정에서 복역되었고 1947년 텐진에서 손수레를 이끌다가 남한으로 탈출하여 동요 반달, 설날, 고드름, 따오기, 꾀꼬리 등을 작곡하고 동시에 아동문화운동에 힘쓰며 어린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전도사임을 표방하고 있었다가 1988년 11월 향년 86세로 사망하였다.
1.1 작품
1.2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 '반달'
윤극영이 최초로 발표한 동요는 위에 나온 '달맞이'로 1924년 11월에 발표되었다. 그런데 왜 '반달'이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가 되었나 하면, 1926년에 윤극영이 발표한 동요집 때문이다. 이 동요집의 제목이 '반달'이었고, 윤극영은 이 동요집에서 노래 '반달'을 '달맞이'보다 앞서 1924년 10월 12일에 만들었다고 적었다. 발표한 것은 2년 늦었지만, 만들기는 '달맞이'보다 먼저 만들었으니 '반달'이 최초의 동요가 된 것이다. 그리고 이 노래가 윤극영의 대표곡이 되면서, 윤극영이 얘기한 1924년 10월 12일이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인 '반달'이 발표된 날이 되었다. 그 뒤 동요 발달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나 동요 관련 행사를 주최하는 방송국이 모두 우리나라 동요의 시작을 1924년으로 잡게 된다.'달맞이'도 실제로 1924년에 발표한 곡이므로 우리나라 동요의 시작이 1924년인 것이 틀린 건 아니다.
2 친일 논란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홍난파, 안익태, 현제명 등 동종의 음악인들과 마찬가지로 과거 친일파로 활동했던 사실이 알려져 논란의 대상에 오르기도 하였고 한때 친일인명사전 인명부에 등재대상에도 올랐다는 일설이 있었다. 친일 사유로는 일제 말기 때 만주에 일제가 수립한 괴뢰국 만주국에 적극 협력하였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의 대상으로 올랐다. 특히 홍난파나 안익태 등과는 달리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동요 작곡가로 잘 알려졌고 그의 노래들 대부분이 과거 국민학교 음악 교과서에도 수록된 사례도 있어서 논란의 대상에 오르기도 한 수준이었다. 강원용 목사에 의하면 윤극영이 친일단체였던 '간도협화회'에 참여했고, 자신에게도 참여할 것을 강요했다고 증언했다.
그때 간도에는 간도협화회라는 친일 단체가 있었다.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들을 서로 친화시킨다는 미명 아래 조직된 이 꼭두각시 단체는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선전하고 고무하는 일을 맡아서 하고 있었다. 이 모임의 회장은 '푸른 하늘 은하수'로 시작하는 노래 '반달'의 작곡가요 아동문학가였던 윤극영이었다. (중략)유족 측에서는 윤극영의 친일행적 및 사실을 부인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지나치게 고인에 대한 폄하와 매도행위를 하지 말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세한 조사에 대해선 머뭇거리고 있기에 비아냥도 많이 받고 있다.하루는 이 사람이 내게 좀 만나자는 전갈을 보내왔다. 협화회 사무실로 찾아갔더니 나보고 협화회 일에 참여하라는 것이었다. 처음에 그는 회유하듯 부드럽게 말했다.
"어차피 세상이 일본 중심으로 돌아가는 판인데 협력하여 같이 일하는 것이 현명한 길이 아니겠소?"
"나는 교회 일로 매우 바쁩니다. 그리고 곧 다시 일본에 공부하러 가야 하므로 그런 일을 할 만한 형편이 못될 것 같군요."
내가 여러가지 이유를 내세우며 거절의 뜻을 내비치자 이번에는 표정을 바꾸어 그가 말했다.
"그렇게 협력을 하지 않으면 신상에 별로 좋을 게 없을 텐데."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