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사

1 應射

적의 사격에 맞서서 대응해 쏘는 것. 흔히 화살이나 총과 같이 사격하는 무기로 맞서는 것으로 사용하는 용례가 많지만 초음파에도 이 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단어가 합쳐진 단어로는 응사원, 응사단자 등이 있다.

조선의 업무 규정 지침서인 은대조례에는 응사(應射)에 관한 조항이 있다.

당연히 현대에도 사용된다. 멀리갈 것도 없이 한국군의 GOP, GP에도 이에 대한 지침이 다 내려온다. 어찌됐건 주적인 북한군과 대치 중인 휴전국가인데 이런 지침이 없을 리도 없다. 서해에서는 중국 어선들이 이러한 응사지침을 악용해서, 한국 해안경비대가 사격하지 못하도록 일부러 근접전을 벌이기도 한다. 아오

반대로 연평도 포격 사태는 북한군이 일부러 응사지침을 곡해해 일어난 사태이다. 남한 훈련군훈련탄남쪽을 향해 포격했지만, 북한군은 이를 응사한답시고 실탄을 연평도에 포격해버린 것. 물론 연평도 주둔군도 지침에 따라 방사포로 응사했다.

코에이삼국지 시리즈에서는 특기로 나와서 삼국지 5에서는 궁시, 화시 등의 공격을 당하면 반격하는 특기로 하후연, 황충, 여포 등이 이를 소유하고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기교표에서 노병의 제2단계로 나오고 관여 능력은 통솔이며, 효과는 노병이 화살 공격을 받을 때 반격하는 것이고 응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1단계에 해당하는 노병단련이 연구된 상태이면서 기교 포인트 2천이 있어야 한다.

2 鷹士

를 부려 사냥하는 사냥꾼. 한국의 무형문화재다.

한국의 매들은 전부 천연기념물 323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냥 및 사육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오로지 응사들이 제한적으로 가능하다고. 문화재청

매를 길들여서 사냥에 쓰기도 한다.(매사냥) 토시가 없으면 매가 팔에 올라갈때 그 발톱피부가 상하니 도구가 필수. 본래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많이 발달한 문화로, 우리나라도 많이 성행하였고 매의 품질도 좋았다고. 이걸로 유명해진 것이 해동청.

그러나 광복 이후 규제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르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 전통 복원 및 유지를 위해 하는 인간문화재들외에는 매사냥을 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국내에 존재하는 응사(鷹士)는 고작 2명뿐이다. 옆나라 일본의 경우, 매 관련 법규가 관대해서 응사만 300여명 가까이 된다. 다만, 응사 자격증 따기가 꽤 어려운 편이다. 박용순 응사가 자기 자식에게 전수하는 다큐 EBS 다큐 참매와 나를 보면 알겠지만 개처럼 복종시킨다기 보다는 서로 적응해가는 느낌.

외국에서는 애완용으로도 이용되기도. 그러기 위해선 일단 아주 넓다란 사육장이 필요하다.

매와 응사를 소재로 한 소설로 이청준의 중편 소설인 '매잡이'가 있다.

2.1 대중 문화 속의 응사

3 응답하라 1994의 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