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현

李齊賢
1287년(충렬왕 14년) ~ 1367년(공민왕 16년)

1 개요

고려시대 때 문신이다. 본관은 경주이고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역옹(櫟翁)이다.

2 생애

1301년 성균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이어서 과거에 합격하였다. 이후 고려에 성리학 전파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권보의 딸과 결혼하였고, 1303년부터 본격적인 관직의 길에 오르게 된다.

1314년 당시 상왕이었던 충선왕의 부름을 받고 원나라 수도 연경에 가서 만권당에 머무르면서 본격적인 원나라 유학 생활이 시작된다. 그리고 이 만권당에서 원나라의 유명한 한족 문인들과 교우를 맺으면서 학문의 견문을 넓히게 된다. 무엇보다도 이제현은 이 때 원나라 내륙까지 다닌 얼마 안 되는 고려인이 된다. 1316년 충선왕을 대신해서 사천성 명산 아미산에 다녀왔으며, 1319년에는 충선왕이 절강성의 보타사에 행차할 때 시종하였다. 그리고 1323년 유배 된 충선왕을 만나기 위해 감숙성의 타마사까지 다녀왔다. 여러모로 이 때의 경험이 만권당에서의 교우와 마찬가지로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후 충선왕의 유배로 원나라 생활이 끝나게 되고, 입성책동이 활발해지자, 이를 막는 상소를 올렸고, 충선왕의 방환운동도 벌여서 입성책동도 막아 냈고, 충선왕의 거처도 티베트에서 타마사로 옮기게 하는데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한 점이 인정되어1325년 재상의 지위에 오르게 된다.

1339년 충혜왕이 조적의 난으로 인해 원나라에 붙잡혀 갈 때 다시 복위시키는데 역할을 하였으나, 이 때의 활동으로 인해 두문불출하게 되었고 이 기간에 역옹패설을 저술하게 되었다.

1344년 충목왕이 즉위하고 판삼사사에 임명되면서 다시금 정치활동을 재개하는데 이 때 여러 개혁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충목왕 사후 원나라에 있던 왕기를 왕으로 추대하려고 했으나 실패하였다. 그리고 1351년 왕기가 공민왕으로 즉위하자 국정을 총괄하게 되었고, 1356년 기철을 숙청하는 반원운동이 벌어지자 문하시중이 되어서 사태를 수습하다가 이듬 해에 치사하였다. 국정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고, 홍건적의 침입으로 인해 개경이 함락 당하고 공민왕이 상주로 피난 갔을 때도 왕을 배알하고 호종하였다.

3 업적

유학지식과 문학적 소양이 매우 뛰어나서 이를 바탕으로 사학(史學)에 많은 영향을 남겼다. 민지의 본조편년강목을 중수하고,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의 실록을 편찬하는 일에도 참여하였다. 현존하는 저서로는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이 있다. 그 밖에도 전해지지 않는 저서로는 백문보, 이충달과 함께 편찬했다는 사략(史略)이 있는데 이는 성리학적 유교사관에 입각해서 저술한 고려사 편년체 통사 사서로 판단되며,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들어 있는 이제현의 논찬을 통해 어느 정도 특징을 알 수 있다.

4 기타

고려사에 있는 그의 열전을 보면 그가 충선왕과 나누었던 대화나 각종 상소들이 자세하게 올라와 있으며,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