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항목 : 법 관련 정보, 형법/총론, 민법, 인과, 삼단논법, 논증
- 혹시 종교 용어로서의 "인과관계" 를 찾고 있다면 인과율 항목으로.
- 혹시 연구방법론 용어로서의 "인과관계" 를 찾고 있다면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항목으로.
- 혹시 철학 용어로서의 "인과관계" 를 찾고 있다면 인과 항목으로.
이 문서가 다루는 내용은 대한민국 헌법 및 법령에 따라 제정 또는 승인된 법률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신중하고 사실에 근거해 편집해주시기 바랍니다. 왜곡된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게재하는 경우 경찰 · 검찰 및 기타 관계 기관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만위키는 정확하고 책임있는 법률지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기초 상식 및 학술적인 설명으로만 이용해주시기 바라며, 이와 다른 용도로 이용해 불이익이 발생한 경우 우만위키는 법적으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법률의 개정과 상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법조인에게 법률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일반적 풀이
원인과 결과의 연관관계를 말한다. 1 + 1 = 2 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1에서 2라는 결과가 도출된 원인은 1을 더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구조에서도 'A는 B이고 B는 C이면, A는 C이다.'가 성립한다고 할 때, A는 원인이고 C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인과관계는 이처럼 논리적, 철학적, 자연과학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역사속에서 인과관계가 맞지 않는 말 또는 인과관계를 잘못 파악한 것으로 인하여 엄청난 사건후폭풍들이 벌어진 경우가 종종 있다. 탁치니 억했다, 저 새는 해로운 새다,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 등. 더 좋은 예가 있다면 추가바람
2 형법에서의 인과관계
형법 제17조(인과관계) 어떤 행위라도 죄의 요소되는 위험발생에 연결되지 아니한 때에는 그 결과로 인하여 벌하지 아니한다. |
형법에서의 인과관계란 행위자의 행위와 발생한 사실이 원인과 결과로서의 연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 형법에서의 인과관계는 논리적, 자연과학적으로 판단하는 일반적인 인과관계와는 다르게, 법적 가치판단의 영역 내에서 이루어진다.[1] 학설에 따라 형법 제17조의 해석을 달리하는데, 판례가 취하는 상당인과관계설에서는 행위와 발생한 결과 사이에 인과관계의 상당성이 없다면 처벌하지 아니한다고 해석한다.[2]
예를 들어서 A가 B를 죽일 목적으로 칼로 찔렀는데 죽지는 않고 구급차에 실려갔다. 하지만 구급차에 실려가던 중 사고가 나서 B가 사망한 경우 A가 칼로 찌른 행위와 B가 죽은 행위에 인과관계를 따질 수 있느냐하는 문제다.
입장 1. 구급차에 실려간 것도 A가 칼로 찔렀기 때문임으로 구급차에 실려가던 도중 사고가 나 사망했다고 해도 인과관계가 인정된다.
입장 2. 구급차에 실려가다가 사고 난 것까지 A가 의도한 것은 아님으로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
판례는 이 경우 인과관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A는 살인미수로만 처벌받는다.
또 다른 예로 A가 B를 죽일 목적으로 칼로 찔렀는데 죽지는 않고 병원에 이송됐다. 하지만 의사의 실수로 패혈병으로 죽었을 때 A가 칼로 찌른 행위와 B가 패혈병으로 죽은 행위에 인과관계를 따질 수 있겠나?
판례는 이 경우에는 인과관계를 인정한다. 전혀 예측하지 못한 엉뚱한 제3의 사건인 구급차 사고와는 달리 치료중 사망은 꽤 개연성과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A는 살인죄로 처벌받는다.
2.1 조건설
일정한 선행사실이 없었다면 결과도 발생하지 아니하였다는 논리적 조건관계만 있으면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견해이다. 조건설은 하나의 결과에 대한 모든 조건은 같은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말로 '등가설'이라고도 한다. 조건설은 중요한 원인과 중요하지 않은 원인을 구별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건설은 그 범위가 지나치게 넓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불합리한 결과까지도 가져온다.
인과관계의 판단기준: 논리적 조건
2.2 원인설
인과관계의 판단기준: 조건설을 따르되, 결과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준 원인만이 인과관계가 있다.
2.3 상당인과관계설
상당인과관계설이란 일반인의 일반적인 생활경험에 비추어 p라는 행위로부터 q라는 결과가 발생하는 것에 개연성이 있다면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현재 판례가 취하는 입장이다. 적절하다
다만 상당인과관계의 상당성의 기준은 일반인의 통념상 상당성이다. 법관 임의의 상당성이 아니며, 일반인이 상당하면 상당하다고 한다.
문제는 그러한만큼, 상당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점과, 이로 인하여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으며, 사실판단과 규범판단을 동일한 차원에서 취급하여 인과관계와 결과귀속을 혼동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상당인과관계설은 미필적 고의와도 상당한 관계가 있다.
여러 모로 상당하다
2.4 합법칙적 조건설
합법칙적 조건설이란, 자연법칙적으로 p라는 행위와 q라는 결과가 연관되어 있을 때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조건설과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논리적 관계를 중요시하는 조건설과 달리, 당대 최고의 자연과학에서의 인과관계를 판단기준으로 한다. 이 견해는 기존의 형법의 가치적 인과개념을 넘어서서, 발생한 사실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자연과학적으로도 타당한 인과관계를 있는 그대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형법학계의 통설이다.
2.4.1 객관적 귀속 이론
합법칙적 조건설은 인과관계 파악을 폭넓게 적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조건설처럼 모든 조건이 동등한 가치를 가진다고 파악한다. 이는 형법의 가치판단체계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상당한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입된 이론이 객관적 귀속 이론이다. 이는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행위에 대하여 정당한 처벌을 가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법적, 규범적인 판단이 개입하는 이론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아직도 학계에서 논의중인 이론으로, 완성된 이론이 아니다.
2.4.1.1 지배가능성 이론
2.4.1.2 위험창출 이론
2.4.1.3 위험실현 이론
2.4.1.4 규범의 보호목적 이론
2.4.2 용어차이(?)
결국 합법칙적 조건설과 객관적 귀속 이론이 상당인과관계설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실익이 있는지에 대한 비판이 있다. 합법칙적 조건설과 객관적 귀속 이론에 의하여 인과관계라는 사실판단과 결과귀속이라는 규범판단의 문제가 분리된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판결에서 이를 분리하여 얻는 실익이 있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판례가 사실상 규범판단의 영역에서 객관적 귀속 이론의 입장을 상당부분 수용하고 있어 판결문에서는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설시하지만, 실제로 그 근거는 객관적 귀속 이론을 따르고 있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3 민법에서의 인과관계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