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003년에 일본 정부와 전 세계 헤지펀드들이 일본의 달러외환보유고를 두고 벌인 환율공방전.글로벌 쩐의 전쟁 실사판 일본은행이 이 당시 외환시장에 돈을 퍼부은 게 마치 대포를 쏘는 것 같다고 해서 일은포 사건이라고 불렸다.
2 과정
- 2000년대 초반, 조지고 부시는 게 취미였던 미국 대통령의 깽판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출렁거렸다. 이에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엔화를 매수하면서 엔화가치가 급속도로 상승했다.
- 엔화 가치 급등을 감지한 전 세계의 헤지펀드 수천 개가 수조 달러의 자금을 동원[1]하여 일본의 외환시장을 털어먹으려고 덤벼들었다.[2]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경고성 기자회견을 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드 경고 메세지를 무시한 채 총력을 다 해 덤벼들었다.[3]
- 깊은 빡침(...)을 느낀 일본 정부는 당시 재무상이었던 다니가키 사다카즈의 지휘 하에 재무성과 일본은행이 공조해서 매분 단위로 10억씩 엔 매도-달러 매수를 개시했다. 부족한 외환보유고는 만기가 짧은 미 재무성 채권을 팔아 환율방어 자금을 충원하고, 엔을 팔아 매수한 달러로 다시 미 재무성 채권을 구입해 정부에 반환하는 식으로 환율방어 플랜을 체계적으로 실행했다.
3 결과
헤지펀드의 멸망, 그리고 일본 정부의 승리.
그렇게 근 1년[4]동안 30조 엔(!!!), 당시 한화로 300조 원 가량 되는 자금을 환율 방어에 투입하여 환율을 방어하는데 성공한 건 물론이고, 디플레이션까지 완화하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뒀다.
결국, 겁도 없이 일본 정부에 덤볐던 헤지펀드들은 대부분 극악의 손실을 기록한 건 기본이었고, 심각한 경우에는 도산을 면치 못했다.
4 사건의 전말 분석
계란으로 바위 치기.
애당초 게임이 될 수 없었던 게 일본 정부는 만기가 빠른 미국 채권을 팔아 엔화를 모은 다음, 시장에 푼 엔화로 달러를 사들여 채권을 국고에 반환하고, 다시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을 팔아 엔화를 모아 시장에 풀고 전술한 과정대로 채권을 반환하면 되는 사이클대로 움직이면 그만이었고, 해당 포지션에 대한 단일 주체였기 때문에 일사불란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헤지펀드들은 수조 달러의 자금력으로 덤벼들었어도 그 자금을 한 개의 펀드가 아니라 수백 개가 넘는 조직들이 각자의 방침에 따라 운용했기 때문에 이해관계에 따라 언제든지 와해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물론, 일본 측 포지션은 시중에 엄청난 규모의 돈을 푸는 꼴이 돼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유발시킬 수 있었지만, 시기가 좋았던 것이 엔고로 신음하던 시기였다. 한국의 경제모델인 일본은 전형적인 가공무역 국가로 환율을 높일 필요가 있었는데, 때마침 헤지펀드들이 덤벼들었으니 시기적절하게 시장에 엔화를 풀어 환율을 끌어올릴 수 있어서 더더욱 과감하게 움직일 수 있었던 것.
결정적으로 이 당시의 일본은- ↑ 물론, 대부분의 자금은 외부에서 차입한 자금이었다. 성공하면 막대한 수익이 생기지만 실패하면 파산은 말할 것도 없고 요단강 익스프레스를 끊어야 했으니, 간단히 말하자면 일본을 아주 만만하게 보고 덤빈 거였다.
- ↑ 상당수의 헤지펀드들이 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위기때 환율시장에 개입하여 온 나라를 실컷 털어먹은 기억을 가지고 있어서 이 때도 만만하게 본 것. 대표적으로 큰 피해를 본 게 태국 바트이며, 한국 원의 경우 금모으기 운동을 통해 간신히 틀어막았다.
금모으기를 통해 중간에서 온갖 부당이득을 챙긴 몇몇 정치인들과 기업인들의 배는 더욱 불렀지만 - ↑ 일본은 장기적인 초저금리로 인해 일찌감치 금융시장을 세계화하여 해외투자로 눈을 돌렸기 때문에 국제적인 자금 흐름에 민감했다. 소액 해외투자자 집단('와타나베 부인들'이라 부리는 국제 개미투자자의 한 부류. 다만 규모는 남다르다.)과 장기 저금리를 이용한 엔케리트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이미 국제금융시장에서 미국,영국 다음으로 손꼽히는 금융대국이 된지 오래다.
- ↑ 2003년 1월부터 방어 시작, 2004년 3월 헤지펀드가 붕괴되면서 성공했다.
- ↑ 고베 대지진 때 조지 소로스의 공격으로 엄청난 손해를 보고 수출 기업이 줄줄이 적자를 본 사건이 있었다. 이 때 타격을 맞은 기업들이 후지츠나 파이오니아 등 쟁쟁한 거대기업들이었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이를 바득바득 갈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