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멸인자

1 개요

width=100%

전기물 에로게 시리즈인 신좌만상 시리즈의 용어.

아포토시스(自滅因子)

간단히 말하면 신의 자살충동이 형상화된 존재. 작중 인격을 가진 존재는 모두 자멸하고 싶어하는 충동을 가지는데[1] 이능을 통해 신의 위계에 오른 패도신[2], 특히 신좌에 앉은 패도신에게 존재하는 자살충동은 어느정도 독립된 존재로서 구현되어 버린다. 이게 바로 자멸인자. 또다른 명칭인 아포토시스는 세포 스스로가 자살하는 매커니즘을 말한다. 작중에 비교되는 대상은 바로 세포로 숙주를 내부에서 죽이는 병이지만 숙주가 죽으면 암 역시 죽어버리는 숙주에 종속되어 있으면서 숙주를 멸망으로 이끄는 점을 표현한다.

구현된 자멸인자는 숙주와 언동 · 사상 · 요구 인생이 서로 정반대되는 존재며 그렇게 서로에게 불쾌감을 느끼지만 그러면서도 또 서로에게 끌리게 되며 그렇기에 동성이면 강한 우정, 이성이면 애정이라는 형태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자멸인자는 숙주인 패도신이 무의식 중에 끌리고 있는 멸망으로의 충동이 구현화된 존재기 때문에 자멸인자 역시 끌리기 때문. 그리고 서로 끌려 가면서 자멸 인자는 무의식적으로 숙주를 멸망의 길로 이끌고, 발생자도 무의식적으로 그것을 지원하는듯한 행동을 취해 버린다. 그리고 숙주가 강하면 강할수록 자멸 인자도 그에 비례하여 강해지며[3] 이때문에 서로 싸우면 무조건 공멸한다.[4] 신좌의 신이 이렇게 죽어버리면 신좌 시스템이 붕괴하기 때문에 나라카는 거기에 대한 공작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자멸인자는 어디까지나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숙주의 충동이 구현화된 존재기 때문에 숙주인 패도신과의 싸움을 제외하면 죽지도 못한다.[5][6] 또한 보통의 존재도 자멸 인자에 깊이 관련되어가 자멸 인자에 오염되며 자멸 인자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간다. 이 때문에 자멸 인자는 암에 비유된다.

이러한 자멸 인자의 성질은 자멸 인자가 지니고 있는 갈망 · 이능도 어느 정도 반영 될 수 있도록하며, 예를 들어 라인 하르트의 나는 모든 것을 사랑한다라는 갈망과 사자소생은 각각 숙주로 끌려 가면서 멸망, 서로 숙주가 멸망할 때까지 결코 죽을 수 없다라는 자멸 인자의 성질이 그대로 형태가 된 것 대용품이다. 시로의 신화 부정이라는 갈망도 신격으로서의 자신을 끊고 인간으로 살기를 바란다라는 렌의 자괴 충동이 바탕으로되어 있으며, 능력으로 봐도 신격을 부정하자라는 자멸 인자로서의 성질을 그대로 모양으로 한 것 같은 이능이 되어있다.

린도의 세계로 이끌고 싶다는 갈망도 밖으로 나가면 죽어버리지만 그래도 나가고 싶다라는 하바키의 자괴 충동이 바탕으로되어있다. 또한 타인에게로의 오염의 확산이라는 특성 상 자멸 인자의 패도 적성은 높아지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 그 대목으로 라인하르트와 린도는 그 시대에에 가장 패도의 적성이 높은 자밖에 사용 할 수 없는 성창을 사용할 수 있다.

디에스이레는 렌과 시로. 메르쿠리우스와 라인하르트가 각각 숙주와 자멸 인자에 해당한다. 렌은 메르쿠리우스를 바탕으로 한 존재이기 때문에 메르쿠리우스와 같은 자멸 인자를 만들어내는 특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가장 친한 시로는 자멸 인자가 되어 시로와 가장 깊은 인연을 가진 레아루트에서는 그를 받아 들인 빌헬름 또한 자멸 인자에 오염되어 있었다.

카지리카무이카구라는 하바키와 린도가 숙주와 자멸 인자에 해당한다. 하바키가 가진 신좌와의 연결에 의해 린도는 전투에서 육체가 죽어서도 죽는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그러나 린도는 자멸인자로 태어난 한계를 극복, 독립된 존재로서 거듭났다.

역대 신좌의 신격 중 양극단으로 치솟은 존재인 파순새벽의 명성은 이 자멸인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파순은 극한에 이른 자기애. 즉 자기를 워낙 사랑하기 때문에 자살하자란 그릇된(...) 충동따위 가지지 않으며 새벽의 명성은 욕망 자체를 부정하기 때문에 역시 욕망의 구현화인 자멸인자가 생겨나지 않는다.

1.1 자멸인자 목록

라인하르트 트리스탄 오이겐 하이드리히
유사 시로

코가 린도
  1. 정상에 서면 추락을 원한다라고 서술된다.
  2. 구도신의 경우 자신으로 완결되기 때문에 자멸인자 역시 발생하지 않는다.
  3. 메르크리우스의 자멸인자였던 라인하르트가 좋은 예. 사실 제4천으로서 신좌의 신격인 메르쿠리우스에 비교하면 라인하르트는 매우 미약한 존재지만 자멸인자 보정으로 메르쿠리우스와 싸울땐 신들린 진화를 통해 거의 동격으로 올라선다.
  4. 승부가 정해진다고 해도 끝은 공멸인데 자멸인자가 이기면 숙주가 죽었기에 어차피 자멸인자도 사라지며 숙주가 이기더라도 동격의 상대와 싸운 여파로 완전히 만신창이가 되 곧 소멸한다.
  5. 후지이 렌의 자멸인자인 유사 시로는 예외. 신격의 자멸인자라 아니여선지 자멸 인자로서의 불멸성은 너무 운이 좋아서 죽기 어렵다 정도에 머물고 있으며 실제로 빌헬름에게 죽기도 했다.
  6. 흠좀무한게 이게 일종의 주인공 보정을 비틀어놓은 개념이다. 작중 마땅히 죽어야 할 상황에서 안죽는 주인공 보정은 신격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준비한 존재들이며 그렇기에 목적을 달성하지 전에 죽지도 못한다고 말하는 것. 그리고 목적을 다하면 바로 폐기처분 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