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판기 커피

2009012201933_0.jpg

자판기에서 파는 커피.

커피 중에 가격이 가장 낮은 축에 속하는 커피이다. 정확히는 인스턴트 커피에 물을 부어 커피를 만들어주는 자판기에서 나오는 커피이기에 인스턴트 커피보다 더 질이 낮은 것은 아니다. 요즘은 원두커피를 내려주는 자판기도 있지만 이러한 커피는 보통 자판기 커피로 부르지 않는 편.값도 캔커피 값에 육박하는 부르주아의 산물 인스턴트 커피가 아니면 자판기 커피라는 타이틀이 붙기 어렵다.

한국에서는 의외로 역사가 길지 않다. 커피자판기 자체가 19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하여 보급된 물건이다. 그 이전에도 물론 왕왕 있었지만 그야말로 최고급 식당에서나 후식용으로 100원 넣고 먹을 수 있는, 요즘 보이는 미니자판기만한 물건이 투박하게 놓여 있는 정도였다. 서울 올림픽 이후 급속도로 보급되어 지금은 길거리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물건이 되었다.

자판기에 따라서는 일반커피와 고급커피를 구분하는데, 고급커피라고 쓰여 있는 것은 커피를 동결건조시킨 것이고, 일반커피라고 쓰여 있는 것은 커피를 분사건조시킨 것이다.복잡하게 따질 것 것도 없이 고급커피면 맥심/테이스터스초이스, 일반커피면 맥스웰/그냥 네스카페다. 보통 고급커피를 100원 정도 더 받는다. 사실 똑같은 로부스타 원두 가지고 내린걸 건조방법이 다르다고 해봐야 크게 차이 나기도 힘들다. 동결건조는 커피 본연의 향을 지키기 좋은 가공법이지만 애초에 로부스타 원두는 바디감을 강화하기 위한것이지 향을 위한 원두가 아니기 때문. 스펀지에서 탐구한 결과 바리스타에게 커피를 마시게했다니 이유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고급커피가 맛있다 라고 했다. 역시 고급인가

자판기 커피도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는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대형 자판기에서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인스턴트 커피, 설탕, 프림을 따로 원료통에 넣고 지정된 방식으로 혼합하여 커피를 만드는 방식, 다른 하나는 미니 자판기에서 쓰는 커피믹스를 그대로 물에 녹여 내놓는 방식이다. 전자의 방식은 최소한 원료통 세 개가 필요한 만큼 기계가 커지고 관리도 복잡하지만 설탕이나 프림을 빼거나 농도를 조절하는 등 맛 조절 기능을 넣기 쉽다. 후자는 관리는 쉽고 기계도 단순해지지만 맛의 조절은 기대할 수 없다. 조절해 봤자 도토리 키재기이지만 보통 거리나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볼 수 있는 커피 자판기는 전자의 대형 자판기, 식당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이 후자의 미니 자판기 타입이다.

파일:Attachment/coffee k.jpg

식당 등에 있는 미니자판기를 제외하면 2012년 기준 100원짜리 커피가 가장 싸며, 그외 500원짜리, 600원짜리, 그리고 강남에는 바리스타를 갈아넣었는지 무려 1000원짜리도 있다. 질은 낮지만 효과는 커피전문점 커피랑 별반 다를바 없거나 오히려 더 뛰어나서 아침같이 졸릴 때에 잠을 깨고 싶은 경우 최상의 가격 대 성능비를 자랑한다. 실제로 자판기 커피에 함유된 카페인 함량은 레드불에 필적하는 수준이다. 전문점 커피는 드립 커피라든가 에스프레소라 할지라도 원두 자체가 카페인 함량이 낮기 때문에 카페인 함량 만큼은 자판기 커피를 절대로 따라올 수 없다.

프랑스에서 온 프랑스계 한국인 이다 도시프랑스인 친구들이 한국 와서 대접한 것에서 가장 맛이 좋다고 감탄한 게 바로 이 자판기 커피와 재래 시장에서 파는 싸구려 도넛들이었다고 쓰기도 했고, 컬럼니스트 스콧 버거슨은 한국에서 먹어본 비싼 커피보다 싸구려 커피가 매력있다고 찬양한 글을 쓰기도 했다. 정작 한국인들은 비싼 커피체인점을 간다 업주 입장에서 자판기 커피는 꽤 돈이 된다. 쉬는 시간에 담배랑 커피를 마시는 직장인(취업준비생이나 고시생까지도)들을 상징하는 게 자판기 커피이다보니

그리고 자판기 커피는 전문점에서 파는 원두커피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2배나 더 많다고 한다, 흠좀무.

에우고의 자판기 커피는 473ml와 비슷한 사이즈의 컵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