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용어 한글화 운동

1 내용

90년대 낭만파 '낭만기' PC통신 시절 PC통신상에서 일어났던 운동.

당연하지만 컴퓨터라는게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니 모든 용어가 외국의 말일 수밖에 없다. 이에 김중태 현 IT문화원 원장이 90년대 초부터 PC통신상에 전산용어 한글화 BBS인 '멋'을 설립한 것이 원류라고 한다.

한글 폰트의 제작과 배포를 시작으로 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폰트로 이야기새롬 데이타맨에서 쓰인 '둥근모꼴', 일간스포츠의 로고에 사용되었던 '중태세모꼴', 그리고 현재 지하철 전광판에 쓰이는 폰트 역시 이때 만들어졌다. 이외에 CD를 만들어 배포하는 등 꽤나 열성적으로 한글화에 앞장섰고, 한때는 PC통신 전역에서 이 운동이 퍼져 한글 용어를 쓰는게 대세가 되기도 했다.

PC통신이 몰락한 현재로서는 이 운동이 이어지고 있지도 않고, 거기다가 인터넷이 등장한 뒤 한글화 하기에는 난해한 용어들도 수도 없이 늘어남에 따라서 진행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컴퓨터 발전이 워낙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터라 이 운동이 일어나던 과거엔 존재하지 않았다가 현재는 존재하는 용어도 많다. 예를 들면 USB 같은건 뭐라고 표현할 지 감조차 안잡힌다.동식이.

그래도 몇몇 단어(글꼴[1] 등)는 어느정도 정착되어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특히 90년대의 PC통신 세대들을 중심으로 여전히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는 편.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가면 비교적 자주 보이고 이들이 언어팩 번역에 기여할 경우 해당 용어가 들어간 배포판을 볼 수도 있다. 때문에 초심자가 해당 용어를 몰라 당황하는 경우도 있다.

2 사례

굵은 글씨는 어느정도 정착되었거나 현재도 나름 잘 쓰이고 있는 한글화 용어이다. 단, 이 기준은 사람에 따라 주관적일수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수정 바람과 함께 적절하게 걸러내서 받아들이자. 그리고 굵은 글씨가 거의 없다.[2]

원래 용어한글화
BBS벼락쪽
다운로드내려받기[3]
마더보드으뜸판
마우스다람쥐
모뎀셈틀 전화기
버그벌레[4]
버전 x.yx째판 y째마당
버전 업그레이드판올림
부팅첫띄움
서버일꾼
소프트웨어무른모[5]
스페이스바사이띄개
업로드올리기[6]
엔터 키큰글쇠
인스톨심기[7]
캡처갈무리[8][9]
커서반디
컴퓨터[10]셈틀
클라이언트고객[11]
글쇠[12]
키보드글판(글쇠판, 자판)
패스워드열쇠말[13]
패킷보쌈
폰트글꼴
프로그램풀그림
하드웨어굳은모
허큘리스#s-2[14]천하장사

뭐 이런 식이다. 자세히 알면 추가바람.

3 여담

포항공대의 모 교수가 번역한 일부 컴퓨터 책은 이것이 여러 의미로 폭넓게(...) 적용되어 있어서 전용 사전을 참고하면서 읽지 않으면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분명 나는 한글을 보고 있는데 이해를 못하겠어'란 좌절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이상이 주로 1990년대 민간기업이나 동아리 차원에서 한글화한 단어라면, 2000년대 이후에는 국립국어원과 KBS, 동아일보가 주축이 되어 만들어낸 단어도 적지 않다. 예를 들자면 댓글, 누리꾼, 누리집 같은 단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만 몇몇 참여자들의 인터넷 투표만으로 일방적으로 한글화 단어를 결정하는 게 타당한지 논란이 있다.

사실 이런 개념이나 용어들은 대중적 수준에선 분야를 막론하고 결국 사용하기 편리하고 직관적인 표현들이 받아들여지게 마련이라 의도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되는 게 아닌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역으로 '(프로그램을)깐다'[15]거나 '(자료를)받는다(또는 올린다)[16]' 혹은 '비번'[17]을 넣는다는 식으로 그냥 둬도 사용자들에 의해 알아서 현지화되는 경우도 흔하다.

  1. 이건 한글 윈도우에서 이 용어를 정식 채용하면서 정착에 성공한 케이스이다.
  2. 아래의 단어들은 현대에 이르러 대부분 사어화 되었다. 오픈소스 진영의 경우 순화어가 들어간 배포판이 있는 관계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나 오픈소스만 벗어나면 쓰이는 경우가 없다. 당장 '글꼴'만해도 윈도우즈의 보조 프로그램이 해당 단어를 사용하니 그나마 남아 있지 나머지 단어들은 불 보듯 뻔하다.
  3. 현재는 '내려'를 생략하고 그냥 받는다는 표현만 쓰는 경우가 많다.
  4. 벌레보다 '오류'라는 말이 더 사용한다.
  5. 2000년대까지 교과서에서 또는 언론사에서 사용하기도 했다.
  6. 내려받기와 함께, 원 단어를 사실상 밀어 낸 몇 안 되는 우리말 표현.
  7.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고 대신 '설치'나 '깔기' 등의 말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8. PC 통신시절 널리 대중화된 용어이나 현재에 와서는 '정리해 모아둔다'의미로 쓰임이 달라지거나 자주 쓰이는 일이 없다.
  9. 이 표현이 널리 쓰이던 당시도 주로 게시판에서 글을 긁어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걸 갈무리라고 했고 그림은 그냥 저장핸다는 식으로 표현했다.
  10. 이쪽은 사실 외래어다.
  11. 당연하게도 한자어. 그렇다고 '손님'이라고 쓰자니 게스트에 상응하고... 근데 판도 전화도 자판도 천하장사도 한자어다. 한자로 안쓴게 어디야.
  12. 한컴타자연습에서 프로그램 이름과 달리 글쇠연습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다.
  13. '열쇠말' 대신 '패스워드'와 '비(밀)번(호)', '암호'가 혼용된다.
  14. 다른 용어들과 달리 이쪽은 고유명사다!
  15. 인스톨 또는 셋업
  16. 다운(로드) 와 업로드
  17.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