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용
90년대 낭만파 '낭만기' PC통신 시절 PC통신상에서 일어났던 운동.
당연하지만 컴퓨터라는게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니 모든 용어가 외국의 말일 수밖에 없다. 이에 김중태 현 IT문화원 원장이 90년대 초부터 PC통신상에 전산용어 한글화 BBS인 '멋'을 설립한 것이 원류라고 한다.
한글 폰트의 제작과 배포를 시작으로 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폰트로 이야기와 새롬 데이타맨에서 쓰인 '둥근모꼴', 일간스포츠의 로고에 사용되었던 '중태세모꼴', 그리고 현재 지하철 전광판에 쓰이는 폰트 역시 이때 만들어졌다. 이외에 CD를 만들어 배포하는 등 꽤나 열성적으로 한글화에 앞장섰고, 한때는 PC통신 전역에서 이 운동이 퍼져 한글 용어를 쓰는게 대세가 되기도 했다.
PC통신이 몰락한 현재로서는 이 운동이 이어지고 있지도 않고, 거기다가 인터넷이 등장한 뒤 한글화 하기에는 난해한 용어들도 수도 없이 늘어남에 따라서 진행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컴퓨터 발전이 워낙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터라 이 운동이 일어나던 과거엔 존재하지 않았다가 현재는 존재하는 용어도 많다. 예를 들면 USB 같은건 뭐라고 표현할 지 감조차 안잡힌다.동식이.
그래도 몇몇 단어(글꼴[1] 등)는 어느정도 정착되어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특히 90년대의 PC통신 세대들을 중심으로 여전히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는 편.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가면 비교적 자주 보이고 이들이 언어팩 번역에 기여할 경우 해당 용어가 들어간 배포판을 볼 수도 있다. 때문에 초심자가 해당 용어를 몰라 당황하는 경우도 있다.
2 사례
굵은 글씨는 어느정도 정착되었거나 현재도 나름 잘 쓰이고 있는 한글화 용어이다. 단, 이 기준은 사람에 따라 주관적일수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수정 바람과 함께 적절하게 걸러내서 받아들이자. 그리고 굵은 글씨가 거의 없다.[2]
원래 용어 | 한글화 | |
BBS | → | 벼락쪽 |
다운로드 | → | 내려받기[3] |
마더보드 | → | 으뜸판 |
마우스 | → | 다람쥐 |
모뎀 | → | 셈틀 전화기 |
버그 | → | 벌레[4] |
버전 x.y | → | x째판 y째마당 |
버전 업그레이드 | → | 판올림 |
부팅 | → | 첫띄움 |
서버 | → | 일꾼 |
소프트웨어 | → | 무른모[5] |
스페이스바 | → | 사이띄개 |
업로드 | → | 올리기[6] |
엔터 키 | → | 큰글쇠 |
인스톨 | → | 심기[7] |
캡처 | → | 갈무리[8][9] |
커서 | → | 반디 |
컴퓨터[10] | → | 셈틀 |
클라이언트 | → | |
키 | → | 글쇠[12] |
키보드 | → | 글판(글쇠판, 자판) |
패스워드 | → | 열쇠말[13] |
패킷 | → | 보쌈 |
폰트 | → | 글꼴 |
프로그램 | → | 풀그림 |
하드웨어 | → | 굳은모 |
허큘리스#s-2[14] | → | 천하장사 |
뭐 이런 식이다. 자세히 알면 추가바람.
3 여담
포항공대의 모 교수가 번역한 일부 컴퓨터 책은 이것이 여러 의미로 폭넓게(...) 적용되어 있어서 전용 사전을 참고하면서 읽지 않으면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분명 나는 한글을 보고 있는데 이해를 못하겠어'란 좌절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이상이 주로 1990년대 민간기업이나 동아리 차원에서 한글화한 단어라면, 2000년대 이후에는 국립국어원과 KBS, 동아일보가 주축이 되어 만들어낸 단어도 적지 않다. 예를 들자면 댓글, 누리꾼, 누리집 같은 단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만 몇몇 참여자들의 인터넷 투표만으로 일방적으로 한글화 단어를 결정하는 게 타당한지 논란이 있다.
사실 이런 개념이나 용어들은 대중적 수준에선 분야를 막론하고 결국 사용하기 편리하고 직관적인 표현들이 받아들여지게 마련이라 의도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되는 게 아닌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역으로 '(프로그램을)깐다'[15]거나 '(자료를)받는다(또는 올린다)[16]' 혹은 '비번'[17]을 넣는다는 식으로 그냥 둬도 사용자들에 의해 알아서 현지화되는 경우도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