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폐

1 개요

箭幣. 조선 세조가 만들어 유통시키려 했던 금속 화폐.

2 내용

팔방통화 또는 유엽전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 이전까지는 화폐가 사용되지 않았다.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문헌 기록상으로 자모전, 무문 금,은전 등이 언급되기는 하나 일단 이를 입증할 유물이 전혀 없으며, 문헌에 언급되더라도 본격적인 화폐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쌀이나 포목 등을 곡화(穀貨), 미화(米貨), 포화(布貨)라 부르며 물물교환하다가 가끔 한두번씩 사용된 정도로만 확인되고 있다. 그러다 고려시대에는 건원중보, 은병, 해동통보, 쇄은 등이 나오지만 역시 당시 미포(米布)라 불리던 쌀과 삼베포를 주로 이용하고 화폐는 귀족 등의 상위층이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했으며, 그마저도 고려 후기에 가면 양심 없는 인간들이 당시 화폐로 사용되던 은에 동을 섞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거래할 때마다 일일이 순도를 검사하고 중량을 달아봐야 하게 되면서 모두 화폐로서의 기능을 상실해 버렸다.

조선이 들어선 후 초기엔 고려시대의 해동통보, 은병, 쇄은을 사용하다 앞과 같은 문제로 모두 사용을 금지하고 태종 2년에 저화라는 것을 만들었다. 최초의 지폐, 즉 종이돈으로 닥나무 껍질을 엮어 종이를 만든 후 도장을 찍고 품질과 길이를 규격화하여 만든 것으로 성종 때까지 약 100여년간 유통된다. 문제는 지폐인 저화가 액면가치가 너무 커 고액거래에만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때문에 세종대왕이 동전인 조선통보를 발행하여 저화를 고액거래, 조선통보를 소액거래에 사용토록 하게 하였으나 조선통보는 대차게 실패했다.

이때 세조는 대군시절 아버지인 세종대왕 곁에서 화폐개혁이나 기타 여러가지 일들을 돕고 있었는데 훗날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의 뜻을 잇겠다며 만들게 한 것이 전폐다.

3 특징

기존 화폐들과 다른 가장 큰 특징은 실용성이다. 전폐는 평상시에는 화폐로 사용하다 전쟁시에는 소형 화살촉으로 사용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이전부터 북방 지역에서 소요가 많아 무조건 많이 만들어둬야 했던 철전과 수우각, 죽전을 대신해 만든다는 느낌이라 예산 상의 문제에서도 자유로웠다.

또한 조선통보가 당시 동전의 주요 원료였던 구리를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는 처지여서 40만개밖에 만들지 못해 전국적인 유통 화폐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찍어낼 수 없었던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요 소재를 철로 삼았다.

4 망했어요 시즌 2

그렇습니다 우리는 망했습니다.

1464년 11월부터 전폐를 만들도록 명을 내렸으나 몰락하는 모습까지 똑같이 아버지의 뒤를 따랐다.

가장 큰 문제점은 애초에 화폐통용이 불가능했던 이유가 화폐를 실용성 있게 만드느냐 아니냐 따위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시 15세기 중엽의 우리나라는 아직 포화나 미곡 등의 물품화폐 유통체제에서 완전한 전국적인 명목화폐제로 일괄 전환하는 것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또한 화폐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군사적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고안된 전폐의 기능은 장점이자 동시에 단점이기도 했다. 지나치게 실용성을 찾다가 화폐 정책 하나에만 올인하지 못하고 군사정책에 관련된 고려까지 함께 하다보니 화폐 통용정책 과정에서 경제학적 논리로 볼때 불합리한 정책운용이 있기도 하였던 것.

결국 전폐 또한 실패의 길을 걸었다. 그나마 세종때보다 나았던 점은 똑같은 모습으로 망할 것 같자 백성들에게 고통을 주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으로 정책을 강압적으로 밀어붙이지 않고 재빨리 접어버려 관련 피해는 전혀 없었다는 것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