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모산성 전투 | ||
날짜 | ||
고종 19년(1231년) 1231년 11월 초순 ~ 12월 중순 | ||
장소 | ||
자모산성 (평안남도 순천군 자산) | ||
교전국1 | 교전국2 | |
교전국 | 고려군 | 몽골군 |
지휘관 | 최춘명(崔椿命) | 불명 |
병력 | 불명 | 3,500명 |
피해 규모 | ? | ? |
결과 | ||
자모산성에서 1달간 시간을 끔. |
1 여몽전쟁 당시 벌어진 전투
慈母山城 戰鬪
1231년 11월 ~ 12월
동선역 전투에서 승리를 차지한후, 기세좋게 안북성까지 몽고군을 몰아냈으나, 안북성 전투에서 병력 꼴아박기를 시전, 결국 고려 주력군이 궤멸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몽고군은 병력을 재정비해 개경을 향해 남진을 재개했고, 살리타이는 본대의 병력중 3,500명을 차출해 자주(慈州)로 향하게 했다. 자주는 귀주 - 태주 - 개주 - 순주 - 개성을 잇는 주요 요충지였기에 이곳을 점령할 필요가 있었던 상황이었다.
1.1 자모성을 사수하라
400px |
자모산성 |
자주에서 서쪽 25리 근방에 위치한 자모산성[1]에 자주부사(慈州副使) 최춘명(崔椿命)[2]이 인근 군민들을 모두 모아서 몽고군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다. 1231년 11월, 몽고의 사신이 항복을 권유하자 최춘명은 이를 거부했고 몽고군은 이에 1개월간 파상공세를 펼치게 되었다.
최춘명을 중심으로 고려백성들이 완강하게 저항하였고 몽고군이 쉽게 점령하지 못하고 있을무렵, 몽고의 살리타이는 고려 정부와의 강화교섭이 진행되자 자모산성에 대한 공격을 중지시키고 고려 조정에 자모성이 알아서 문을 열고 나오도록 압박을 가했다.
고려는 12월 중순에에 내시낭중(內侍郞中) 송국첨(宋國瞻)을 보내어 항복을 권유했지만 최춘명은 성문을 닫고 응하지 않았다. 이에 송국첨은 욕을 한바가지 붓고 돌아갔다.
1.2 항복 X까
살리타이와 강화협상을 진행했던 회안공(淮安公) 왕정(王侹)에게 살리타이는 "자주가 항복하지 않고 있으니 사람을 보내어 항복을 시켜야 합니다.(慈州不降 宜遣人諭降。)"라고 했다. 왕정은 대집성과 몽고 관리를 자모성으로 보냈다.
이때 둘이 나눈 대화가 《고려사》열전 - 최춘명 전에 실려있다.
대집성[3] : "우리 모두 항복했습니다. 님도 항복하시죠(國朝及三軍已降 宜速出降。)"최춘명 : "구라치지마 병신아(朝旨未到 何信而降。)"[4]
대집성 : "회안공이 GG쳐서 우리도 같이 GG친건데 이걸 못믿는다고?(淮安公已來請降 故三軍亦降 此非信耶。)"[5]
최춘명 : "우린 회안공이란 놈이 누군지 모르거든?(城中人不知有淮安公。)"[6]
배신자들 말을 들으라고? X까
이 대사를 듣고 있던 몽골관리가 대집성을 갈구면서 "그러지 말고 들어가서 이야기를 합시다"라며 성안 진입을 시도하자 최춘명이 "쏴버려" 한마디를 내렸고 부하들이 화살을 쏘아 들어가지 못하게 막았다. 이처럼 4~5번을 시도했지만 끝내 항복하지 않자 대집성은 화가 잔뜩 난채로 돌아갔고, 살리타이는 대집성에게 반드시 죽여버리라고 명했다.
이를 고종이 알게되자 신하들과 논의했고 다들 그에게 사형은 과하다고 형벌을 깎아야 된다는 것에 건의했다. 그러나 대집성이 당시 고려를 휘잡고 있던 최이에게 가서
"최춘명이 쌩까고 항복 안해서 지금 몽고 형님들이 화가 나있거든요? 그놈 안족치면 살리타이가 어떤 짓을 할지 모르는데 왕과 신하란 놈들이 미적거리고 있으니 우리 다죽게 생겼습니다. 제발 님이라도 그놈 제거 해주셈"[7]천하의 개쌍놈
이라며 모함을 했고 최이는 이를 허락했다. 신하들은 최이의 말에 수긍했지만 유승단(兪升旦)은 결코 그를 죽여선 안된다며 반대를 했다. 하지만 최이는 상큼하게 씹어주고 내시(內侍) 이백전(李白全)에게 최춘명을 죽이라 명하고 서경으로 보냈다. 최춘명은 성문을 열고 나와 어명을 받고 항복했으며 죽음을 앞두고도 얼굴색과 행실이 하나도 변하지 않자 이를 본 한 몽고 관리가 "거 이름이 뭐요?"이라고 물었고 이백전이 "도지사자주부사입니다."라고 했다.
- ↑ 둘레는 12,733척(약 4.5km), 높이는 13척(약 4.6m)였으며 성안 골짜기마다 샘물이 솟아서 우물이 99개나 되었다는 설화도 존재 할 정도로 수량이 매우 풍부한 산성이었다고 한다. 훗날 임꺽정이 이곳을 본거지로 삼아 활동하기도 했다.
- ↑ 해동국사 최충의 8세손이다. ? ~ 1250년.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부친은 신종때 판예빈성사(判禮賓省事),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 등을 역임한 최혁(崔奕)이다. 고려사에 따르면 그의 성격은 성품이 관대하고 온화하며 절조가 있었다고 한다.
- ↑ 안북성 전투의 최대의 뻘짓을 한 그 놈 맞다.
- ↑ 번역 : 조정의 지시가 내리지 않았는데 무엇을 믿고 항복하는가.
- ↑ 사실 안북성 전투에서 패배하는 바람에 고려조정에서 회안공을 보내 강화를 시도한거다. 대집성은 이를 교묘하게 자신의 실수를 덮고자 앞뒤 순서가 바뀌어서 말했는데 이게 《고려사》에 그대로 실려있다. 대집성의 거짓말을 언급하며 답이 없는 놈이라는걸 사관들이 말하고자 한것일게다.
- ↑ 번역 : 성 안에 있는 사람들은 회안공이 누군지 모른다.
- ↑ 고려사에 기록된 원문은 <대집성은 최이(崔怡)의 집으로 가서 "최춘명이 명령을 거부하고 항복하지 않아 몽고가 화를 내고 가버렸으니 그 재앙이 작지 않을 것입니다. 그를 죽여서 몽고에 보여주어야 하는데도 지금 임금과 재상들이 모두 머뭇거리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공 혼자만이라도 결단을 내려 그를 죽이기를 바랍니다."라고 하니 최이가 허락하였다.(集成詣 崔怡第曰 "椿命拒命不降 蒙古怒去 禍將不小。宜殺之 以示蒙古 今上及宰相 皆猶豫未決。請公獨斷殺之。"怡諾)
- ↑ 이후 전공을 논할때 최춘명이 첫번째로 이름을 올렸으며, 추밀원 부사로 발탁되었다고 한다. 최춘명은 1250년에 사망했고 관직은 위위경(衛尉卿)까지 올라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