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제3야전군사령부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 | |||||||
제1포병여단 | 제2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 제5포병여단 | 제6포병여단 | 제7포병여단 | 수도포병여단 |
제6포병 여단가힘차게 굽이치는 한탄강 기백으로
겨레사랑 호국의지 다락터에 메아리친다
연천축성 막강화력 포구는 불을 뿜고
초탄에 명중하는 무적의 진군포병우리는 진군한다 통일의 그날까지
우리조국 지키는 최강진군 육포병여단거칠은 산하를 힘차게 누비며
온몸 가득 넘치는 포병인의 기상으로
포탄에 혼을 담아 온 몸을 불사르는
영원한 민족의 방패 불패의 야전포병우리는 진군한다 통일의 그날까지
우리조국 지키는 최강진군 육포병여단
1 소개
대한민국 육군 제6포병여단. 부대마크는 상급부대인 육군 제6군단의 것을 사용한다.
1954년 5월 1일 6군단 포병사령부로 창설되어, 1982년 8월 1일 제6포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경기도 동두천시에 여단사령부가 있으며 경기도 연천군, 포천시 등 여러곳에 예하 포병대대를 두고 있다.
주력 장비는 K55 자주곡사포이며 점진적으로 K-9 자주곡사포로 전환되고 있다. 일부 대대에서는 2009년 기준으로 155mm 견인곡사포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런 부대에 걸리면 대략 안습.(...)
6포병여단의 대대들은 포병여단(기계화사단예하 포병여단급 제외)들이 그러하듯 군단포병으로써 제6군단 직할 부대가 많아 사단과 비스무리하게 독립적인 작전을 수행하는 훈련을 한다. 때문에 여단 전체가 하는 훈련보다 대대가 독립적으로 하는 훈련이 더 많다.
동두천에 있는 여단본부의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고 전투부대가 아닌지라 자주포는 구경할 수 없다. 자주포를 보기 위해서는 예하에 있는 대대에 가봐야 할 것. 포병의 특성상 같은 대대라 할지라도 포대별로 따로 떨어진 위치에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앞서 설명했듯 6포병여단은 동두천에 위치해 있고 수 많은 예하부대들은 최전방 위주로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훈련소 등에서 이곳에 자대 배치를 받았다 해도 휴전선 근처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곳에 자대 배치를 받았다면 제발 여단 본부에 걸리길 희망하자. 예하 대대로 배정될 경우 60~70년대가 떠오르는 시설과 보급품을 경험할 수도 있다. 여단 본부 보다 더 시설 좋은 독립대대 인 3302 부대 가 있다. 다만 여기는 비포신 포병으로 대포병 레이더 부대라 파견 갈 확률이 무지 높다.
여단본부가 아니더라도 그나마 나은 시설과 보급품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런 곳은 주로 K-9 자주곡사포를 운용한다. K55 자주곡사포나 155mm 견인곡사포를 운용하는 부대에 걸리면 장비의 안습함과 합께 부대시설도 안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독립포대만은 피하길 바란다. 안습한 부대시설과 함께 PX도 출장소형식이라 PX에 먹을것이 하나도 없을 수가 있다. 1723부대 3포대는 빼고... 여긴 뭐 포대 PX 매출이 대대보다 많더라.
5.16 군사정변 당시 주동자가 포병장교라서 동원된 주력부대 중 하나로, 예하 4개 대대가 포를 버리고 병력만 서울로 진입하여 육군본부를 점거하기도 했다. 쿠데타 참여부대 소속이라면 창고정리를 하면서 잘 찾아보도록 하자. 오래된 부대연혁에 -516 군사혁명 참여, 완수- 라고 적혀있을 테니..
2 예하부대
- 육군 연대급 이하 부대는 고유명칭(예: 육군 제1보병연대)을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통상명칭(예: 육군 제3260부대)이나 애칭(예: 한라산 부대)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 주둔지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내용 또한 작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 작성에 주의해 주세요.
- 제 6포병단
- 제 9포병단
- 직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