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포병여단

틀:군관련

제7기동군단 예하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제20기계화보병사단제7포병여단제7공병여단제7기동군단직할대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
제1포병여단제2포병여단제3포병여단제5포병여단제6포병여단제7포병여단수도포병여단
북진 선봉 충호 포병

포병의 자부심, 7포병여단

YA_NP_20140220_00806966.jpg
kor-7%C6%F7%BA%B4%BF%A9%B4%DC-K136%B4%D9%B7%C3%C0%E5_%BB%E7%B0%DD(%C0%B0%B1%BA%C1%A6%B0%F8).jpg

vii-corps.gif

대한민국 육군포병 여단이다. 북진선봉부대라고 불린다. 경례구호북진이다. 이는 상위 군단제7기동군단과 같다. 군단 직할 포병여단 이기 때문이다. 여단장에는 준장이 보임된다. 영문 정식 명칙은 Republic of Korea Army (ROKA) 7th Artillery Brigade. 평시에는 총 5개 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의 K-9 대대와 1개의 다련장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다련장대대는 2017년 경 신형 다련장대대로 재편성 될 예정이다. 여단본부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며 1개의 다련장대대와 2개의 K-9 대대가 여단본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2개의 K-9 대대는 영외대대로 각각 양평군의정부시에 위치하고 있다.
2010년 연평도 포격 사태 당시 해병대 병력이 철수하면서 제7포병여단의 K-9 대대가 순환으로 연평도에 투입됐으며 백령도에는 다련장대대 1개 포대가 투입되기도 하였다. 또한 서북도서 병력 증가 뉴스 때마다 빠짐없이 나오는 다련장 배치가 바로 제7포병여단의 다련장 1개 소대이다. 다만 그 다련장들이 2017년 신형 다련장 배치 계획에 따라 해병대로 짬처리된 건 함정이다.

1 개요

대한민국의 핵심 기동군단인 제7기동군단의 화력을 담당하며, 제7기동군단 자체가 가장 선진화되고 강력한 화력 무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7포병여단 또한 최신예 K-9 자주포K-10 탄약보급장갑차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제7포병여단본부와 예하 3개 대대는 경기도 남양주시 근방에 주둔하고 있으며, 다른 두 개 대대도 의정부시 (실제 부대 위치는 남양주시인데 의정부시 경계 바로 앞) 양평군등지에 산개해 있다. 위치가 중요한 것이 아닌게 방어를 포기하고 북으로의 진격(그래서 경례구호도 북진이다)에만 신경쓰는 군단 예하 포병이기 때문에, 그리고 기동군단의 특수성을 반영한 여단이기 때문에, 타 부대처럼 주둔지가 정해져 있어 그 곳에 주둔하고 있는 것이 아닌, 서울특별시 동쪽, 북쪽 방면에 임시로 주둔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부대마크는 제7기동군단 마크에 뒤에 포병병과마크를 배경으로 한 것을 차용한다. 하지만, 제7기동군단직할의 여단이기 때문에 장병들이 군복에 다는 오버로크는 제7기동군단의 것을 그대로 단다.

보통 신병은 제3야전수송교육단에서 훈련받는 수송병을 제외하고는 육군훈련소, 맹호신병교육대, 20사단신병교육대 등지에서 훈련을 받고 자대로 온다. 가끔씩 다른 사단 신병교육대에서도 오기는 한다. 예하에 신병교육대가 존재 할 수 없는 것이 원인.

2 훈련

유일한 기동군단인 제7기동군단의 예하 포병여단이자, 비슷한 사/여단 급 제대인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과 같은 군단에 속해있기 때문에 훈련은 많은 편이다. 호국훈련, 각종 전술 훈련, KR/FE, 유격 훈련, 혹한기 훈련, 전투장비 지휘검열, 군단 지휘검열 등 빼곡한 훈련 일정이 기다리고 있다. 훈련도 다른 부대와 구분되는 것이 방어 따윈 개나준 부대이기 때문에 공격과 진격에만 신경을 쓴 독특함(물론 힘들지만...)을 자랑한다.
한마디로 북진에 최선봉으로 진격하는 정예 부대를 지원하는 주력 화력을 담당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제7포병여단 여단본부근무대의 경우 기본적인 훈련인 유격훈련과 혹한기훈련은 받게된다. 하지만, 여단본부는 대대가 아니므로(중대급 편제이나 수는 일반 중대보다 더 많다) 대대전술훈련 등을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 각종 훈련이 있을 때도 상대적으로 여단본부의 경우, 본부의 특성상 훈련에 참가하는 것이 아닌 총괄하는 성격이 짙으므로 훈련을 할 가능성은 낮아진다.야근을 할 확률과 간부를 마주칠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는 건 함정 [1]

3 이것저것

  • 전략무기인 현무 탄도 미사일까지 운용한 적이 있다. '제7독립미사일대대'라고 하여 현무 운용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었다. 유도탄사령부를 창설한 뒤 현무의 운용을 유도탄사령부에서 맡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 적어도 본부와 그 이웃에 마주하는 대대는 신막사 생활을 한다. 2013년 경까지 신막사 건설이 완공되었고, 모든 대대 및 근무대가 이제는 신막사에서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확실히 구막사 보다는 10명 내의 인원이 생활하며 침대를 사용하는 신막사가 쾌적하고 시설도 월등하다. 하지만, 반대로 사무실 및 근무지와 거리가 멀어져 확실히 근무지간 이동에 불편함은 존재했다.
  • 2013년 초까지는 별명이 제7포상여단이었다. 포상휴가가 많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 확실히 지휘관이 인격적으로 장병들을 대우해주셨고 장병 복지에 힘써 휴가나 외박도 잦았다. 물론 지금은 지휘관 교체로 예전만 못하다. 하지만, 아직도 지리적 위치는 중앙선으로 용산구서울특별시 중심부로 한 시간 내 진입이 수월하기 때문에 타 근방 부대에 비해 좋은 편이다. 다만, 간부들은 주말출근에 야근이 잦았다. 말그대로 간부를 갈아 넣은 건대, 그덕분에 고급간부들이 전방으로 많이 빠졌고, 지원율도 현저하게 떨어졌다. 그여파로, 심각한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 포병여단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며 한강과 매우 가깝다. 사실상 모든 포병여단 중 가장 최상의 근무환경을 자랑한다. 타 포병여단이 휴전선인근 최전방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보면 정말 감사해야 할 부분. 장비도 가장 최신이기 때문에 부대 조건은 가장 훌륭한 측에 든다고 할 수 있다.
  • 남양주시 와의 연계 활동 및 교류가 잦다. 한강정화사업이나 각종 봉사 활동 등을 지원하는 주민 친화형 부대를 표방하고 있다(물론 장병만 주말에 고생한다).
  • 유격의 경우 삼육대학교 근방의 불암산 인근으로 훈련을 하러 간다.
  • 어찌되었든 이 다련장을 인수하기 위해 백령도제6해병여단이 한달간 제7포병여단의 다련장대대에 파견을 와서 각종 교육을 받았으며 해당 기간 동안 해병대가 '필승'이 아닌 '북진'이란 육군 경례구호를 쓰는 아름다운 광경을 목격할 수 있었다. 당시 파견 온 해병대원들은 대부분 일상병들로 구성되었으며 해병대의 장비 물자 부족으로 인해 통신병임에도 불구하고 육군의 999k와 같은 무선통신장비를 처음본다는 해병대원도 교육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아무튼 이 해병대는 철원에서 실행하는 후반기대대전술훈련까지 참가하여 포탄사격까지 무사하게 완수 후 퇴소했다.
다만 해당 훈련시 탄불량으로 브라보포대의 둘포에서 6연사한 로켓 중 1발이 유턴하여 포차 앞에 떨어지는 아찔한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후방에서 구경 중인 전 병사가 모두 벗어뒀던 하이바를 쓰고 순식간에 엎드리는 장관을 보며 본부포대장은 내심 뿌듯함을 느꼈다고 한다. 다행히 발사 순간 탄두는 날아가서 폭발하진 않았다. 다만 탄두 폭발은 관측이 안됐는데 결국 수색팀이 탄두를 못 찾고 훈련 복귀한건 함정. 해당 사고 이후 한화 측 관계자가 훈련장에 방문하였으며 탄불량으로 최종 판정되었다. 그러나 해당 훈련 출발 중 브라보 넷포는 교통사고를 내고 훈련 중엔 둘포는 포사격 실패 복귀 중엔 길을 잃고 브라보포대 차량 일부가 낙오하는 등 브라보포대장멘붕에 빠지고 말았었다.
  • 이 부대가 군단 사령부(이천시 장호원읍)와는 달리 남양주시에 있는 이유는 대한민국 육군 사단 중 가장 화력이 강한 두 예하사단(각각 가평, 양평에 위치)중 하나라도 쿠데타를 일으켜 전차를 몰고 올 경우에 대비하여 서울로 통하는 고속도로 길목을 막기 위함이다.
  1. 하지만 직접적인 훈련을 하지 않는다일 뿐, 훈련 시 주둔지로 나아가 부대 전개(지휘소 전개를 한다)는 똑같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