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다

1 일반적인 의미

  • 못 등으로 쪼아 울퉁불퉁한 것을 고르게 다듬다.
  • 주다, 죄다 등의 방언.

2 고구려의 역사상 인물

高助多

(? ~ ?)

고구려의 왕자. 장수왕의 아들이자 문자명왕의 아버지이다.

고추대가(古鄒大加)[1] 벼슬을 지냈는데, 하필이면 아버지인 장수왕이 90세가 넘도록 장수하는 바람에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 왕위를 못 이었다.

끝내 장수왕이 98세의 나이로 승하하자 이미 세상을 떠난 조다를 대신하여 조다의 아들인 나운이 왕위를 이었는데, 그가 바로 문자명왕이다.[2]

조다의 행적이라고 볼 수 있는 기록이 있는데, 바로 중원 고구려비이다. 내용을 보면 신라와 외교를 맡은 고구려 태자 공(共)이 보이는데, 중원 고구려비를 세운 장소인 국원성을 방문한 적이 있는 듯하며, 태자 공은 법흥왕과 함께 꿇어앉았다거나 그에게 적추를 내렸다고 한다. 그런데 이 태자 공이 고추가 조다와 동일인물이라는 설이 있다. 태자 공(共)이 고추가 공(古鄒加 共)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조다와 동일인물이라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중원고구려비의 성립연대를 문자명왕 대로 보는 견해도 있어서 확정짓기는 어렵다.

하필이면 아버지가 너무 오래사는 바람에 왕위조차 못 잇고 세상을 떠나서 안습함의 대명사로 꼽히는 인물. 그 때문인지 역사 커뮤니티에서 개그 소재로도 전락한다. 왕위를 못 이어 슬픈데 후손들한테도 농락을 겪으니 더욱 암울하다.

'아버지보다 수명이 짧아 왕위를 못 이을 만큼 한심하다'하여 쪼다라는 말의 어원이라는 설을 KBS 스펀지 101회 방송분에서 소개했는데, 왕족의 이름은 백성들이 마음대로 내뱉을 만큼 만만한 것이 아니라 어원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3]애당초 말같은 소리를 주장해야지 인터뷰를 한 국어학자에 의하면 장수왕 이야기는 사실무근이고 1960년 대 불량배들이 누구를 골려줄 때 '쫘 버려라'라는 은어에서 유래되었거나 '쫀다'라는 동사가 명사화된 걸 정설로 보고 있다고 한다.
  1. 왕족 가운데서도 최상위의 호칭으로 왕 다음가는 서열이다.
  2. 그래서인지 삼국사기 장수왕 본기에서는 안 나오고 문자왕본기에 나온다.
  3. 이를 피휘라고 하는데 일종의 주술적 의미였던 것이 전통사회 붕괴전까지 지속된 것. 자세한 사항은 피휘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