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물산공진회

파일:Attachment/1915japanesedcp.jpg
당시 배포되었던 조선물산공진회 홍보자료 중 하나[1]

1 개요

朝鮮物産共進會

일제강점기1915년에 열린 행사로, 일본 제국이 조선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5주년 기념/축하 사업으로 벌인 일종의 지역구 박람회이다.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개최 장소는 경복궁이었다.

'함께 나아간다'는 뜻의 '공진(共進)'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제의 무단 강점 통치 5년을 마치 '같이 발전했다'는 식으로 날조하려는 것이 이 박람회의 주요 목적이었다.

2 상세

일제는 1913년부터 자신들의 무단통치를 다른 나라에 합리적인 수단인 것처럼 홍보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겼는데, 그 중 대표적인 사업 중 하나가 바로 이 조선물산공진회이다. 한반도 산업을 진흥시키고 문명을 개화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당시 조선인들의 자주성을 흐리게 하고, 나아가서 식민 지배의 성과를 대내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장기 식민지화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최종적으로 대대적인 박람회 개최로 방향을 잡은 일제는 당시 '정궁'이라 불리며 조선 왕조의 근간이 되었던 경복궁을 행사 장소로 잡고, 1913년 9월부터 미술관과 진열관 2동의 시설물 공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행사장 공사를 시작한다. 약 2년에 걸친 공사 기간 동안 경복궁의 수많은 건물들이 멋대로 이전되거나 아예 철거되는 등 많은 수난을 겪었는데, 최종적으로 약 4000칸 정도의 건물이 사라졌으며 행사가 끝난 뒤 제자리에 살아남은 건물은 근정전/경회루/교태전 등 극히 일부였다.[2]

행사장에 진열된 물품들은 대부분 한반도 각지에서 생산된 것이었으나, 당시 직거래 루트가 확보된 도쿄/오사카/나가사키 등에서 생산된 일본의 상품들도 병행 전시되었다. 이들 병행 전시된 상품들은 일본의 우수한 생산력과 품질을 앞세워 조선인들의 자존심을 꺾는 주요 수단이 되었으며, 나아가서 일제에 대한 경외심을 만들려 하는 목적도 내포되어 있었다. 자연스럽게 대부분 식민통치 당시의 성과를 일본 제국의 입맛에 맞게 미화한 자료들로 구성되었는데, 이를 위해 일반적인 생산품과 시설물 이외에도 각종 통계 자료를 추가해 조선통감부에 정당성을 부여하려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본격적으로 조선인들의 자주성을 흐리게 하기 위해 마련한 대회인만큼 홍보에도 엄청난 공을 들였는데, 여러 언론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광고를 쏟아붓는 한편 단체관광 할인 및 기차 운임료 할인 등 온갖 금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총 관람객 수가 116만6383명으로 집계되어 당시 기준으로 매우 성공적인 행사라는 평가를 받았다.[3]

3 그 외 트리비아

한 때 식민지 근대화론의 핵심 근거 중 하나이기도 했으나, 나중에 이 행사가 어떤 목적으로 개최되었고 이후 어떤 방식으로 일본인과 조선인 사이에 차별이 이루어졌는지 연구가 지속되면서 오히려 식민지 근대화론을 반박하는 핵심 근거로 변화되었다. 특히 행사의 주목적 중 하나였던 경복궁 훼손 및 조선인 자주성 희석화 정책 등은 빼도박도 못하는 극단적인 차별주의 사상에 기반하고 있다.

조선총독부가 가지는 상징성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경복궁 훼손률로 따지면 가장 큰 악영향을 끼친 것이 바로 이 조선물산공진회이다. 실제로 개최 목적 중 하나가 그거였고, 1990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4]가 총 3단계에 걸쳐 11년 동안 전개한 1차 복원 사업의 대부분이 이 때 훼손된 건물들을 되살리는 작업이었을 정도로 광범위한 훼손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흥례문과 근처 부속 시설물을 복원하는 작업은 이 다음인 4단계 공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 초반 무단통치시기에 있었던 몇 안 되는 교화사업 중 하나라는 유니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사 교육 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없다시피한 수준인데, 정규 교과 과정 국사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 이 부분을 다루지 않거나 자투리 설명 등으로 퉁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도 단 한 번 경복궁 관련 보기 지문으로 출제된 것이 전부이다. 또한 이를 다루는 특집기사 같은 것도 거의 나오지 않았으며, 나무위키에서도 이 문서는 2016년 8월에서야 겨우 만들어졌다.
  1.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거의 대부분의 내부 시설을 밀어버리고 평탄화작업을 거친 뒤 신식 건물로 채워 놓았다.
  2. 그 밖에도 세종로에서 광화문에 이르는 구간까지 도로를 밀고 일본식 석탑을 세우는 등 여러 종류의 훼손이 뒤따랐고, 이후 조선총독부 청사 착공으로 그나마 남아 있던 흥례문과 근처 건물들이 2차 수난을 겪게 된다.
  3. 주간 77만2745명에 야간 39만1638명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주간 입장권과 야간 입장권의 금액이 각각 5전과 3전으로 달랐기 때문에 따로 집계한 것. 1915년 당시 한반도 상주 인구가 1600만명 정도로 추산되므로 약 7.5%가 조선물산공진회를 관람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4. 당시 명칭 문화체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