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朝鮮白磁.
한국의 도자기로서 고려청자, 분청사기 이후에 출연한 도자기의 분류. 한국에서 고려시대의 청자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었던 도자기이다. 백자답게 오래 봐도 질리지 않는 묘한 중독성이 있다...
2 개요
한국에서 백자의 전통은 고려청자와 마찬가지로 송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시대의 백자는 그리 유명하지도 않고 유물도 적은 편이다. 지금도 당시의 기술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는 고려청자는 사용 폭도 제법 넓었는데, 백자는 거의 발견되지 않아서 청자 유물이 훨씬 많다. 고려청자는 예상보다 유물이 많은데, 대부분이 지금 기준으로도 엄청난 사치성과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하지만 조선이 들어서자 동아시아의 백자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된다. 중국의 재료에는 미치지 못한 점도 있어서, 순수한 하얀 빛깔보다는 쉽게 만들어서 쓰는 내구성이나 소박한 멋으로 평가받고 있다. 애당초 백자가 발달한 배경에는 도자기 기술의 발전 이외에도, 사치를 싫어하는 유교 문화의 바탕이 깔려 있었다.
덕분에 조선시대의 백자는 수입 염료를 사용했던 청백색 고급백자 못지않게 민중이나 중인층에서 사용했던 백자들이 유명하다. 대표적인 것이 조선시대의 막사발.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의 다이묘들이 감탄한 것은 민중이 사용했던 백자의 수준이 높았다는 점이라고... 이를테면 점심을 먹을 때 쓰던 막걸리 술병 같은 것조차 수준이 높았다고. 하지만 백자는 실제로는 청자 못지않게 비싼 것이라 실제로 민중이 사용했던 것은 평범한 목기와 도기라고 한다. 정확히는, 조선에서 백자 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귀족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침투했다는 점을 확인하여 놀랐다는 말이 있다. 임진왜란 이전의 일본 도자기는 크게 발달하지 못한 상태였는데, 전쟁이 끝난 이후에는 일부 도공들이 끌려가서 일본 백자에 영향을 주었다.
백색 도자기를 만드는 기술은 청자보다 어렵다. 유색 도자기는 유약이나 흙의 빛깔 때문에 생겨나는 이차적인 기술이며, 자연적인 재료만 가지고 하얀색을 만드는 쪽이 훨씬 높은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흙 자체도 청자토보다 견고한 편이 아니라서 빚어내는 것도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이다.
위의 사진을 봐도 알겠지만, 당시에 사용했던 백자는 현대의 세라믹 제품과는 다르게 청백색의 신비한 빛깔 덕분에 엄청난 중독성을 지니고 있었다. 청자보다도 오래 보면서 쓰기엔 이쪽이 낫다. 아무리 들여다봐도 질리지 않는다. 레스토랑 같은 곳에서도 백자를 이용한다. 청자보다는 백자의 빛깔이나 모양이 훨씬 안정감을 주기 때문이다. 와닿게 비유하자면, 청자보다는 백자에 담은 음식이 맛있어 보인다는 것.
한편 서양에서는 본차이나를 통해서 백자와 같은 흰색을 내곤 하는데, 이는 뼈의 성분을 이용하여 백자의 흰색을 모방한 것이다. 물론 이 제작비화는 백자 제작에 필요한 흙을 구하기 어려웠던 과거의 서양에나 통용되던 말이고, 지금은 서양에서도 백자토와 본차이나를 잘 쓰고 있는 편.
현대에는 통통하고 서민적인 외형 때문에 인기가 좋지 않다. 하지만 고급염료를 이용한 조선백자는 백자 특유의 청백색의 아름다움과 순수한 멋이 어우러져서, 탁하면서도 뿌연 색깔이 맑은 막걸리를 보는 듯한 중독성이 있다. 비교 대상이 세계적으로도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루었던 고려청자 유물들이기 때문에 더욱 저평가받는 감이 있다. 하지만 잘 만들어진 유물들은 독특한 빛깔과 단순하리만치 순수한 멋에서 예술적인 가치가 높다.
국보 제258호 청화백자 죽문 각병
순백자 제조기술이 점점 늘어나면서 그림을 더한 청화백자, 철화백자(철회백자), 동화백자(진사백자) 등이 생겨났다. 조선의 청화백자는 중국의 청화백자와 마찬가지로 이란산 코발트를 주로 써서 만들었다. 그래서 청화백자용 염료를 대놓고 회청(回靑)이라고 불렀다. 풀이하자면 아랍 청색. 그 코발트 값이 금보다 비싼 수준이라 그리 많은 양이 생산되지는 못했고, 그 때문에 대부분은 관요에서 만들어져 공납되었다. 이 코발트를 대체하기 위해 다른 염료를 사용하려는 시도 역시 많았다. 갈색 또는 흑갈색의 산화철을 이용한 철화백자와 붉은색의 산화구리를 이용한 동화백자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철화백자의 경우 백자를 만들기 위한 온도와 철화의 색을 유지하기 위한 온도의 간극이 당시 기술로 조정하기에는 매우 좁은 관계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나서야 어느 정도 생산될 수 있었다. 도자기로서의 완성도와 철화의 색감을 양립시킨 철화백자는 그 수가 매우 적고 희귀하다. 동화백자는 그 기원이 고려 중엽의 상감청자이지만 본격적으로 제작된 것은 조선시대 18~19세기이며 단순하면서도 파격적인 무늬 표현이 많다.
하지만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백자는 점차 기술적 정교함 면에서 중국이나 일본에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것은 두차례의 대 전쟁을 겪으면서 도자기 기술자 상당수가 일본으로 납치되어 그들이 갖고 있던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제작 노하우가 단절되었고, 백자의 주된 수요자이던 양반 부유층의 취향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놋그릇 쪽으로 옮겨간 데다가 중국,일본과는 달리 외국과의 도자기 무역이 단절되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차례 전쟁을 겪으면서 사회적 혼란과 함께 조선 전기에 비해 성리학 교조주의가 크게 대두하였는데, 이로인해 지나친 화려함은 쓸데없는 것이나 요사스러운 것으로 취급했다. 서양이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지리적 위치와 성리학적 검소주의, 그리고 전쟁은 동아시아 3국의 역사를 갈랐고, 도자기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