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과부적

적은 수효(數爻)로 많은 수효(數爻)를 대적(對敵)하지 못한다는 뜻 (출처: http://m.hanja.naver.com/word?q=衆寡不敵) .

....라는데 본 문서는 대적해내는데 승리한 경우 위주이다.

추가바람

1 사례

1.1 전투

※숫자가 적은 쪽이 이긴 경우만 추가바람.

  • 1126년 송나라 지방관과 금나라 사신 호위대의 충돌:금군 17명 vs 송군 2000명 이뭐병
  • 대창원 전투:금군 400명 vs 몽골군 8000명
  • 용인 전투:조선군 7~8만 명 vs 일본군 1600명
  • 명량해전:조선군 13척 vs 일본군 대략 300여척
  • 쌍령 전투:조선군 40,000여명 vs 청군 대략 300~1000여명

1.1.1 졌잘싸

※패배했어도 선전하여 널리 명성을 떨친 경우만 추가바람.

1.1.2 논란이 있는 경우

  • 살수대첩의 경우 당연히 고구려군이 수나라 30만 별동대보다 적을 것이라 여기지만 꼭 그렇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 얼마뒤 고당전쟁에서 수만~수십만을 연타로 동원하는 위력을 보여준 고구려이기도 하거니와 먼훗날 고려군이 더 많은 상태에서 승리한 귀주대첩도 있기 때문.[1]

1.2 기타

1.2.1 스포츠

1.3 가공의 경우

  1. 하지만 대개의 유목제국이 그렇듯 요나라 영토가 넓기만 하고 인구밀집지대는 연운 16주 정도가 전부이기 때문에 의외로 고려와 인구차이가 그닥 크지 않다. 더구나 요나라는 대외원정대고 고려는 수비하는 입장이다. 유목민인 만큼 동원력은 더 좋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