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구

1 야구의 구종

直球, ストレ―ト

일본야구에서만 존재하는 표현. 포심 패스트볼의 일본식 표현으로 추정된다. 올바른 표현인 속구에 대한 설명은 패스트볼 항목 참조.

미국에서 스트레이트라고 하면 스트레이트 볼넷을 말하거나 구질로써는 말 그대로 무브먼트 없는 막대기 패스트볼을 말하는 말로 별로 좋은 뜻은 아니다. 미국에선 패스트볼(fastball)이라고 부르는 것은 말그대로 가장 빠르게 던질수 있는 구질로 팔 움직임이나 실밥채기등의 변용을 섞지 않고 오직 속도를 중시하는 구질을 의미하는데 일본야구는 속도를 살린다는 의미에서 速球(속구)라고 부르며, 이를 일직선으로 던진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서 스트레이트(ストレ―ト)로 쓰고 있다. 그 스트레이트를 번역한 것이 직구이다.

일본의 야구 지도자들은 투수에게 포심 패스트볼 그립을 쥐고 던질때 좌우 변화가 조금이라도 생기면[1] 그걸 없애려고 선수에게 자세교정을 시킨다. 특히 좌완 투수들은 팔 스윙 궤적때문에 자연스럽게 역회전이 걸리게 마련인데 이런 걸 아예 없애버린다는 의미. 김성근 감독도 이 문제로 류현진, 김광현에게 뭔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을 정도. 이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 야구게임. 미국산 야구게임 말고 실황시리즈나 스피리츠시리즈등 일본산 야구게임을 보면 투수의 구질에 포심 패스트볼이 전혀 없고 스트레이트만 있다. 그리고 이들 야구게임에서 투심 패스트볼이나 컷 패스트볼은 무빙 패스트볼이라는 별도의 카테고리로 묶어서 취급하며 ツ―シ―ム(투심), カットボ―ル(커트볼)이라는 구질로 나온다.[2] 일본에서 야구를 배운 한국 야구에서도 정현욱,금민철등 포심을 아예 안던지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포심 패스트볼은 최대한 스트레이트에 가깝게 던지게 한다. 이로 인해 일본 투수들은 대체로 땅볼 투수보다는 뜬공 투수들이 많은 편이다. 포심의 무브먼트를 최대한 죽이면서 던지니 자연스럽게 땅볼유도가 어려워지기 때문.

하지만 점점 일본이 아닌 미국에서 지도자 교육을 한 사람들이 현장에 많이 투입되며, 한국에서도 '직구' 가 아닌 '패스트볼' 내지는 속구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 투수의 자연스러운 무브먼트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투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테일링 무브먼트를 자연스럽게 살린 류현진, 미국 마이너리그 선수들도 변화구라 생각했을 정도로 심하게 휘는 공을 던지던 임창용 등. 허구연은 다른 부분에서는 욕을 먹지만 직구를 직구라 하지 않고 속구 내지는 패스트볼이라 칭하는 등 일본의 변칙적인 야구 이론을 배제하고 미 본토의 이론에 보다 가까운 점 하나는 인정받는다. 미국에서는 대부분 자신의 성향에 맞게 자유롭게 패스트볼 그립이나 투구폼을 만들기 때문에 스트레이트 타입의 포심 패스트볼은 점차 사장되어 클레이튼 커쇼같이 구위에 자신있는 일부 선수만 던지는 구질이 되었다.

야구의 구종 중 가장 기본적인 구종이다보니, 당연히 대부분의 투수들이 주무기로 사용한다. 뛰어난 직구를 가진 투수들은 직구 하나만으로 리그를 씹어먹기도 한다. 오승환이나 후지카와 큐지 등의 돌직구가 그 예. 반면 구속이나 구위가 떨어지는 투수들은 직구 말고도 변화구를 섞어서 수싸움 위주로 승부를 가져가는 피칭을 주로 한다. 앞서 언급한 이들도 경기 내내 직구만 던지는 건 아니고, 수싸움을 위해 변화구를 간간이 섞어서 던진다.

사실 일반인들도 돌을 집어서 구사할 수 있다

2 정면 승부

패스트볼이 야구에서도 정면승부의 의미로 통하는 덕에, 일본이나 한국에서 정면승부, 정면돌파를 의미하는 은어로도 쓴다. 이것이 좀더 노골적이며 강력할 경우 돌직구라는 표현을 쓴다.

3 해외 직접 구매의 줄임말

주로 한국에서 직접 살 수 없는 물건을 해외에 나가서 직접 구매하거나 아마존, 라쿠텐등을 통해 구매하는 일. 해외직구 항목 참고.

  1. 테일링 무브먼트라고 한다.
  2. 일본의 야구게임에 기반을 둔 프로야구 매니저에서도 직구는 따로 표기되지 않는 기본 구종으로 취급하고 투심, 커터, 스플리터 등 다른 속구 계통의 구종들을 슬라이더, 커브 등과 같이 변화구로 취급해서 투심, 커트볼, SFF라고 따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