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 체제

鎭管體制

조선시대 군대의 소집 체계

세조 때 북방의 이민족들과의 전쟁에서 요새나 성채에만 군이 배치되어 있던 데다 군의 지휘권이나 방위 영역 문제 등으로 군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이 이민족에게 공격받는 현상이 벌어지자 세조는 군의 지휘 체계를 통일하고 지역 거점에다가 군사를 배치시킨 후 근처 지역을 거점의 군대가 방위를 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이후 다른 지방의 군 제도도 이와 비슷하게 정비되어 진관 체제라는 이름으로 자리잡게 된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부터 군역을 돈이나 쌀 등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대지주들이 늘어나면서 징병 대상인 보인들의 숫자들도 줄어들기 시작하자 진관체제는 점점 붕괴가 시작되었다. 거기다 삼포왜란 등 외적의 침공이 대규모로 일어나자 소규모 지역 방어 체제인 진관 체제는 이러한 대규모 외적 방위에 한계를 보이기 시작한다. 특히 니탕개의 난은 진관 체제의 한계를 크게 보여주었기에 제승방략는 이러한 진관 체제에 대한 보완 대책으로 도입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와해되어버렸고 결국 기존의 진관 체제의 약점을 보완한 속오군 체제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속오군도 쌍령 전투에서 보듯이 한계는 명백했다.

다음은 진관 체제가 완전히 정비된 후 경국대전에 기록된 경상도 지역의 진관 편성이다. 안동, 경주, 대구, 상주, 진주, 김해 등 경상도의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인근의 부, 군, 현이 소속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수군도 유사하게 편성되었다. 진관의 군대는 대체로 소속 진관의 수령과 주진의 판관이 지휘하였다.

경상도 관찰사감영 소재지 : 상주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좌병영 소재지 : 울산
경상도 첨절제사동첨절제사 / 절제도위
안동 진관
(안동대도호부사)
영해부사, 청송부사, 예천군수, 영천군수, 풍기군수, 안동판관, 의성현령,
봉화현감, 진보현감, 군위현감, 비안현감, 예안현감, 용궁현감, 영덕현감
경주 진관
(병마절제사, 경주진윤)
경주판관,동래부사, 울산군수, 양산군수, 영천군수, 흥해군수,청하현감,
연일현감, 장기현감, 기장현감, 언양현감
대구 진관
(대구부사)
대구부사, 밀양부사, 청도군수, 경산현령, 하양현감, 인동현감,
현풍현감, 의흥현감, 신령현감, 영산현감, 창녕현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우병영 소재지 : 창원
상주 진관
(상주목사)
성주부사, 선산부사, 금산군수, 상주판관, 성주판관,
개령현감, 지례현감, 고령현감, 문경현감, 함창현감
진주 진관
(진주목사)
합천군수, 초계군수, 함양군수, 곤양군수, 진주판관, 거창현감, 사천현감,
남해현령, 삼가현감, 의령현감, 하동현감, 산음현감, 안음현감, 단성현감
김해 진관
(김해부사)
창원부사, 함안군수, 거제현령, 칠원현감, 진해현감, 고성현감, 웅천현감
경상도 수군첨절제사만호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좌수영 소재지 : 동래
부산포 진관
(부산포첨사)
두모포만호, 감포만호, 해운포만호, 칠포만호, 포이포만호,
오표만호, 서생포만호, 다대포만호, 염포만호, 축산포만호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우수영 소재지 : 거제
제포 진관
(웅천첨사)
옥포만호, 평산포만호, 지세포만호, 영등포만호,
사량만호, 당포만호, 조라포만호, 적량만호, 안골포만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