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누가 날 여자로 보기나 하나요? 하긴 종년 얼굴 고와봐야 신세만 더 험난하겠지요.
추노에 나오는 등장인물. 배우는 민지아. 일본판 성우는 이치카와 히카루.
부모는 한겨울에 얼음을 캐러갔다가 빠져죽어 고아이다. 노비 여자로, 한번 도망쳤다가 천지호 일당에게 붙잡혀 돌아와 얼굴에 노비 낙인이 새로 새겨졌다. 언제나 노비답게 꼬질꼬질하다. 노비이지만 또랑또랑하고 자기 주장이 확실하며 현명한 대사도 많이 한다는 점에서 가루가 되도록 까이는 김혜원과 종종 비교의 대상이 된다.
꼬질꼬질한 얼굴로 씩 웃는 표정, 특히 하얀 이가 드러나게 웃는 것이 매력적. 일명 미노(美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비슷한 처지의 공스나 업복이와 연애 플래그가 있다.
본래 노비당의 일원이 아니고 우연히 노비당의 대화를 엿듣다가 들통나 쥐도 새도 모르게 죽임을 당하려던 걸 업복이의 중재로 구사일생. 그 이후 여자라는 점을 십분 활용해 정탐 등에 동원되거나 한글을 읽을 줄 알기에 그분의 지령을 노비당 당원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13화에선 입만 산 남자들보다 훨씬 나은 사격실력과 강심장을 보여줬다. 더군다나 14화에선 업복이 일당과 양반들과의 싸움이 벌어지자 업복이의 위기를 도와주고, 한번 총쏜 다음에 총을 버리고 혼비백산 달아난 남자들의 총을 모두 직접 회수해 와 남자들을 모두 버로우시킨다. 게다가 페이크에 당한 업복이와 끝봉이 일행을 구출하기 위해 혼자 호미를 들고 달려오기도.
추노에서 가장 개념찬 여성 캐릭터로 통하고 있다. 자의적, 타의적으로 민폐를 끼치고 다니는 언년이, 설화보다 능동적이고 똘똘한 초복이가 여권신장을 주장하는 게 훨씬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그분이 등장하고 의구심을 가진 업복이 앞에서 평소의 쾌활한 표정이 없어지고 냉정한 표정을 지으면서한 대사는 압권. 듣는 사람이 섬뜩해질 정도.
"양반 상놈 구분없는 세상도 좋지만, 복수는 하고 싶어요. 지금 양반들한테..."
하지만 어수선한 시국에 다른 집에 노비 한명을 보내주는 조건으로 팔려가게 되었고, 이 소식을 듣고 분노한 업복이가 주인인 김진사를 낫으로 쳐죽인 후 구출해내 짝귀가 있는 월악산으로 보낸다. 23화 엔딩신인 업복이와 초복이의 이별키스 장면은 압권. 두 사람의 얼굴에 각각 새겨진 노(奴)자와 비(婢)자가 어우러져 슬픔을 배가시켰다(초기부터 기획했던 장면이라고...).
초복이는 이후 무사히 월악산 짝귀 산채에 도착하고 그곳에 터를 잡고 살아간다. 업복이의 유품인 총을 잡고 서서 노비소녀 은실이에게 "저 해는 우리들 거야. 우리는 한번도 가진 적이 없으니..." 하는 엔딩 대사는 압권. 이대길과 함께 엔딩컷을 장식하는 영예를 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