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평요람

1 개요

治平要覽. 조선 세종 23년, 1441년에 편찬되어 중종 11년, 1516년에 간행된 중국, 한국의 역사를 다룬 책. 총 150권 150책이나 현존하는 것은 147책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일본 나이카쿠문고(內閣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2 편찬 과정

1441년 당시 왕이었던 세종은 역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직접 지중추원사 정인지(鄭麟趾)에게 "무릇 정치를 하려면 반드시 전대(前代)의 치란(治亂)의 자취를 보아야 하고, 그 자취를 보려면 오직 사적(史籍)을 상고해야 할 것이다" 라고 말한 후, 후대 정치인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대 사적 중에서 정치의 귀감이 될 사실들을 간추려 책을 편찬할 것을 명령하였고, 이에 세종 27년에 치평요람 150권이 모두 완성되었다.

하지만 편찬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이유에선지 이후 간행이 되지 못한채 프로젝트가 묶여버렸고 세종실록 27년 3월 계묘일 이후 기록에서도 책의 존재가 완전히 사라져버린다. 이렇게 하릴없이 붕 떠 있던 것을 다시 찾은게 세조 때였다. 세조 5년 9월 경진일(1일)에 이극감(李克堪)이 '세종대에 편찬됐던 이러이러한 책이 있는데 전하의 아버님인 세종께서 가뭄 중에도 편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편찬되는 과정에서 3품 이하의 문신들에게 세 차례나 자급(資級)을 더해줄 정도로 각별히 신경썼던 것입니다. 그런데 뒤를 이은 분들이 아직까지 간행조차 하지 않았으니 이게 말이 됩니까?' 라고 주장하며 인쇄하자고 발의하면서 다시 책의 존재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이극감의 얘기를 듣고 세조가 치평요람을 살펴본 후 대신들에게 교정 여부를 물어보게 되는데, 이극감은 책이 거칠게 만들어져 있고 송나라 이전까지만 기록되어 있다면서 내용을 수정, 증보하고 연대를 높여 명나라까지도 포함하자고 주장하면서 세조대에 다시 교정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후 세조 6년 2월 계축일(2일)에 명나라 사신이 오자 잠시 교정 작업을 중단하기도 했지만 그 외에는 꾸준히 작업이 이루어져 중종 11년에 이르러 모두 간행되었다.

3 구성

총 150권 150책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주된 내용은 중국 역대왕조의 흥망에 관한 것이다.

권1부터 권147까지는 중국 역대 왕조의 사적 중에서 국가의 흥폐(興廢), 군신의 사정(邪正), 정교(政敎)의 장부(臧否), 풍속의 오륭(汚隆), 외환(外患), 윤리 등 각 방면에 걸쳐 권징(勸懲)할만한 사실을 담고 있고, 권 147부터 150까지는 국조(國朝)라 하여 우리나라 고려때까지의 사적 중 귀감이 될만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4 특징

국조보감과 그 성격이 비슷한 책인데 두 책 모두 세종대에 편찬명령이 있었고 세조대에 완수한 것이며, 역사 중 본받을 만한 사적들을 채록하여 수록한 방식이다. 편찬 과정에서도 서로 영향을 받은 책인데 중국과 고려까지의 훈육사적들은 치평요람에 수록하고, 국조보감은 당대 조선조의 핵심 사적들을 수록하면서 두 역사서가 서로를 보완하는 측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 기타

우리나라에는 규장각에 72책이 현존하고 있고, 일본에는 나이카쿠문고(內閣文庫)에 33책, 34책, 86책 세권이 빠진 총 147책이 보관되어 있다. 그 외 일본 도요문고(東洋文庫)에 84책이 있다.

망실된 부분을 제외하고 현존 치평요람에 수록된 훈육 사적들의 기사 숫자는 총 1만 3천 99개 항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