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지

조선의 역대 영의정
이유정인지정창손

鄭麟趾
1396~1478

1 소개

조선 초기의 문신, 학자. 는 백저(伯雎), 호는 학역재(學易齋), 본관은 하동이며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2 행운의 장원급제

아버지는 석성 현감을 지낸 정흥인인데 그는 내직 별감에 있을 때 도교의 신을 제사지내는 사당인 소격전에 들어가 집안을 일으킬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빌었다. 그 후 얼마 뒤에 아내 진씨가 낳은 아들이 정인지. 총명했는지 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5세 때 이미 글을 깨우쳐 한번만 보면 읽고 쓸 줄 알아 천재라는 소문이 이웃에 자자하였으며 고전을 암송하고 작문에도 재능을 보였다고 한다.

1411년 생원시에 합격했고 1414년 문과에 시험을 봤는데 이때 일화를 하나 남겼다. 시험 감독관을 맡았던 하륜 등이 태종에게 세 개의 시험 답안을 가져와서 장원을 뽑아달라고 청했다. 감독관들의 평가는 두 답안은 엇비슷하고 하나는 조금 쳐집니다였다. 태종이 "나님이 집는 게 바로 장원이라능"이라고 말한 다음, 두 시권을 바치도록 하여 능숙한 솜씨로 그 하나를 잡으니 바로 정인지였다, 라는 구절이 있다. 그러나 신하들이 '조금 쳐지는 하나의 답안'은 미리 배제해뒀을 가능성도 있다. 즉, 정인지의 답안이 조금 더 훌륭했던 것. 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독자는 "압권"이라는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라.

한마디로 태종은 답안지들을 읽어보지도 않고 아무 거나 하나 집어 그것을 장원으로 삼아버렸다. 그 답안지의 주인공이 바로 정인지였던 것. 정인지 너로 정했다[1][2] 어쨌든 이 행운의 장원으로 예빈 주부에 임명되었다.[3]

3 문화, 과학 발전의 주역

이후 사헌부 감찰, 예조 좌랑, 병조 좌랑 등의 관직을 거쳤는데 행정 미숙이나 일처리를 잘못해서 의금부에 투옥되기도 했고, 비상 동원 훈련 중에 술을 먹는 용자 부적절한 행동으로 탄핵된 경력도 있다. 정인지가 투옥되거나 벌을 받는 기록을 보면 그 원인은 주로 도장을 잘못 찍거나 의례에 필요한 의장을 빼먹는 이유가 대부분이다. 병조 좌랑 때는 의장을 빼먹은 죄로 태형 40대까지 맞은 기록도 보인다. 이런 것을 보면 똑똑하면서도 덜렁대는 인물이었던 모양.

하지만 세종대왕이 즉위할 때 즈음 관직운이 조금씩 풀리기 시작했는데 상왕으로 있던 태종도 세종에게 "크게 쓸 인물이다"라고 평가했다고 한다. 그 후 예조판서,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등의 여러 요직을 거치며 천문, 역법 사업에 뛰어들어 세종 시대 과학 발전의 중심 인물로 부상했다. 천문과 산술에 뛰어난 능력을 지녔기 때문에 세종은 정인지를 두고 "간의, 규표, 흠경각, 보루각 등의 제작에 있어 다른 신하들은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지 못하나 정인지만이 이를 함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편'에 따르면 실제로 세종은 정인지를 앞에 두고 원대의 산학서(지금의 수학책)인 산학의 정석산학계몽(算學啓夢)을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을 정인지에게 직접 물어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세종의 본격 수학 과외선생님? 그러면 정인지의 수학 실력은 대체 어느정도?)

“上, 學 <啓蒙算>, 副提學鄭麟趾入侍待問, 上曰: “算數在人主無所用, 然此亦聖人所制, 予欲知之.”

- 조선왕조실록 중 세종실록 12년(1430년) 10월 23일

해석 하면, “임금이 계몽산(啓蒙算)을 배우는데, 부제학 정인지(鄭麟趾)가 들어와서 모시고 질문을 기다리고 있으니, 임금이 말하기를 ‘산수(算數)를 배우는 것이 임금에게는 필요가 없을 듯하나, 이것도 성인이 제정한 것이므로 나는 이것을 알고자 한다.’”

또한 역대 역법의 같고 다른 점과 천체의 움직임 같은 천문 현상들의 관계를 편찬하여 칠정산내편을 편찬하기도 했는데 워낙 셈이 정밀해서 아무리 노련한 일관도 정인지의 계산을 따라잡을 수 없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정인지는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삼남지방의 모든 토지를 심사하여 토지의 등급을 정한 어마어마한 일을 실행한 사람이기도 하다. 조선에 사신으로 온 명나라의 학자 예겸은 정인지를 두고 "그대와 하룻밤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글공부 10년 하는 것보다 낫다"고 높이 평가했다.

그리고 역사에도 조예가 깊어 자치통감훈의의 편찬이나 김종서 등과 함께 고려사 등의 편찬을 맡기도 했으며[4] 세종이 창제한 훈민정음의 보급에도 크게 기여했다. 훈민정음의 공식 설명서인 해례본의 서문을 쓰고 해례본 편찬과 용비어천가 제작에 적극 참여한 사람도 바로 정인지다. 훈민정음의 광범위한 보급은 물론이고 창제 원리에 대한 서술을 담은 해례본의 서문을 정인지에게 손수 맡겼다는 사실은 세종대왕이 정인지를 깊이 신뢰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세종대왕은 생전에 정인지를 깊이 신뢰해 그에게 자신의 실록인 세종실록을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다. 자신의 실록을 맡겼다는 것은 그의 능력 뿐 아니라 인간으로서 깊이 신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1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과 한글날

실제로 오늘날 한글날이 10월 9일이 된 것은 정인지 때문이다. 바로 정인지의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이 음력 9월 상순, 즉 음력 9월 10일에 쓰였기 때문. 이를 양력으로 바꾸면 10월 9일이 된다. 이를 기념하여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제정하였다. 아래는 정인지의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의 마지막 문장이다.

"정통 11년 9월 상한, 자헌대부· 예조판서· 집현전 대제학· 지춘추관사· 세자 우빈객,신 정인지는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 조아려 삼가 씀."

특히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은 정갈하고 쉽게 쓰여진 문장은 물론이고 빼어난 비유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세상에)천지자연의 (이치에 맞는)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이치에 맞는) 글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 (중략) ...

그러나, 세계는 기후와 토질이 (서로) 나누어져 있으며, 말소리의 기운도 또한 (이에)따라서 서로 다르다. ... (중략) ...
(그런데) 대개 중국 이외의 나라말은 그 말소리는 있으나, 그 글자는 없다.
(그래서) 중국의 글자를 빌어서, 그리하여 그 사용을 같이하고 있으니,
이는 마치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낀 것과 같이 서로 어긋나는 일이어서
어찌 능히 통달해서 막힘이 없을수 있겠는가?
요컨대 (글자란) 모두 각자가 살고 있는 곳에 따라서 정해질 것이지,
그것을 강요하여 같이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 중 일부

아무튼 세종 시대의 과학뿐 아니라, 역사학과 문화 발전을 이야기함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 (본격 문,이과 파괴자). 또한 정인지 본인도 세종대왕을 칭송하는 등,군신간의 관계는 좋았다.

4 명신에서 권신으로

세종 사후 문종, 단종의 시대를 거치면서 그의 인생은 변하기 시작한다. 계유정난을 일으킨 수양대군을 지지하여 1등공신이 되면서[5] 좌의정이 되어 정승의 반열에 올랐고 하동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수양대군이 세조로 즉위하자 마침내 영의정이 되었다. 또한 금성대군의 모반 기도가 실패로 돌아간 직후 양녕대군, 신숙주 등과 함께 단종의 목숨을 끊을 것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청령포로 유배간 단종의 궁녀들이 따라가서 모시려고 하자 궁녀를 단 한명도 보내줘서는 안된다며 적극적으로 반대하기까지 했다.[6]

게다가 정인지의 스승인 권우는 세종대왕의 스승이기도 해서 군신지간일뿐 아니라 사사롭게는 사형제지간인데도 저랬다. 참고로 정인지의 스승 권우는 정몽주의 제자다. 즉 정인지는 정몽주의 사손인데 둘의 행보는 극과 극. 정작 정몽주의 손자 정보는 단종과 사육신을 옹호하여 귀양갔다.

이렇게 원로로서 대접받으며 평안하게 사는 듯 했으나 노년에는 다른 의미로 트러블을 일으켰는데 바로 술자리에서의 개드립 말실수 때문. 한 번은 세조가 불경을 간행하는 것[7]을 두고 취중에 "이것은 옳지 못하다"고 말했다가 세조의 노여움을 사서 의금부에 투옥되기도 했다.[8]

또 한 번은 평안도를 시찰하고 돌아오는 길의 술 잔치에서 풍수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는데 여기서 정인지는 풍수에 대한 이론을 늘어놓다가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풍수의 심오한 것까지 들어가면 전하께서 아마 잘 모르실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만다. 세조는 세종이나 소헌왕후, 문종 등의 장례에 두루 관여해서 스스로 풍수의 전문가라고 자부하고 있었다. 그런 그에게 '풍수의 심오한 것을 모를 것이다'라고 말했으니 세조의 폭풍갈굼을 먹는 것은 당연지사. 세조는 "넌 뭐 그리 잘나서 남을 그리 깔보냐? 진짜 경박하구만! 죄를 주고 싶지만 취중실수에 원로니까 참아주지!"라고 정인지를 꾸짖었다.

이게 끝이 아니다.(…) 세조 면전에서 불경을 간행한다고 세조를 까대다가 격노한 세조가 잔치를 뒤엎어버린 일도 있었다. 그런데 그 다음날에 "어제 무슨 생각으로 그 따위 말을 했냐?"라고 세조가 묻자 "취해서 개소릴했사와요."라고 빌었고 세조는 "그럼 공자의 도와 부처의 도가 어떻게 다른지 한번 말해봐라."라고 했는데 정인지가 대답을 못하자 "임금이 묻는데 대답도 안하다니 이런 싸가지없는 놈!"하면서 국문해버렸다. 며칠 후에 연로한 대신이니 봐준다고 풀어주자 국문을 더 해야 한다는(...) 상소가 빗발쳤다고 한다. 그래놓고도 정신을 못차렸던지 다시 얼큰하게 취한 나머지 세조를 라고 부르며 "네가 그리 하는 것을 나는 그리 하지 않겠다"고 야자를 깐 적도 있었고[9] 세조 말년에는 세조를 '태상(상왕)'이라고 불렀다가 분노를 사기도 했으며 이쯤이면 고의인데? 신하들도 이번에는 정인지를 벌하자고 간언했으나 세조는 "원래 그 영감탱이가 그랬는데 뭘 새삼스레 그러냐"며 넘어갔다. 그야말로 술자리 말실수 종결자인 셈. 이런 실수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자기 자리를 지키는 것은 물론 평생 영화를 누리며 무려 83세까지 장수했다. 어쩐지 문과시험 당시 시험 감독관과 비슷한 면모.

그래도 저 막말 사건을 일으키기 2년 전만 해도 세조의 비위를 잘 맞추는 신하였다. 1456년 9월 19일의 세조실록을 보면 어느 날 세조가 정인지에게 "정승은 어진 사람을 발굴해 내는 직책인데 나는 사람을 알아보는 재주가 별로 없어. 너님은 신숙주처럼 뛰어난 인재를 찾아서 천거할 수 있겠음?"이라고 왠일로 겸손하게 묻는다.

그러자 정인지는 자리를 피하며 이렇게 말했다. "신은 원래 용렬하고 어두워서 사람 보는 재주가 없습니다. 옛날 사람이 '사람을 잘 알아보는 것을 두고 '철(哲)'이라 한다'고 말했으니 사람 잘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 하겠습니다." 이 대답을 들은 세조 왈, "내가 신숙주의 어짊을 알아보고 뽑아 써서 이렇게 되었으니 나는 사람을 알아보는 밝음(哲)이 있다 하겠다" 조선왕실 최대의 자뻑남이 어디 가나? 애초에 첫 질문부터 '난 신숙주를 뽑은 싸나인데 사람 발굴하는 정승인 너는 신숙주급 뽑음?' 이라는 속뜻이 담겨 있는 바, 겸손은 개뿔인 상황이다(...).

5 말년과 후일담

아들 중 정현조는 세조의 딸인 의숙공주와 혼인했고 다른 아들 정숭조 역시 공신으로서 연산군 때까지 권세를 누렸다. 왕실과 혼인관계를 맺어 전형적인 훈구파 가문을 이룬 셈.

그의 누나는 계유정난 당시 우의정이었던 정분에게 시집갔는데, 정분은 끝까지 회유를 거부하여 사사되어 인척 간의 충절이 극히 대비되는 사례로 꼽힌다.

봄에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5할 이상의 이자를 덧붙여 받는 장리(長利)로 부를 축적했다. 즉, 일국의 재상이 백성들을 상대로 고리대 놀이를 한 셈... 이 때문에 말년에 대간의 탄핵을 받기도 한다.[10] 이에 대한 정인지의 변명은 장리는 했으나 치부는 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11] 조선의 4대 부호는 윤사로, 윤사윤[12], 박종우와 정인지를 이르는데 이 사람들 모두 동시대에 치부로 이름이 높았던 인물들이다.

70세가 되던 해 은퇴를 청했지만 세조가 윤허하지 않고 궤장을 내려 주었으며 예종 시대에는 남이의 옥사로 인해 정난공신에 책봉되었고 성종 때에 순성 명량 경제 좌리 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의 위호를 받았다가 1478년 향년 83세로 사망했다. 시호는 문성(文成)인데, '도덕이 높고 견문이 넓음(道德博聞)'이 문(文)의 의미이고 '임금을 도와 끝맺음이 있음(佐相克終)'이 성(成)의 의미라고 한다.물론 그가 시호대로 도덕이 높은 인물인지는 그의 행적을 아는 사람이라면 다 의문을 표할 수 밖에 없다. 성종실록에서 정인지의 사망 기사 뒤에 붙어있는 사관의 논평은 다음과 같다.

사관은 말한다. “정인지는 성품이 검소하여 자신의 생활도 매우 박하게 하였다. 그러나 재산 늘리기를 좋아하여 여러 만석(萬石)이 되었다. 그래도 전원(田園)을 널리 차지했으며, 심지어는 이웃에 사는 사람의 것까지 많이 점유하였으므로, 당시의 의논이 이를 그르다고 하였다. 그의 아들 정숭조는 아비의 그늘을 바탕으로 벼슬이 재상(宰相)에 이르렀으며, 그 재물을 늘림도 그의 아비보다 더하였다."

(史臣曰: 麟趾性儉素, 自奉甚薄.然喜營産,家累巨萬而猶廣置田園,至於隣近人居亦多侵占,時議非之.其子崇祖席父蔭, 位至宰相, 其殖貨勝於乃父)
- 성종실록 98권, 9년(1478 무술) 11월 26일 계미 1번째 기사)

그의 묘소는 오늘날 충청북도 괴산에 있는데, 연산군 때의 갑자사화 때는 아내의 묘까지 석물이 철거되고 정인지 본인은 부관참시되는 수난을 겪기도 했다.[13]

뒷날 정인지의 증손녀[14]중종창빈 안씨의 차남인 덕흥군과 혼인해서 3남 1녀를 낳는데, 덕흥군의 셋째 아들이 바로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가 된다.

6 야사

1. 야사에 따르면 소싯적에 용모가 수려하였다고 한다 (엄친아?).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와 가난하게 사는 중에 과거에 급제하기 위해 밤을 새워 책을 읽었다고 한다. 그런 와중에 옆집의 처녀가 정인지의 글 읽는 모습과 목소리에 반하여 남녀가 유별한 조선시대에 홀홀 단신으로 한 밤중에 무려 담을 넘어 글을 읽는 정인지의 방문을 열고 과감하게 프로포즈를 했다고 한다.
근데 공교롭게도 이 처녀 역시 용색이 절륜했다고 하는데 우리의 정인지는 이를 과감하게 물리 쳤고 낡이 밝는 대로 어머니께 청해 다른 곳으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처녀는 상사병으로 자살을 한다. 정인지 역시 이 비극을 두고 두고 슬퍼했다고 한다.
더 관심이 있는 독자는 여기여기 를 보자.

2. 남원과도 인연이 있는데 1444년 세종 26년 전라도 관찰사로 전라도에 내려가게 되는데 남원의 광통소루 라는 곳에 올라 절경을 극찬하고 이름을 광한루(廣寒樓) 라고 명명한다. 이 이름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3. 애주가 였던 것으로 보인다. 세조에게 했던 취중 실수로도 유명하지만 아기들이 젖으로 생명을 키워 나가듯 막걸리 역시 노인의 젖줄이라고 했다. 꽤나 시적이다.

7 사극

사실 세종 때의 사극보다는 계유정난과 관련한 사극이 많아서인지 세종 때의 기술관료의 모습보다는 세조 때의 원로 대신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명회에서는 만취해서 세조에게 일성대갈을 날리는 장면까지 묘사되었다.왕과 비에서는 자타를 가리지 않고 디스를 날려대 분위기를 싸하게 만들 만큼 냉소적인 독설가의 면모를 보인다. 성삼문 등 집현전 출신의 젊은 관료들이 세조에 대해 반발하는 태도를 보이자 '선비는 정치를 하면 안 된다'고 일갈. 성삼문이 '당신도 집현전 출신 아니냐'고 반발하자 딱잘라 '그러니 나처럼 되지 말라는 것'이라며, 선비는 공부를 해야지 정치는 (자신처럼 타락한) 정치인들이 하는 것이며 선비가 정치를 하면 몸을 망친다[15]는 식으로 자기 자신을 포함해서 좌중의 전원을 디스해버린다.

그러나 세종 치세를 다루는 사극이 방영되면서 세종 때의 기술관료로서의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생겼는데, 대왕 세종에서는 이진우가 정인지를 맡아서 세종을 보좌하는 중신으로 그려졌다. 실제 인물은 조금 가벼운 사람이었는데 여기서는 약간 냉정한 캐릭터로 묘사되었으며 마지막회에서 훈민정음 어제서문을 낭독하는 것도 바로 정인지.[16]

장영실에도 나오는 데 여기서는 장영실을 돕는 멀쩡한 인물로 나온다. 세종때는 멀쩡한 인간이었으니까.

7.1 뿌리깊은 나무

"어찌 그리 하셨습니까. 우린 다 망했습니다!"
"말본새로 소인을 책하실 처지이시옵니까?"
"우리가 나이가 동갑인데도 자네가 너무 겉늙었다며 자네를 희롱할 때 나는 항상 자네 편을 들었네. 내가 동안이지, 자네가 노안이 아니라고 말일세."[17]

박혁권이 배역을 맡았다. 이 배우는 하얀 거탑, 드림하이, 의형제, 차우 등으로 알려진 연극배우 출신 박혁권이다. 이 드라마 방영 직전에 새로운 소속사와 계약 이후 성을 빼고 활동하는 듯.

집현전 정2품 대제학[18]으로 집현전 학사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으나 실질적인 집현전의 수장 노릇은 최만리가 하고 있고 정인지는 주로 세종의 가장 가까이에서 세종의 한글 창제 연구를 보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말생,이신적 등 세종의 은밀한 일에 대해 의구심을 가진 조정 중신들의 추궁을 혼자 받고 데꿀멍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다 세종의 짓궂은 장난이나 히스테리에 무휼과 함께 곤혹스러워하지만 세종이 내리는 임무들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소이가 처음으로 그 사기적인 능력을 보여주는 회상씬에서 세종과 함께 놀라워하며 "전하, 일이 더 수월해지겠습니다"라며 좋아하다가 세종에게 "학자들 1백 명 있는 것보다 이 아이 하나가 더 낫구나"라며 콤보로 "너는 앞으로 소이 봉록의 백분의 일만 받도록 해라"라는 면박을 듣고 표정이 구겨졌다. 정사에서 위에 언급한 대로 세종의 중요한 학문적 업적에 기여한 브레인이며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문을 쓴 사람이 정인지인데 극중에선 윤필이 남긴 丨口亡己(곤구망기=밀본)에 대해 세종에게 "너도 못 알아보겠느냐"라는 말을 듣는다거나 훈민정음 연구에 대한 모든 지식은 소이에게 밀리는 등 정사와 정반대로 해석되고 있다.(…) 16화에서 한글 반포 문제를 둘러싼 신료들과의 갈등 때문에 세종과 회의 중 망했어요 드립을 친다. 아니 그렇습니다 우리는 망했습니다 던가??

그래도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까지 세종과 함께 하며 반포식은 물론 이후에도 세종을 돕는 모습이 지나갔다. 드라마 종영 후 정인지의 행보가 디씨나 루리웹 등 각 커뮤니티에 희자되면서 드라마로 미화된 인물, 최대 옥의 티로 까지 불리며 대차게 까이게 된다. [19]
  1. 태종실록, 태종 14년(1414년) 3월 11일
  2. 참고로 태종 본인도 고려 말기에 과거를 보아 합격한 경력이 있다. 조선 왕조 유일의 행정고시 합격 및 공무원 근무 경험이 있는 국왕인 셈.
  3. 나머지 한명으로 추정되는 조서강은 이조참판에 도승지를 지내는등 정인지 못지 않게 관직이 높았다.
  4. 김종서가 계유정난으로 역신크리를 맞았으므로, 현재 고려사와 세종실록은 모두 편찬 주관자 명의가 정인지로 기록되어 있다.
  5. 정인지는 계유정난에 적극 참여하지는 않았다. 그를 1등공신에 넣은 것은 원로를 포섭하기 위한 수양의 정치적 안배. 반역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위시한 조정의 원로 대신들을 죽인 수양대군으로서는 세종 시대부터 인정을 받아 권위를 갖춘 데다 정통 관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인지 같은 자들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이런 이유성삼문 역시 3등공신에 올라 있다.
  6. 야사에 의하면 꿈에 세종이 나타나 저주를 내렸다고 한다. 하는 짓을 보면 정말 저주할 만한다. 그렇게 중용하고 아낀데다 세종 생전에 단종을 부탁했는데 그걸 저버린 것으로도 모자라 적극적으로 핍박했다.
  7. 세조는 조선 역대 임금들 중에서 태조 이성계나 말년의 세종처럼 불교에 우호적인 정책을 펼친 임금이다. 세조 때는 한글로 된 불경이 간행되는 등 불교문화가 크게 융성했다.
  8. 세조실록, 세조 4년(1458) 2월 12일
  9. 성삼문이 세조를 나리라고 부른 것도 어마어마한 스캔들이 됐던 시절이었다. 하물며 왕에게 라니. 단, 이때 정인지가 한 말은 생각없이 야자를 깐 것이 아니라 세조의 호불정책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이라고 한다. 정인지도 유학자였던 만큼 세조의 호불정책에 대해 불만이 컸던 모양. 그런 유학자가 불충에는 어찌 가담을 이 일은 세조실록 세조 4년(1458) 9월 17일에 실려 있다.
  10. 성종실록 89권, 9년(1478 무술) 14년) 2월 19일 임자 1번째 기사. 掌令朴叔達啓曰:今以鄭麟趾爲三老, 麟趾起自寒微,專以殖貨致富. 古云:‘爲富不仁. 麟趾豈無緣致富乎? 三老將以爲王師, 如此人其可爲耶? 成均館儒生聞以麟趾爲三老, 群議藉藉, 欲上疏論之.
  11. 같은 권, 9년(1478 무술) 14년) 2월 21일 갑인 5번째 기사. 河城府院君鄭顯祖將其父麟趾封章來啓曰:“臣父欲詣闕親啓,只緣行步之難,使臣啓之.父云:‘近聞上欲行拜老之禮,未知某爲三老,今聞以臣備數.臺諫論臣殖貨 臣雖不殖貨,素乏才德,豈望三老之列?臣之長利則有矣,然殖貨豈長利云乎哉?臺諫必有別樣所聞而言之矣,請問其實,使臣曝白.’”
  12. 윤사로, 윤사윤은 세조의 처남들이다
  13. 세종의 저주를 받았다는 말이 있다.
  14. 이 사람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후손들은 모조리 참살당했다.
  15. 사육신의 최후를 떠올리게 하는 발언인 셈이다.
  16. 실제로 정인지가 세종대왕훈민정음을 반포 할 당시 최만리를 주축으로 한 집현전 학자들의 반발의 반대편에서 훈민정음의 반포를 적극 옹호하였던 점, 그리고 실제로 훈민정음의 보급 및 원리의 해설에 있어 아주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문을 작성한 사실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사극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잘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17. 최만리에게 친 동안드립.(…) 이 말에 최만리는 "지금 농을 해서 나를 어떻게 해 보겠다는 건가?"라며 꿈쩍도 하지 않는다.
  18. 조선시대 대제학은 조선 최고의 학자로 본인과 집안 모두 왕과 신료에게 학식을 인정받아야만 오를수 있는 관직이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3정승보다 대제학 배출한 가문을 더 높게 쳐줬으며, 3정승 바로 아래의 지위를 갖는다. 무엇보다 정인지는 세종보다 1살 많은 4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 대제학이라는 영예를 얻은 조선제일文이라 할만한 인물이다.
  19. 정인지에게 박팽년의 처와 며느리가 노비로 간 것을 두고 천하의 개쌍놈으로 맹비난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