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락

범선의 일종
450px-Santa-Maria.jpg
콜롬버스의 산타마리아 호를 일본에서 복원한 것

1 설명

영어로는 'Carrack'. 15세기의 지중해에서 개발된 범선이며 포르투갈 등지에서 제작되는 카락은 나우(Nau)라고 부른다. 3개에서 4개 이상의 마스트, 높은 선미루와 선수루, 바우스프릿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횡범을 앞돛대와 주돛대에 달고 종범인 라틴 세일을 뒤돛대에 다는 것이 보통이다.

카락은 원양 항해를 전제로 개발되었다. 당시 기준으로 대서양의 높은 파도에도 선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거체, 대량수송이 가능한 넓은 선창을 가지고 있다. 전장은 30~60m, 전장과 전폭의 비율은 3:1이며 배수량은 200톤에서 1500톤까지로 체격차가 큰 편이다. 통상적으로 3~4개의 마스트를 가지고 있으며 둥그런 선체에 독특한 복층식 선수부분과 선미루를 가지고 있다.

그때까지의 범선에 비하면 횡범종범을 조합해서 사용한것이 카락이 가진 최대의 특징으로 상황에 따라 알맞게 횡범과 종범을 사용할 수 있는 높은 범주능력을 가지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카라카(carraca)나 나오(nao)라고 불렀으며 포르투갈에서는 나우(nau)라고 불렀다. 이것은 그저 당시의 양국의 언어로 배를 의미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나[1] 후에 스페인에서 건조되는 카락의 파생형 함선은 나오라고 불렸다.

이후 카락은 갤리온선으로 발전한다.

2 장점과 단점

카락은 승무원, 물자, 화물을 수송하는데 있어서 풍부한 공간을 가지고 있기에 무역선으로 쓰기에 좋았으며 화물과 물자의 적재능력이 좋아 항행기간을 장기화할 수 있어 적은 기항으로 효율적인 항해루트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항해성능이 우수하며, 4개의 돛을 상황에 맞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역풍이든 순풍이든 그에 대응해서 적절하게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선수와 선미에 붙어있는 돛은 회전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폭풍 속에서도 항해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이 때 메인 세일은 접어야 한다.

전투용으로도 배의 안정성과 갑판의 안정성이 높다. 함선의 갑판을 포대로 운용하기에 좋고 그 때문에 식민도시에 위협을 가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이것은 상선이나 탐험선으로써도 중요한 장점이라서 서인도 제도등을 항해하는 소형선박에의 습격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은 방어력을 가진 카락이 상인이나 모험가에게 널리 쓰일 수 있었다.

하지만, 너무 크기 때문에 강한 바람에 약하고 돌풍시에 전복의 위험도 적지 않게 있었다. 회전 성능도 약하기 때문에 모험가에게는 카락보다 그 후에 등장한 캐러밸이 인기가 있게 되었다.

3 역사적으로 유명한 카락

산타 마리아호

4 전투용 카락

여러모로 균형을 많이 갖춘 선박이었기 때문에 겔리온 개발 이전까지는 기형적으로 선미와 선수를 들어올려서 대형화한 전투용 카락을 사용하기도 했다. 포르투갈의 중 카락이 그 예. 딱 봐도 매우 불안정하게 무게 중심이 위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갤리온 개발 이후에도 전열함이나 갤리온 계열 전투선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나라는 이후에도 전투용 카락을 운용하기도 하였다.
pyro_catarina1.jpg

5 대중매체

5.1 대항해시대 시리즈에서의 카락

1은 추가바람

2에서는 (대형 중에서는)가장 저렴하고, 평범한 성능의 대형 선박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모험, 전투, 교역용으로 모두 더 유용한 함선들이 많기 때문에(특히 지벡은 4000닢 비싸지만, 극소수를 제외(그나마 좀 큰게 최대 포문수)한 모든 성능이 카락에 앞서있다.) 묻히는 편이 크다. 주로 선박에 관해 아직 잘 모르는 초보들이 운용하거나, 상선대를 습격하여 얻은 카락을 운영하는 정도를 제외하면 잘 쓰이지 않게 된다.

3에서도 표준적인 대형 선박으로 등장하며, 전투력이 보강된 중카락. 적재량이 보급된 대형 카락이 파생형으로 등장한다. 다만 여기서도 다우에 밀려 상대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편. 다만 다우는 아랍권에서만 구할 수 있고, 사각돛을 달 수 없기 때문에 초보 혹은 사각돛을 잘 다루는 고수들은 곧잘 쓰는 편이라 2에서만큼 위상이 낮지는 않다. 2처럼 전투에서 약한 거도 아니고.
중카락은 3에서 최고 선박이라 할 수 있는 갤리온보다 최대 선원수가 높기 때문에 북경 등 대형 도시 점령에는 필수적인 함선이라 고수들은 곧잘 애용하게 된다. 대형 카락은.....지못미. 적재량을 제외하면 그다지 장점이 없으며, 적재량이 중요 요소가 되는 무역이 3에서는 상당히 약화되어 있는지라.....

4에서는 돛대 수와 내구력을 제외하면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돈이 모자른데 스토리를 빨리 진행시키고 싶다면 대형선중 저렴한 카락으로 함대를 구성하여 초반을 진행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강한 세력(파샤, 발데스, 쿤)을 상대로는 버겁기 때문에 주로 초반에 약한 지역을 제압하는데 쓴 뒤 더 강한 함선을 갖추면서 비교적 안전한 해역에 지방함대로 쓰는 방법이 주로 쓰인다. 물론 돈이 넘치면 그런거 상관없다.

5.2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의 카락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세계에서, 카락류 선박은 게임을 시작한지 얼마되지않은 게이머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레벨이 오를때마다 주로 수송용 카락 - 상업용 카락 - 상업용 대형 카락의 순서로 배를 바꾸게 되며, 수송용 카락이나 상업용 카락은 생략하더라도 일명 '상대카' 라고 불리우는 상업용 대형 카락만은 거의 필수코스로서 레벨이 오른 후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아예 군레벨업용으로 철 재질 상업용 대형 카락을 따로 만들어 쓸 정도다. 모험용 카락 중 가장 큰 대형 카락은 엄청난 느림보이며 필요 선원수도 상업용 대형 카락에 비해 많아 잘 쓰이지 않는다. 적재량이라도 좀 크면 좋겠는데 그것도 그다지 큰 편은 아니고... 대형선 중에서는 갤리온 다음으로 느리다.

역시 군용 카락으로 중 카락, 개조 중 카락등의 계열이 있다. 하지만 포 슬롯이 4여서 많이 쓰지는 않고 장갑을 올려 부관을 태우거나 전열함 이전 군 레벨업 또는 포 슬롯 확장 도구를 이용해서 그 이상으로 쓰는 유저도 있다.

5.3 토탈 워: 쇼군2의 카락

남만인(포르투갈인)들에게서 사왔다는 설정의 남만 무역선과, 포르투갈인들이 직접 몰고 다니는 쿠로후네(黑船, 흑선)가 등장한다. 둘다 무역선이라면서 관선이나 안택선그냥 피박살을 내버린다. 물론 니혼마루도 예외는 아니다.

게임내 디자인을 보면 4번 항목의 전투용 카락에 더 가까워서 무늬만 무역선인게 사실. 전투시에는 선미나 선수의 망루에 수병들이 모여서 가차없이 화승총을 갈겨댄다. 망루 높이에 비해 일본 함선들 갑판이 많이 낮아서 일본 함선에서 발사되는 화살이나 총알은 선체에 박혀버리기 때문에 거의 일방적으로 도륙할 수 있다.

  1. 지금은 사어에 가깝고 스페인어로 barco가 배를 뜻하는 단어로 자주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