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옵스큐라

camera01_Light-Bulb.jpg

현대 카메라의 프로토타입, 시초격인 물건. 안쪽을 어둡게 만든 상자나 방 한켠에 작은 구멍을 뚫어놓고 바깥에서 어두운쪽으로 들어오는 빛을 통해 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해서 카메라의 근본 원리를 생각하면 될 것이며 그 때문에 상이 거꾸로 굴절되어 보이는 특성을 지닌다. 초등교육을 마친 사람이라면 어린 시절 '바늘구멍 사진기'라는 물건을 다룬 기억이 있을것인데 이것 역시 카메라 옵스큐라의 일종이다.

라틴어로 카메라 옵스큐라는 '어두운 방'이라는 뜻이다. 어두운 방의 벽에 작은 구멍을 뚫으면 반대쪽 벽에 외부의 풍경이 비치는 것을 토대로 카메라 옵스큐라, 나아가서 사진기가 발명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원리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고안하였다고도 하지만 상당히 오래전부터 기본적인 원리는 널리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아리스토텔레스유클리드는 이미 버들가지로 만든 바구니의 작은 홈을 통과한 빛이 바구니 안에 밖의 풍경을 비추는 것을 관찰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눈에서 빛이 나와 사물에 닿기 때문에 사물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이러한 관찰은 빛이 우리 눈에 들어와 사물의 상이 눈에 맺히기 때문에 사물을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다.

13세기 무렵 로저 베이컨 역시 이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슬람의 이븐 알 하이삼도 카메라 옵스쿠라를 통과한 상이 뒤집혀 보인다는 기록을 남겼다. 사진사학자인 H. 게른샤임의 설명에 의하면 베이컨이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알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으로 일식·경치를 관찰하였다고 하는 설도 있다.

동양에서도 이런 원리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는데 전국시대 중국묵가 사상가였던 묵자는 자신의 저서에서 '바늘구멍을 통과하여 맺힌 상은 거울을 보는 듯 뒤집혀 보인다'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나라의 학자 심괄은 카메라 옵스쿠라의 특성에 대해 과학적인 실험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식을 안전하게 관찰하는 방법이나 귀족들의 여흥을 위한 놀이도구로도 널리 사용되었다고도 전해지지만 특히 회화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으며, 16세기 말에는 나폴리의 과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델라 포르타가 이 방법을 이용한 정확한 데생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렌즈 사진술의 발명 때까지, 카메라 옵스큐라는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화가의 스케치 용구로 쓰였다. 이로서 서양 화가들은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 빛과 상을 또렷하게 스케치하고 그려낼수 있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네덜란드요하네스 베르메르가 이것을 사용했을거라고 추정하고 있다.

조선의 화원들 역시 이와 비슷한 원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렸을 거라는 설도 제기된바 있는데 초상화를 그림에 있어 사실주의를 추구했던 조선의 화풍을 생각한다면 꽤 그럴싸한 학설. 다산 정약용도 자신의 저서에서 이런 원리를 기록했다.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카메라 옵스큐라는 기본적으로 사진기의 원형에 가깝다. 19세기에 첫 등장한 다게르식 사진기 또한 카메라 옵스큐라에 감광물질을 이용하여 상을 각인시키는 것에 가까웠으며[1] 이후 현대의 렌즈 사진기로 대체되게 된다. 실제 현대에도 이런 식으로 사진을 찍는 사진가들이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핀홀 카메라 항목 참조.
  1. 최초의 사진은 이런 방식으로 8시간 동안 빛에 노출시켜 얻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