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핑 현상

포복 현상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자 현상. ~현상이라고 써 놓았으니 나쁜 것이나 이상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는 자동변속기의 특징이며, 잘 활용하면 운전 테크닉이 되기도 한다.

크리핑 현상은 단어 그대로 액셀러레이터 조작을 하지 않았음에도 차가 포복을 하는 것 처럼 천천히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물론 무작정 차가 움직이는 것은 아니며, 주행 모드인 D, 3, 2, L같은 모드에서만 생긴다. N(중립)에서 차가 움직인다면 차가 완전한 정차 상태가 아니거나, 평지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그러니 N 상태로 정차한다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지 않는 만행은 저지르지 말자.

이러한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는 자동변속기가 토크 컨버터라는 부품을 쓰기 때문. 토크 컨버터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유체를 이용하여 동력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데, 브레이크를 잡게 될 경우 토크 컨버터와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멈추게 된다. 하지만 입력측(엔진-토크 컨버터)에서는 Idle 상태에서도 계속 동력이 전달되고 있어 브레이크를 잡지 않는 경우 이 동력이 반대편에 전달이 되어 조금씩 차가 움직이게 된다. 크리핑 현상을 위해 토크 컨버터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토크 컨버터가 있기에 생기는 부수적인 효과다. 그래서 자동변속기 차량은 정차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며,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려면 기어를 P 또는 N으로 옮긴 뒤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야 한다. 이걸 모르거나 주의하지 않으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차량이 앞으로 스르륵 기어가면서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가장 극단적인 사례가 인천외고 김여사 사건이다.

크리핑 현상은 토크 컨버터가 없는 차량에서는 이론적으로 생기지 않는다. 즉, 수동변속기는 물론이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같은 것에서도 생기지 않는다.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가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서는 매우 당연한 이치를 벗어난 현상이기에 수동변속기만 조작하던 사람이 자동변속기 차량을 몰게 될 경우 잠시 혼란을 느낄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긴 하다.그 전에 클러치 조작때문에 속이 터지겠지만. 속도 타고 클러치도 태워먹는다

이렇게만 적으면 자동변속기 특유의 현상이자 혼란의 원흉이라는 생각만 들기 쉽지만, 크리핑 현상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운전 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 차량이 조금씩 앞으로 전진하는 만큼 정체 상태에서는 불필요한 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없이 브레이크의 조작만으로 차를 천천히 움직일 수 있어 몸의 피로가 줄어든다. 경사로에서는 약간의 밀림 방지 효과를 줄 수 있어 밀림 방지 장치가 따로 갖춰지지 않은 차량을 운전해도 수동변속기 차량처럼 급격한 밀림을 느끼지는 않는다. 그렇지 않아도 수동변속기는 클러치 조작을 따로 해야 하는 만큼 발의 피로가 빠르게 오는데, 정체 상태에서는 그 조작도 훨씬 늘어나 부담이 커진다. 명절처럼 정체가 보통 긴 것이 아닐 때는 보통 때는 자동변속기를 '재미 없는 운전', '비효율적인 변속기'라고 까는 수동변속기 운전자들도 자동변속기 차량을 부러워하게 된다.[1]

크리핑 현상이 비록 자동변속기의 부수적인 현상이라고는 하나 하나의 운전 기술로 자리잡을 정도로 운전자에게 편한 기술인 만큼 이론적으로 크리핑 현상이 발생할 일이 없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 차량에도 의도적으로 구현하는 경우가 있다.CVT건 듀얼 클러치건 막 타는 사람에겐 결국 똑같은 자동변속기 어떤 구조이건 간에 변속을 자동으로 해준다면 자동변속기가 맞다. 물론 없는 기능을 만든 것이기에 모든 DCT 차량이 크리핑이 되는 것은 아니고, 원래 없는 기능을 의도적으로 구현했기 때문에 크리핑 자체가 약하거나, 일반 AT차량의 부드러운 크리핑과는 이질감이 있는 경우도 있다.

수동변속기 차량도 1단상태에서 반클러치를 유지하면 차가 움직이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것도 크리핑 현상처럼 자동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된다.

이 현상을 이용하면 운전면허 2종 보통 자동 기능시험에서 액셀 폐달을 밟지 않아도 합격할 수 있다. 50m를 5분 안에만 통과하면 되기 때문. 학원에서도 액셀 페달을 밟지 말라고 가르치며, 오히려 액셀을 불필요하게 밟는 것이 과속으로 감점 또는 실격의 원인이 될 수 있다.[2]
  1. 운전면허가 없거나 자동 면허만 취득한 사람의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클러치 조작은 기어 변속시에만 하는 것이 아닌 정지/출발 상황에서도 해야 한다. 아예 속도가 0가 되었다 다시 서행하는 것을 반복하는 정체 상황에서 클러치를 조작하는 왼발의 부담은 보통이 아니다.
  2. 2종 보통 수동 및 1종 보통 기능시험에서는 브레이크가속페달만 안밟고 있어도 이 현상을 전혀 발생시키지 못하는건 아니었다. 클러치 페달을 발에서 뗄때 서서히 떼준 상태에서 아무 페달도 안밟고 있으면 시험차량이 알아서 굴러가는 현상을 체험할수 있다는 사실을 뭐라고 설명해야 하는지는 다른 님들께서 자발적으로 추가 바람(...) 시험이 강화되더라도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이 원칙이 먹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