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Περικλῆς, B.C. 495년(추정) ~ 429년
혹독한 훈련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된 느긋한 마음가짐과, 법률에 의해 강제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생활 속에서 형성된 용기를 지닌 채 위기 상황에 자발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우리의 방식이 가장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고통스러운 미래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위기 상황이 닥쳐오면, 끊임없이 혹독한 훈련을 받아 온 적국과 마찬가지로 우리 자신의 용기를 발휘합니다. [...] 이 모든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는 아테네가 그리스의 학교라고 말씀드립니다. 또한 저는 아테네 시민이 각자 최상의 유연성과 품위를 유지하면서 매우 다양한 형태의 활동에 자신 스스로를 적응시킬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전몰자 추도 연설
알겠다. 내일부터는 내 돈으로 공사를 진행하겠다. 대신에 완공 후 신전 앞에 '페리클레스'라고 새겨진 커다란 비석도 세우겠다. 그것도 양해해달라. - 파르테논 신전에 지나치게 많은 건설비가 든다는 정적들의 비판에 대한 대꾸.[2]
1 개요
고대 아테네의 정치인.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사이였던 그의 집권기에 아테네는 최전성기를 맞이하였고, 이 시기의 아테네를 흔히 '페리클레스의 아테네'라고 지칭한다.
2 생애
기원전 495년 경 아테네 귀족가문에서 출생한다. 그의 외가는 아테네에서 대표적인 명문 귀족 집안 중 하나로, 페리클레스 이전에도 클레이스테네스[3]를 배출한 적이 있는 가문이었다. 귀족집안이니만큼, 남부럽지 않은 유년 시절을 보낸 이후 20살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다.
기원전 472년 테미스토클레스[4]가 키몬 일파에 의해 정계에서 축출된 직후, 축제 시즌에 테미스토클레스의 전공을 찬양하는 아이스퀼로스의 희극을 상연하면서(즉, 키몬에게 정치적으로 선전포고를 했다는 말이다.) 정치적으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이후 10여년에 걸쳐 집요하게 키몬을 괴롭히다가 마침내 461년에는 도편추방제를 통하여 키몬을 축출시키는데 성공해낸다.[5] 키몬이 추방된 기원전 461년부터 429년까지의 30년 넘는 세월 동안 '페리클레스의 아테네'라고 불리는 황금기가 도래한 것이다.
2.1 페리클레스의 아테네
내정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대중영합적인 정책들이 페리클레스의 집권 시기 연달아 일어난다. 빈민들에게 무료 극장 입장권을 제공한 데 이어서, 아테네의 주요 공직에 오르기 위한 재산 기준을 철폐하며 빈민과 서민들도 자유롭게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게 계기를 마련해줬다. 여기에 기존까지 아테네의 공직은 본디 무보수였지만, 무보수면 서민들이 굶어죽으니까 페리클레스는 몇몇 공직, 특히 배심원들에 대하여서는 보수를 지급하는 것을 허용하기 시작한다. 이런 페리클레스의 정책을 두고 일부에서는 오늘날 포퓰리즘의 원조라고 깔 정도...
또한 '부모 양쪽이 아테네인이어야지만, 시민권이 발급된다.'라는 배타적인 시민권안이 채택된 것도 페리클레스의 집권기 때의 일이다. 다만 이를 두고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팽배히 엇갈리는데, 한쪽은 배타적인 특권의식의 발현이라고 무자비하게 까는 반면 다른 한쪽은 '시민권=병역'이었던 고대 그리스에서, 페르시아 전쟁 시기 피흘려 아테네를 수호한 아테네 (주로 하층) 시민들의 지위를 격상하기 위한 불가피한 정책이었다고 옹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 가지 아이러니한 것은 페리클레스 본인이 비아테네인과 사랑에 빠져서 아들에게 시민권을 주려고 엄청 고생하게 됐다는 것. 법 제정할 땐 몰랐겠지..
한편 외교적으로도 아테네의 위상은 정점에 달하는데, 델로스 동맹으로 그리스 전역의 패권을 꽉 쥐게 됐던 것. 이 시기 델로스 동맹은 말이 좋아 동맹이지, 사실상 아테네를 맹주로 하는 아테네 제국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는 상황이었다.[6]
2.2 흔들리는 절대권력
하지만 페리클레스의 권력도 영원할 수는 없었다. 화무십일홍 아테네가 민주정을 내걸었던 이상 페리클레스 역시 반대세력의 정치적인 공격을 피할 수는 없었던 것.[7] 물론 페리클레스 본인이야 '아테네의 아이콘'이었던 탓에 직접적인 공격을 받지는 않았지만 페리클레스 주변의 인물들이 하나하나 주변의 공격에 희생되간다.[8]
2.3 죽음
이런 상황에서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충돌은 격화됐고 결국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하자 페리클레스는 청야전술을 택하여 모든 아테네 시민들을 성 안으로 소개시킨후 시간을 질질 끄는 장기전술을 채택하였는데, 이 전술 자체는 비교적 효과적이었지만[9] 전혀 예상치 못하게 역병이 아테네 안에서 번져나갔고 페리클레스 본인도 결국 이 병에 감염되어 사망하고 만다. 아테네의 최전성기를 이끈 위대한 인물 치고는 다소 허무한 죽음.-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 따르면 투구를 쓴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대두를 감추기 위해서라고 한다(...) 물론 이걸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역사학자는 없고, 대부분 저 투구는 장군이라는 지위를 드러내기 위해 쓴 것이라고 추정.
그런데 당대 아테네 극작가들에게조차 대두라고 풍자당한 걸 보면 머리가 진짜로 크기는 컸나보다.투구가 머리에 끼는걸 보니 대두가 맞는 모양이다 - ↑ 이 말 한마디에 정적들은 그대로 데꿀멍하고 만다. 그리고 페리클레스는 이것을 잊지않고 있다가 도편추방으로 갚아주었다.
- ↑ 고대 아테네 민주정의 상징과도 같은 도편추방제를 만든 그 개혁가 맞다.
- ↑ 살라미스 해전과 페르시아 전쟁 당시 아테네를 승리로 이끈 전쟁 영웅이었으나 페르시아 전쟁 이후 스파르타를 잠재적 적국으로 간주할 것을 주장하다가 추방된다.
- ↑ 여담이지만 키몬이 도편추방될 당시 명분이 '스파르타와 너무 친하게 놀아서 아테네의 이익을 실추시켰다'라는 것이었다. 키몬이 테미스토클레스를 추방시킬 당시 내세운 명분이 '지나치게 반스파르타적이다'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재밌는 부분.
돌고도는 인생 - ↑ '델로스' 동맹인데도 안전을 핑계로 델로스 동맹 전체의 금고는 아테네로 옮겨졌으며
석연찮은 비용 지출은 기본, 심지어 델로스 동맹국의 화폐도 강제로 아테네의 화폐를 기준으로 통폐합된다. 이런 일방적인 움직임에 몇몇 폴리스가 반기를 들기도 했지만 곧바로 무자비하게 때려잡힌다. - ↑ 그래도 페리클레스니까 이 정도로 버틴거다. 자기는 도편추방제로 정적들 맨날 내쫓으면서 정작 자기는 삼십년동안 안쫓겨나고 권력 유지하는게 그리 쉬운일이 아니다.
테미스토클레스도 그렇고 키몬도 그렇고 권력의 정점이라고 생각했을 시기에 방심하다가 정적의 반격으로 훅 갔다. - ↑ 측근이었던 페이디아스는 공금 횡령 혐의로 기소되어 옥사했으며, 페리클레스의 애인 아스파시아는 문란한 성생활을 근거로 고발되어 한바탕 곤욕을 치른다.
- ↑ 다만 해운업을 주로 하는 아테네 시민들에게 성안에 그대로 갇혀서 아무것도 하지 말고 버티라고 하니 반발의 목소리가 꽤나 컸다고 한다. 청야전술 반대파에 의해 일시적으로 장군 지위를 박탈당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