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제(전한)

전한의 역대 황제
8대 소제 유불릉9대 폐제 유하10대 중종 선제 유오
유(劉)
하(賀)
생몰기간BC 92년 ~ BC 59년
재위기간BC 74년 7월 18일 ~ BC 74년 8월 14일

생몰년은 ?~기원전 74년. 재위기간은 기원전 74년.

전한의 암군. 전한의 9대 황제. 묘호는 없다. 창읍왕(昌邑王)이라고도 불린다.

소제가 아들 없이 요절하니 아주 골치아픈 형국이 벌어진다. 소제의 부황 무제에겐 6명의 아들이 있었다. 여태자 유거(劉據), 제회왕 유굉(劉閎), 연날왕 유단(劉旦), 광릉여왕 유서(劉胥), 창읍애왕 유박(劉髆), 그리고 붕어한 소제 본인. 이 중 살아있는 사람은 광릉왕뿐이고, 다른 형제들의 자손은 창읍애왕의 아들 창읍왕 유하, 여태자의 손자 유병이(후의 선제)가 있었다.[1]

이에 소제의 대신인 곽광은 창읍애왕의 아들인 창읍왕 유하라는 인물을 황제로 추대한다. 《한서》 곽광전과 《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소제가 죽자 다른 대신들은 모두 광릉왕을 추대했으나, 곽광(霍光)은 무제 눈밖에 난 광릉왕을 추대하는 것을 꺼려, 자신의 외손녀이기도 한 황후의 조서를 받아 창읍왕 유하를 불러들여 왕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2] 그런데 유하는 정신 이상자였다. 그가 방탕한 나머지 곽광은 전한의 소제가 죽은 뒤에, 창읍왕 유하를 천자로 세웠다가 음란하다는 이유로 27일만에 전연년(田延年), 장안세(張安世) 등과 공모하여 유하를 폐위시켰다. 그리고 그해 9월 무제의 태자였던 유거(劉據)의 손자 유병이(劉病已)를 궁으로 불러들여 제10대 선제(宣帝)로 세웠다.[3]

  1. 연날왕의 세 아들도 살아있었으나 아버지의 모반으로 겨우 사면된 처지라 하자가 있었다.
  2. 유서를 추대할 경우 유서 본인의 능력이 출중하고 집안의 권세가 있어 곽광의 입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황후의 조사를 내세워 권력과 동떨어진 창읍쪽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3. 이때에도 광릉왕 유서, 연왕 등이 추대되었으나 곽광은 이를 무시하고 유병이를 선제로 세웠는데, 유병이를 세운 이유는 전적으로 권세가 없는 유병이를 황제로 세워 자기 가문의 권세를 다지기 위함이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명종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