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문서 : 자연지리 관련 정보
목차
1 개요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덩어리가 바람받이 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비를 뿌린 후 바람의지 사면으로 내려올때 고온건조해진 공기의 상태가 지역적으로 가뭄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독일 지역에서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부는 건조한 열풍을 뜻하던 말 Föhn(푄)[1]에서 유래했다.
반대로 낮은 산지를 타고 지형성 강수 없이 한랭건조한 공기가 그대로 직격해 내려오거나 고산, 고원지대쪽에서 만년설 등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가 해안가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듯 부는 바람은 보라(Bora) 현상이라고 부른다.
2 상세
공기가 산을 타고 넘어갈 때 이슬점은 100m당 섭씨 0.2도씩, 불포화 공기[2]는 100m당 섭씨 1도씩 떨어진다. 이 공기가 높은 산에 가로막히면 바람에 의해 강제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것이 단열반응이 되어 기온이 이슬점을 따라잡아 구름이 생겨 비를 뿌린다. 상대습도 100% 상태에서는 기온과 이슬점이 섭씨 0.2~0.8도/100m씩[3] 떨어지게 된다. 이후 산을 넘어간 후 다시 내려오면서, 산을 올라갈 때와 똑같은 비율로 기온과 이슬점이 각각 증가하는데, 산을 올라가기 전 공기상태보다 이슬점은 낮고 기온은 높은 덥고 건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뭄이 일어난다. 심각한 경우에는 그 지역에 걸쳐서 아예 사막이 되기도 한다.
뉴질랜드 남섬에 위치한 산맥인 서던 알프스 산맥에서[4] 푄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히말라야 산맥에서도 나타난다.[5]
한국에서는 태백산맥의 영동과 영서 지방에서 부는 높새바람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높새바람으로 인해 봄에 서쪽 평야지방에 가뭄이 생기기도 한다.
건조한 바람으로 물기를 말린다는 특징 때문인지 독일 남부와 스위스에서는 헤어드라이기[6]도 '푄'이라고 부른다.(단, 구분을 위해 철자는 'h'가 빠진 Fön이라고 쓴다)
3 학교 교육 과정에서
이 푄 현상은 몇 안되는 과탐, 사탐에서 공통으로 배우는 현상이다. 다만 과목에 따라 보는 관점이 조금 다르다. 지구 과학Ⅱ[7]에서는 과학과목답게 위의 내용처럼 여러 그래프와 공식을 사용하여 정량적, 수학적으로 자세하게 탐구하지만[8], 물리Ⅱ에서는 단열 과정의 예로 아주 짧게 언급하고 지나간다. 한국지리·세계지리 혹은 중2 사회에서 배우게 되는 푄 현상은 그 지역의 지리와 연관되어 배우게 된다.- ↑ 라틴어로 서풍을 뜻하는 Favonius(파보니우스)가 원형이다.
- ↑ 습도가 100%가 아닌 공기.
- ↑ 0.5도/100m는 평균치다.
- ↑ 산맥을 사이에 두고 기후가 달라질 정도로 심하다.
- ↑ 대부분의 높은 산지로 가로막혀 있는경우 쉽게 나타난다.
- ↑ 표준어로는 당연히 'Haartrockner'
- ↑ 과탐이 대거 개정되면서 지구과학Ⅰ에서 지구 과학Ⅱ로 넘어갔다.
- ↑ 이 경우는 어디서 이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사실 이 '푄 현상'이라는 이름도 잘 쓰이지 않는다. 이과생은 '대기와 물의 순환' 단원의 일부분으로 이슬점 감률과 기온 감률이 다름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으로만 이해하고 있고 그 이름을 기억하기보단 포화수증기압 곡선을 더 잘 해석하는데에 더욱 관심이 있을 뿐. 이 각주는 개정 전 내용에 관한 것으로 자세한 내용을 아는 사람은 수정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