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al Scream
1 소개
1981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결성된 얼터너티브 록밴드 종종 일렉트로니카로도 분류된다.
결성된 이래 꾸준한 멤버 교체가 있었으며 [1], 음악적으로는 로큰롤, 사이키델릭을 기반으로 일렉트로니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하이브리드한 음악 스타일을 보여준다. 매드체스터 사운드의 특징인 댄서블한 록음악을 발전시켜 이후 등장하는 카사비안 같은 현대의 '댄스 록'으로 분류되는 밴드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가끔 장르가 일렉트로니카로 분류될 정도로 일렉트로니카와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밴드로, 이 역시 후배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아무튼 라디오헤드와는 다른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음악'을 추구하는 후배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밴드이다. 실험적인 시도 면에서는 라디오헤드 이상의 평가를 받기도 한다.
스톤 로지즈, 해피 먼데이즈 같은 매드체스터 사운드와 함께 80년대 후반-90년대 초 등장한 영국 밴드들 중 비평가들에게 가장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밴드이기도 하며[2], 요즘도 새 앨범을 내면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참고로 간지나는밴드의 이름의 유래는 정신과 치료의 일종으로 억눌러진 감정을 비명으로 발산해 치료하는 요법이라고 한다.[3]
밴드의 보컬이자 프론트맨인 바비 길레스피(Bobby Gillesipe)는 이전에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의 드러머였으며 [4], 키가 크고 옷빨이 좋아서 가끔 패션모델로 서기도 한다. 별개로 결혼 전까지는 마약에도 손 대고 좀 막장 생활로 논란이 많았다. 지금은 나이도 먹고 결혼도 해서인지 많이 잠잠해진 편. 밴드 멤버의 변동이 꽤 심한 편인데, 이 밴드를 거쳐간 멤버들 중에는 스톤 로지스의 베이시스트였던 게리 마운필드나,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의 케빈 쉴즈도 있다! [5]
2 Discography
앨범들 간의 스타일 차이가 매우 크며 평가도 기복이 매우 심하다. 초창기 앨범과 XTRMNTR 앨범을 비교해 보면 '같은 밴드 맞나' 싶을 정도(...) 대충 정리하면 1~2집의 록큰롤 스타일을 구사던 초기, 3~7집의 실험적인 중기, 8집 이후의 절충적인 후기로 나눌 수 있다.
- Sonic Flower Groove (1987)
- 81년에 데뷔한 것 치고는 조금 늦게 나온 데뷔 앨범. 당시(80년대 중반) 유행하던 더 스미스 식의 영국식 인디 팝의 조류와 바비 길레스피가 예전에 있던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의 영향이 뒤섞인 앨범. 이 무렵은 무명시절이기도 하고 해서 인디 신에서 반짝 인기를 얻는 정도로 끝났고, 비평적으로도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 Primal Scream (1989)
- 1집보다 하드 록에 가까워진 앨범. 롤링 스톤즈나 스투지스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프로토 펑크 성향도 보여주고 있다. 1집과 비교해서 여러 부분이 변화되었으나, 여전히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단, 수록곡 중 <I'm Losing More Than I'll Ever Have>는 이후 3집에서 리믹스되어 밴드의 인생싱글이라 할 수 있는 <Loaded>로 재탄생된다.
- Screamadelica (1991)
- Give Out But Don't Give Up (1994)
미국 흑인들이 싫어합니다.[6]- 전작의 명성을 뒤로 하고 다시 록큰롤로 회귀한 앨범. 대부분의 사람들의 프라이멀 스크림이 전작의 성공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새 앨범을 낼 것이라고 생각하였기에, 이 앨범은 수많은 사람들을 충공깽에 빠뜨렸다. 그렇다고 초창기 시절을 완전히 담습한 앨범은 아니며, 펑크(Funk)와 블루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식으로 또 다른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전작과 비슷한 스타일을 기대한 사람들이 많았기에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으며, 평론가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 Vanishing Point (1997)
- 전작과는 또 다르게(...) 다시 일렉트로니카 스타일로 회귀한 앨범. 리처드 세레피안의 71년도 로드무비인 Vanishing Point에서 모티브를 얻었으며, 이 영화의 OST를 다시 만든다는 기분으로 작업한 앨범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앨범의 대표곡인 <Kowalski>는 아예 이 영화의 주인공 이름이며, 뮤직비디오도 영화에서 모티브를 따온 차량 추격신이 들어가 있다.
- Screamadelica 앨범에서 더욱 발전한 음악 스타일로 많은 사람들의 호평을 이끌어내었다. Screamadelica에 비해 어둡고 거친 분위기를 가지고 있고, 보다 록과 일렉트로니카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였으며, Screamadelica에 비해 보다 통일성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몇몇 사람들은 Screamadelica를 제치고 이 앨범을 프라이멀 스크림 최고의 앨범으로 꼽기도 한다.[7]
- XTRMNTR (2000)
- 전작에서 살짝 보여줬던 거친 면모와 공격적인 스타일을 극한까지 밀어붙인 그야말로 막나가는(...) 앨범. '시끄럽다'라는 것을 제외하면 이 앨범을 록음악으로 보기 힘들 정도로 기존의 록적인 구성을 철저히 부숴놓았으며, 인더스트리얼 록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사운드만큼이나 가사도 공격적이고 정치적으로 변모하였다.[8] 기존의 '록스러운' 프라이멀 스크림과는 매우 다른 앨범이라 록 팬보다는 오히려 일렉트로니카 팬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는 앨범이지만, 전작에 이어 사람들의 호평을 이끌어내는 것에 성공하였다. 이 앨범부터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의 케빈 쉴즈가 비정규 멤버로 참여하였다.
- Evil Heat (2002)
- 전작의 스타일을 그대로 이어간 앨범. 전작보다는 조금 순화되었지만 여전히 록보다는 일렉트로니카 성향이 강하며, 여전히 인더스트리얼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다. 큰 차별점을 두지 못해서인지 전작들에 비해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 Riot City Blues (2006)
정말 오랜만에 일렉트로니카를 집어던지고 과거 록큰롤 스타일로 회귀하여 전세계를 또 다시 충공깽에 빠뜨린 앨범. 이 앨범이 나올 무렵에는 댄스 록 스타일이 록 시장의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와 있었기에 대선배 격인 이들이 보여준 복고적인 모습은 여러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전작들을 '다 잊고' 들으면 꽤 괜찮은 앨범이자만 하필이면 이 앨범을 만든 그룹이 '그' 프라이멀 스크림이었기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 Beautiful Future (2008)
- 다시 하이브리드한 스타일로 돌아왔지만, 과거와는 달리 꽤 절충적인 앨범. 일렉트로니카를 사용하나 메인으로 나서지는 않고, 전반적으로 댄스 록 스타일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모든 프라이멀 스크림 앨범을 통들어서 가장 팝적이고 대중적인 성향이 강한 앨범이다. 대중들이 원하던 스타일로 돌아오기도 했고 대중적이기도 해서 상업적으로는 꽤 성공했다.
- More Light (2013)
- 2013년 5월 13일에 발매된 신보. 전작에서 보다 사이키델릭하고 실험적으로 나아갔다. 기존의 록큰롤 스타일을 포함한 과거의 여러 스타일들이 꽤 깔끔하게 혼재되어 있다. 대중들에게도, 매체들에서도 Riot City Blues 이후의 후기 프라이멀 스크림 앨범 중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모로 프라이멀 스크림의 스타일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입문용으로 좋은 앨범.
- Chaosmosis (2016)
2016년 3월 18일 발매. 2월 1일에 스카이 페레이라가 피처링한 리드 싱글 Where The Light Gets In을 발매했다. 뉴 오더 스러운 신스팝과 뉴웨이브를 대거 수용하였다. 평은 별로 좋지 않은데, 지나친 장르 수용으로 개성을 잃고 평범한 신스팝 밴드가 되어버린 것 같다는 평이 많다.
- ↑ 바비 길레스피랑 앤드류 이네스, 펠트로 유명한 마틴 더피가 고정으로 있다고 보면 좋다.
- ↑ 사실 그도 그럴 것이 이들을 제외한 매드체스터 신의 다른 밴드들은 초반에 불꽃을 태우고 모조리 단명했다. 프라이멀 스크림은 이들과는 정반대로 대기만성형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은 밴드.
- ↑ 비틀즈의 해체 이후 심적으로 고통받은 존 레논이 이 치료를 받았다. 치료를 받으며 만든 앨범이 Plastic Ono Band.
- ↑ 당시에도 프라이멀 스크림도 같이 돌리고 있었지만 프라이멀 스크림은 앨범도 안 낸 무명이였고 반대로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은 나름 잘 나가는 중이였다. 1집과 EP 녹음 후 프라이멀 스크림에 집중하기 위해 탈퇴했다.
- ↑ 케빈 쉴즈의 경우, 지금도 정식 멤버는 아니지만 이들의 앨범에 기타 연주를 녹음하거나 세션으로 뛰기도 하는 식으로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 ↑ 표지의 간판(?)은 아메리카 연합국기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아메리카 연합, 즉 남부연합이 노예제를 옹호했기 때문에
인종주의자들을 제외한웬만한 미국인들은 인종차별의 상징이라 하여 안좋게 보고 있고, 흑인들은 한국인의 욱일기 혐오와 비슷할 정도로 싫어한다. 다만 프라이멀 스크림이 흑인을 차별하는 밴드는 아니다. 오히려 'Star' 등에선 흑인 민권 운동을 지지했을 정도. 애시당초 저 사진은 앨범을 위해 찍은게 아니라 미국 컬러 사진의 대가 윌리엄 이글스턴이 찍은 사진을 사용한것이다. - ↑ 당시 멤버였던 스톤 로지스 출신의 게리 마운필드는 "스톤 로지스가 했던 모든 작업들을 엿먹이는 앨범"이라는 요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 ↑ 다 필요없고 첫 곡 제목이 <Kill All Hippes>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