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장

1 품행 行狀

교도소에서 복역수를 평가할 때 매기는 성적이기도 하다.

2 문학 장르 行狀

1의 행장에서 의미를 가져왔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시기에 처음 언급이 나오지만 당시 글들은 현재는 전하지 않고, 언급도 없어졌다가 남북조시대에 다시 부활한 장르이다. 한국에서는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김유신의 현손인 김장청이 김유신 행록(行錄) 10권을 써서 전한다[1]는 기록이 있는 것을 봐서는 만들어 넣은 말이 너무 많아서 잘랐다라는 것도 포함해서 유사한 형태의 글이 많이 있었던 것 같지만 역시 전하지 않고, 조선시대 속동문선부터 시작해서 정식으로 행장과 관련된 언급이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죽은 사람의 행적과 성품에 대하여 기록하는 형태로, 대부분 죽은 사람의 친익척이나 제자 등의 지인이 기록하였다. 원래는 죽은 사람의 행적과 사상을 기록해서 후대의 사관들에게 도움을 주려는 오지랖의도로 창작된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과 사상에 대해서 짧게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런 형태로 쓰여진 대표적인 예를 보고 싶으면 조선왕조실록에서 가끔 등장하는 졸기를 보면 된다. 이게 그나마 유사하다.

문제는 이게 죽은 사람의 지인이 역사가들 보라고 쓰는 글이니 과연 어떤 내용이 될 것인가라는 것. 남송시대 주자의 제자인 황간이 스승 주희의 행장을 40여장에 달하는 방대한 장문으로 쓰면서, 자기 스승의 행적이나 사상은 앞으로 크게 본보기가 될 것이기 때문에 자세히 쓸 수 밖에 없다능 이라는 드립을 친게 시작이었다. 당연히 성리학자를 자처하던 조선시대 유생들은 자기 스승, 자기 조상에 대한 행장을 쓰면서 경쟁하듯이 양을 늘려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김에 없는 내용도 슬쩍 슬쩍 추가하기 시작했다. 이 행장이라는 글 자체가 역사서를 쓸 때 참고할 사료라는 명목으로 시작된 글이기 때문에, 행장을 폼나게 창작해두면 역사서에도 창작된 내용이 들어갈 수 있다는 심보를 먹은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숙종때에 사육신을 복권하면서 소설인 육신전마저 참고했던 것을 고려하면 마냥 꿈만도 아니었다. 이게 국가에서 인정받으면 제자나 후손은 대박이 터지는 것이다. 이렇게 행장은 100장을 넘기는가 하면, 김유신의 행록처럼 권단위로 쓰여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버릇은 직계조상뿐 아니라 자기 조상이나 학맥을 거슬러올라가기 시작해서 온갖 행장들이 다 등장했다. 그래서 행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모든 과거 인물들은 문인들은 유교적 성인이자 예술적 문장가이고, 무인들은 여기에 신출귀몰한 전략가이고 전쟁에 참여한 사람은 모조리 군신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허목 같은 이는

“행장이란 그 행적을 쓰는 것이다. 나이란 주공(周公) · 공자(孔子)라 하여도 나는 주공 · 공자가 아니며, 나를 정자(程子) · 주자라 하여도 나는 정자 · 주자가 아니다. 살았을 때 주공 · 공자가 아니었는데 죽어 지하에서 주공 · 공자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비판을 하기도 했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소설을 써 버릇한 사람들은 꾸준히 소설을 썼고, 후대의 인물들이 가끔 여기에 낚여서 파닥거리고는 한다. 그리고 가끔 이 행장의 내용이 민담이나 야사라고 하면서 은근슬쩍 역사의 진실인 것처럼 언급되기도 하는데, 후손들이 은근히 들이미는 경우가 많다.

3 行狀

여행증명서로 조선시대왜관 등을 거치는 일본인들이 보유했다.

4 行裝

여행갈 때 싸는 짐을 말한다.

5 行長

은행의 수장. 일반 기업의 사장과 같다. 지점장부장 대우이다.
  1. 庾信玄孫新羅執事郞長淸 作行錄十卷 行於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