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레이저 시리즈

(헬레이저에서 넘어옴)

1 개요

Hellraiser.

공포 소설로 유명한 클라이브 바커가 1986년 "Night Vision"이라는 호러 앤솔로지의 3권에 수록했던 중편인 "The Hellbound Heart"를 기반으로 하여, 1987년에 각본과 감독을 맡아 내놓은 공포 영화. 클라이브 바커의 초기작이 지닌 BDSM과 잔혹한 고어, 호러, 섹스의 결합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100만 달러 저예산으로 만들어 미국에서만 146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후에도 헬레이저라는 프랜차이즈는 영화 시리즈, 뿐만 아니라 영화를 기반으로 한 코믹스, 심지어 피규어 시리즈로도 이어졌다.

바커가 직접 감독한 1편의 경우 캔디맨이나 미드나잇 미트 트레인에 비견될 정도로 고평가받는 작품이다. 그러나 호러 영화 프랜차이즈가 늘 그렇듯 1편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떡밥을 충실히 회수한 2편도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지만, 무리해서 이어가기 시작한 3편부터는[1] 캐릭터와 설정만 차용했을 뿐 전형적인 쌈마이 호러 영화로 악평을 받으면서도 꾸역꾸역 나오는 정도이며 그마저도 2011년작 "Revelations"가 희대의 악평을 듣고 망한 이후로는 5년 가까이 제작조차 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속편들 중에서는 5편 정도가 어느 정도 흥미로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2 영화판 시리즈

헬레이저 (Clive Barker's Hellraiser)
헬레이저 2 (Hellbound: Hellraiser II)
헬레이저 3 (Hellraiser III: Hell On Earth)
헬레이저 4 (Hellraiser: Bloodline)
헬레이저 5 (Hellraiser: Inferno)
헬레이저 6 (Hellraiser: Hellseeker)
헬레이저 7 - 데더 (Hellraiser: Deader)
헬레이저 8 - 헬월드 (Hellraiser: Hellworld)
헬레이저: 레버레이션 (Hellraiser: Revelations)

3 수도사(Cenobite)들

그렇다면 그의 눈은 왜 그들을 바라보기를 이토록 두려워하는가? 그들 신체의 모든 부분을 뒤덮은 상처, 마치 장식하듯 구멍을 뚫고 칼로 난도질한 뒤 꿰메어 놓은, 재로 뒤덮인 살갗 때문인가? 여자들도, 교성도 없었다. 오직 흉터투성이의 살갗을 지닌 성별을 구별할 수 없는 존재들이 나타났을 뿐이었다.
그들은 그 경험을 쾌락이라고 불렀다. 적어도 그들은 그렇게 생각했다. 아닐 지도 몰랐다. 절망적으로 흠 없이 모호한 정신으로는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들에게는 보상과 징벌에 대한 원칙이 없었기에 그는 고문이 중단되기를 바랄 수 없었다. 그는 상자를 열었던 날로부터 몇 주 몇 달 동안 자비를 갈구했으나 그들은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한 분열의 상태에서는 어떠한 열정도 가질 수 없었다. 존재하는 것은 오직 웃음소리와 울음소리뿐이었다. 그는 고문이 없는 한 시간, 고작 숨 한 번 내쉬는 것처럼 느껴지는 시간에는 기쁨의 눈물을 흘렸고, 엔지니어가 고통을 준비할 때 그에게 가해질 새로운 공포를 마주했을 때 마찬가지로 역설적인 웃음을 터트렸다.

헬레이저 시리즈의 등장 악역들. 다만 이들은 코스믹 호러에 가까운 공포의 대상이며 보통 스토리상의 반동인물(안타고니스트)는 따로 있다. 본래 원작 소설이 중편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에 실질적인 수도사들의 외모와 캐릭터가 확립된 것은 영화 1편 이후이다. 또한 속편이 계속 제작되면서 원래의 '고통이자 쾌락을 선사하는 역설적인 존재들'이라는 설정은 흐지부지해지고 점차 고어한 외모를 가진 악마나 몬스터에 가까워진 것이 사실이다.

세계 각지에는 '르마샹의 상자(Lemarchand's Box)', 혹은 '비탄의 배열장치(Lament Configuration)'에 대한 소문이 있다. 18세기 프랑스 장인이었던 필립 르마샹(Philip Lemarchand)이 만들었다고 알려진 이 상자는 일종의 캐스트 퍼즐 박스로, 그 퍼즐을 풀고 상자를 열면 '수도사'들이 나타나 상자를 연 사람을 자신들의 차원으로 불러내 끝없는 쾌락을 선사해준다는 것. '일단 열면 다시 돌이킬 수 없다'는 경고가 있음에도, 쾌락과 욕망에 미쳐 인간에게 허락된 것 이상을 갈구하는 사람들이 이 상자를 찾아헤맸고, 역사 속에서 백여명 정도가 상자를 찾아내 수도사들을 불러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이 말하는 '쾌락'의 뜻은 다른 의미로, 이들 수도사들은 쾌락의 극한을 탐구한 끝에 BDSM에 심취하여, 고통과 쾌락을 구분하지 않게 되었다. 즉 이들은 상자를 연 사람을 자신들의 차원으로 데려가 극한의 고통이자 쾌락을 동시에 선사하는 것. 자기들 입으로 "누군가에게는 천사, 누군가에게는 악마"라고 작중에서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소설에 묘사된 바에 의하면 인간의 감각을 한계까지 확장해 자신이 거주하는 도시의 모든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만든 뒤에 끝없이 고문하는 모양. 자신이 떠나온 도시의 일상을 지켜보면서 고문을 하는 것이 '고문의 본질을 이해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모양.

사실 코스믹 호러적인 존재답지 않게 은근히 규칙에 얽매이는 모습을 보인다. 상자를 연 사람에게 영원한 쾌락(이자 고통)을 선사하기 전에 세 번이나 '돌이킬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며 질문을 한다. 물론 그들이 생각하는 '쾌락'의 정의에 대해 미리 말하지는 않지만. 게다가 이들 스스로도 BDSM에 심취하여 자신의 몸을 고문하면서 쾌락(이자 고통)에 빠진 존재들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영원한 시간동안 일종의 자원봉사를 하는 셈.

이들 중 가장 유명한 영화의 마스코트는 통칭 "핀헤드(Pinhead)"라고 불리는 수도사로 안면에 규칙적으로 박힌 못, 검은 가죽 옷을 착용한 수도사들의 우두머리로 전 시리즈에 걸쳐 모습을 비추고 포스터에도 등장하는 명실상부 헬레이저의 얼굴 마담이다. "핀헤드"라는 이름은 영화 메이크업 담당자가 임의로 붙인 이름인데, 클라이브 바커는 이 명칭을 좋아하진 않았다고 한다. 사전 찾아보면 알겠지만 핀헤드(pinhead)의 뜻은 바보. 실제 영화 크레딧에도 "우두머리 수도사 (Lead Cenobite)"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시리즈 내내 핀헤드라 불리지 않는다. 본래 원작에서는 마지막에 등장하는 다섯 번째 수도사 엔지니어(The Engineer)가 우두머리인 것처럼 묘사되었지만, 핀헤드가 인기를 얻으면서 우두머리 자리를 차지했다.

그 외의 수도사들도 다들 SM, 고어를 연상시키는 정신나간 모습들을 하고 있어 이런 쪽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도, 좋아하지 않는 이들에게도 상당한 비주얼 쇼크를 선사한다.[2]

  • 버터볼(Butterball), 핀헤드(Pinhead), 딥 쓰로트(Deep Throat), 채터러(Chatterer) - 1편

  • 차나드(Channard) - 2편

  • 시디(CD) - 3편

  • 바비(Barbie) - 3편

  • 드리머(Dreamer) - 3편

  • 카메라헤드(Camerahead) - 3편

  • 피스톤헤드(Pistonhead) - 3편

  • 샴 쌍둥이(Siamese Twins) - 4편

  • 앤젤리크(Angelique) - 4편

  • 토르소(Torso) - 5편

  • 와이어 트윈스(Wire Twins) - 5편

  • 서젼(Surgeon) - 6편

  • 스티치(Stitch) - 6편

  • 바운드(Bound) - 6편

  • 바운드 II(Bound II) - 7편

  • 리틀 시스터(Little Sister) - 7편

  • 스파이크(Spike) - 8편

  • 채터러 비스트 (Chatterer Beast) - 9편

4 코믹스

1989년부터 1992년 동안 20권에 걸쳐 나온 시리즈. 에픽 코믹스(Epic comics)라는 출판사에서 나왔으며 클라이브 바커 본인이 직접 참여했다고. 이후에도 1992년~1994년에 걸쳐 3개의 특별편이 나왔으며, 2010년 12월에는 붐! 스튜디오(Boom! Studios)에서 클라이브 바커와 크리스토퍼 몬페트(Christopher Monfette)가 참여한 8편의 미니시리즈 코믹을 낼 거라 고지하기도 했다. "Hellraiser: Masterworks"라는 제목 아래 에픽 코믹스에서 낸 작품을 재출판할 계획도 잡혀 있다고.

5 피규어

2001년 7월에 토니 맥팔레인과 협력하여 수도사들을 모티브로 삼은 듯한 "토처드 소울즈(Tortured souls)"라는 제목의 피규어 시리즈를 내기도 했다. 각 캐릭터의 디자인은 전부 클라이브 바커가 맡았으며 직접 단편 소설도 써서 동봉했다고. 인기가 좋아 두 번째 시리즈도 나왔다.
  1. 2편이 거기서 그대로 끝났어야 하는데 그러질 못 하고 결말부에 새로운 떡밥을 투척하고 끝나는 바람에 제작되었다. 특히 이 3편의 경우는 온갖 황당한 특수효과를 떡칠하여 제작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
  2. 2013년 7월 방영된 무한도전 완전 남자다잉 특집에서 박명수가 두침을 맞은 장면에서 노홍철이 헬레이저 드립을 쳤었다. 이때 핀헤드 그림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