慧超
(704~787)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그의 생애에 관해서는 오랫동안 미궁 속에 빠져 있었는데 오늘날에 와서야 비로소 그 대략적인 면모가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성덕왕 22년인 723년 당나라 광저우에 가서 인도의 승려 금강지의 제자가 되었다. 그 뒤, 그의 권유로 나신국(裸身國)을 경유하여 인도 동해안에 도착하여, 불교 성적을 순례하였다. 이후 파미르 고원을 넘어, 727년경 당나라 안서도호부가 있는 쿠차를 거쳐 733년 당나라 장안 천복사의 도량에서 금강지와 함께 《대승유가금강성해만주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大乘瑜伽金剛性海曼珠實利千臂千鉢大敎王經)》이라는 경전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혜초의 여정 # 여정 지도2.
혜초의 여정. 이미 그가 인도를 방문하던 시기엔 인도의 불교는 점점 쇠하고 힌두교가 극성하고 있어 그가 안타까워 했다고 한다.
740년부터 이 경전의 한역에 착수하였으나 이듬해 금강지가 죽자 중단하였다. 혜초는 금강지의 법통을 이은 불공삼장 6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서도 이름을 떨쳤으며 우타이산 건원보리사에 들어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그의 인도 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1908년에 프랑스의 동양학자 펠리오에 의해 중국 간쑤성의 둔황 막고굴에서 발견되어[1] 고대의 동서 교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혜초가 신라 출신이기는 하지만 당나라로 유학을 떠난 후 다시는 귀국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전해지는 그의 저작 역시 신라가 아닌 중국에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