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 개요

5차 교육과정 세대의 마지막 수능. 물수능이라 불릴 뻔 했으나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는 수능.[1]

1997년 11월 19일[2]에 실시되었다.
만점자는 없었고 전국 수석도 공개되지 않았다.[3]

2 시험의 상세

교시영역계열 구분문항배점시간(분)
1언어 영역공통6512090
2수리 · 탐구(Ⅰ) 영역인문, 자연, 예체능3080100
3수리 · 탐구(Ⅱ) 영역사회탐구 영역인문, 예체능4872120
자연3248
과학탐구 영역인문, 예체능3248
자연4872
4외국어 영역공통558080
합계230400390

[4]

3 난이도

전체 평균 점수는 221.8으로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비해 41.8점 상승한 수준이지만, 만점자는 없었다. 97학년도에 비해 왠만한 과목은 다 쉽게 출제되었다.[5]

과목별로 언어영역(국어)은 평균 점수 120점 만점에 77.68점(100점 만점에 64.73점)이었으며 인문계는 원점수 114점 정도가 1.3퍼정도였다. 원점수 110점 이상이 인문계 16642명(4.04%), 자연계 13640명(3.75%)으로 평균이 이과가 근소하게 높았으나, 110점 이상의 상위권 기준으로 문과가 우세한 시험이었다. 이 당시 등급의 개념은 없었으나, 만약 평가원 식으로 등급을 매기면 문과,이과 모두 5개 틀리면 1등급에 들 수 있는 정도로 7차 이후 기준으로 어려운 난이도였다. 물론 5차 교육과정 기준으로는 꽤 쉬운 난이도.

수리탐구Ⅰ(수학)은 100점 만점에 인문계 평균 35.69점, 자연계 평균 42.15점이었다. 원점수 80점 만점에 75점 이상이 인문계 3810명(0.92%), 자연계 4070명(1.12%)이었고 만점 비율 이과, 문과 각각 0.21%로 같게 나와 작년보다 쉬워졌다. 97수능은 75점 이상이 자연계는 100명 이하, 인문계는 10명 내외였다. 원점수 70점 이상은 인문계 8191명(1.98%), 자연계 9796명(2.69%)였다. 65점 이상 인문계 14325명(3.47%), 자연계 17646명(4.86%)이었다.

외국어영역은 80점 만점에 45.08점이 평균 점수였다. 원점수 75점 이상 인문계 17330명(4.20%), 자연계 16990명(4.68%)으로 쉬운 편이었다.

수리탐구Ⅱ(사과탐)는 100점 이상이 인문계 12065명(2.93%), 자연계 13455명(3.70%)였다. 110점 이상이 인문계 1314명(0.319%), 자연계 1731명(0.47%)으로 역시 작년보단 쉬웠다. 작년은 110점 이상이 인문계 5명, 자연계 13명이었다. 6차 교육과정의 사탐, 과탐과는 교육과정이 달라 비교하기 어려우나 비교하자면 6차 교육과정의 시험보다 다소 어려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원점수 300점 이상이 110832명으로 '당시 기준' 사상 최대의 인원을 보였다. 원점수 350점 이상은 인문계 9200명대(2.2%정도), 자연계 9800명대(2.7%정도)였으며 360점 이상 인문계 5100명대(1.2%대), 자연계 5200명대(1.4%대), 370점 이상 2200명대(0.54%), 자연계 2100명대(0.58%), 380점 이상 인문계 600명 내외(0.14%), 자연계 500명 내외(0.12%)정도였다. 원점수 390점 이상은 인문계 33명, 자연계 30명뿐이었다. 사실 이 정도 난이도는 6차 이후 시험에서는 어려운 편에 속한다. 단지 97수능이 너무 어려운 편이라 비교되어서... 그리고 전체적인 점수 분포가 상위권, 중상위권이 늘어나 항아리형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97수능에 비하면 정상적인 분포를 보였다.[6]

한편 이 해부터 수시모집이 본격 시행되는데,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을 그다지 많이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예컨대 서울대학교의 경우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은 수능 성적이 상위 10% 안에만 들면 최종 합격 통지서를 받을 수 있었다. 1997년 12월 2일에 서울대학교 사상 최초의 수시모집 예비 합격생 348명의 명단이 발표되었고 이 가운데 330명이 최종 합격을 하였다.

  1. 이와 비슷한 난이도로 나온 수능들(02학년도 수능, 03학년도 수능)들은 불수능이라고 평가받기까지 했다. 아마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너무 쉬운 영향도 있겠지만, 이 수능 전인 97학년도 수능은 수능 사상 최강의 불수능이었다.
  2. 공교롭게도 다음날인 20일은 IMF에서 한국이 구제 금융을 받는 날이기도 했다.
  3. 출제위원회랑 교육부랑 학교에서 만점자를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는 말이 있었는지에 대해 추가바람.
  4.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이 포맷으로 유지되었다.
  5. 사실 97학년도 수능은 본고사 폐지 영향 때문에 변별력을 가려내기 위해 난이도를 올렸다는 분석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6. 97학년도 수능은 상위권이 작고 중하위권이 많은 꽃병형 분포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