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항목 : F-35
1 도입 현황
국가별 F-35 최초 예상 주문 수량# | |||||||||||||||
종류 | 미국 | 영국 | 터키 | 호주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캐나다 | 노르웨이 | 일본 | 한국 | 덴마크 | 이스라엘 | 총계 | ||
미공군 | 미해군 | 미해병대 | |||||||||||||
F-35A | 1763 | 100 | 100 | 60 | 85 | 52 | 42+100 | 40+20[2] | 39 | 14+19 | 2325 | ||||
F-35B | 340 | 138 | 30 | 508 | |||||||||||
F-35C | 260 | 80 | 340 | ||||||||||||
총계 | 1763 | 260 | 420 | 138 | 100 | 100 | 90 | 85 | 52 | 42+100[3] | 40+20 | 39 | 14+19[4] | 3227 |
2013년 국가별 F-35 보유/운용 수량# | |||||||||||||||
종류 | 미국 | 영국 | 터키 | 호주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캐나다 | 노르웨이 | 일본 | 한국 | 덴마크 | 이스라엘 | 총계 | ||
미공군 | 미해군 | 미해병대 | |||||||||||||
F-35A | 47 | 14 | 3 | 2 | 66 | ||||||||||
F-35B | 25 | 4 | 29 | ||||||||||||
F-35C | 18 | 18 | |||||||||||||
F-35I[5] | 2 | 2 | |||||||||||||
총계 | 47 | 18 | 25 | 4 | 14 | 3 | 2 | 2 | 115 |
2011년 5월 11일 최초의 F-35A가 미 공군에 인도되었다.##
F-35를 최초로 정식도입한 해외국가는 이스라엘이 되었다. 2010년 10월 7일에 뉴욕 시에서 열린 행사에서 미 국방성이 제안한 제안 및 수락서에 이스라엘 국방부 합참 사무총장 우디 샤니가 서명함으로써 이루어졌다.
2013년 6월 24일, 최초의 미 해군용 양산형 F-35C가 플로리다주 에글린 공군기지 소속 제101공격전투비행대대에 배치되었다. 제101비행대대는 F-35의 차기 조종사와 정비사를 훈련시키는 것이 주 임무로 CF-6로 명명된 미 해군 최초의 F-35C는 기존 에글린 공군기지에 배치되어있던 F-35A 12대와 F-35B 13대가 혼합구성된 편대에 배치되며 2013년중으로 4대의 F-35C가 추가 배치될 예정이라고 한다. 2013년 6월 24일 기준으로 미군에 납품된 F-35의 숫자는 총 69기로 그중 26대가 에글린 공군기지에 배치되어 있다.
2013년 10월 3일 미일 외교-국방장관 회담(통칭 2+2 회담)에서 미 해병대의 F-35B를 2017년부터 일본에 배치할 것임을 발표했다. 이는 미국 외 지역에서 F-35가 실전 배치되는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11월 중으로는 태평양 지역에서 미 공군의 F-35A를 최초로 배치할 기지 후보지역이 발표될 예정. 알래스카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일본의 카데나 및 미사와 기지, 그리고 주한 미 공군이 배치 중인 경기도 오산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2014년 3월에는 미국 애리조나 주 루크 공군기지에 F-35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이곳에서 향후 미국 및 해외 F-35 조종사들의 훈련이 진행될 예정임을 감안할 때, F-35의 실전 배치에 대한 진척도를 가늠하는 이정표라고 볼 수 있다.
2014년 4월에는 7월에 있을 판보로 에어쇼에 참가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여기에 참가하는 F-35들은 F-35 등장 이후 사상 최초로 미 본토 밖으로 나가는 기체가 될 뻔 했지만, 이후 불거진 엔진 트러블로 인해 결국 무산되었다. 상세는 F-35/개발과정항목 참고.
한편 비슷한 시기에 오스트레일리아는 58대에 이르는 F-35A의 추가도입을 최종 승인했다. 이미 14대의 도입을 승인한 뒤 추가로 승인한 것으로, 총 72대에 달하는 F-35들은 기존의 F/A-18A/B전력을 대체하게 된다.
2014년 5월에는 터키가 F-35A의 도입을 공식 결정하였다. 2018년으로 예정된 최초 도입 대수는 2대이지만, 이후 매년 10대꼴로 총 10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하지만, 같은 시기에 경제난에 시달리는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우 구매 연기 또는 축소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향을 받는 수량이 합계 약 60대 수준인지라 사업 진행 전반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은 없으나, 2010년대 중반에 접어든 시점에서도 사업의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2014년 6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자국 국방부에 F-35B의 도입을 검토하라고 지시를 내렸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2015~16년 즈음에 실전 배치될 자국의 신형 상륙함에 운용할 목적으로 보인다.
2015년 1월 8일, 미 국방부가 유럽에 최초로 F-35를 전개시킬 기지로 영국 '레이큰 히스' 공군기지[6]를 선정하였다. 2020년까지 48기를 배치할 예정이며, 또한 이 기지에 이탈리아, 터키등을 위한 정비 거점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2015년 10월 20일 캐나다의 신임 총리로 선출된 쥐스탱 트뤼도는 F-35 도입을 백지화하고 보다 저렴한 전투기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였다.기사. 트뤼도 이전 총리인 스티븐 하퍼는 F-35 도입과 관련한 문서를 공개하지 않았다가 의회모독으로 탄핵당했다. 정권이 교체된 뒤, 비공개 단독입찰을 통해 60여대를 도입하기로 한 F-35를 취소하고 타 기종들을 후보군으로 끌어들인 공개입찰로 전환했지만, F-35의 구매 가능성도 여전히 열어두고 있다. 다만, 이쪽의 경우 공군 조직이 사실상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산하 조직으로 기능하고 있는데다, 캐나다는 이미 JSF 사업 레벨3 파트너이다. 그에 대한 지출을 거부하게 될 경우, 그 동안 캐나다가 투입한 수억달러의 비용은 고스란히 매몰비용이 되고, 해당 사업에 참여하는 캐나다 방산업체들의 손해로 이어지므로 F-35이외의 기종을 생각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정권이 교체된 뒤인 2016년 6월에도 JSF사무국에 3,290만 달러를 지출했다.[7] 만약, 캐나다가 그 동안의 지출을 매몰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을 감수하고 다른 기종을 선택한다면, F-35의 대당 가격이 1백만 달러 상승할 전망이라고 한다.
1.1 한국의 3차 FX 사업 참가
- F-35/3차 FX 사업 항목 참조.
1.2 일본 항공자위대의 도입
1.2.1 상세
일본 언론들은 11년 12월 13일 노다 일본 총리가 개최한 국가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통상 이착륙형인 F-35A를 일본의 4차 F-X 경쟁에서 최종 선정한다고 발표했으며 이 결정은 12월 20일 공식적으로 재확인됐다. 총 42대를 도입하는데 가격은 기당 89억엔(1310억원)으로 책정됐고, 초기 도입분 4대분을 미국에서 직수입한 뒤 나머지 38대분은 FACO(최종조립 및 검수창)에서 조립생산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의 결정으로 미국과 노르웨이는 환호성을 내질렀으며 JSF 프로젝트가 예정궤도를 되찾고 순항하길 기대하고 있다. 요미우리 신문 기사
그러나 이후에도 개발과정이 순탄치 않아서 기체 가격은 천청부지로 치솟아 대당 가격이 150억엔(약2167억원)#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140억엔에 계약했다.#
그리고 F-35의 성능이 예상보다 좋지 않아 전력화에 차질을 겪고 있다.# 물론 아직 기체는 미완성품이고 데이터 자체도 완전하지 못하다는 것을 그들 스스로도 감수해야 할 일이었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항공자위대의 F-35 42대 도입은 노후화된 F-4의 대체 목적이며, 2020년 이후에는 개량되지 않은 F-15J Pre-MSIP 100여대를 직접 대체하기 위해 100대 가량을 추가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8] 일본 방위성의 새 방위계획대강이 발표된 직후인 12월 18일 일본 NHK 방송에서도 비슷한 내용의 보도를 했다.
7월 14일 일본의 후지TV(FNN)는 자위대가 F-35B를 도입하여 현재 건조중인 배수량 19,000톤급 22DDH 이즈모급에 탑재, 운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틀 후 일본 방위성은 일단 해당 보도를 공식 부인했다.[9]
8월, 일본정부는 내년에 F-35A 6대와 무인기 도입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9월 23일, 일본 자위대가 최초로 인도받을 F-35A의 공개식이 열렸다.#
1.2.2 생산 참여 및 정비 거점 수주
라이센스 생산을 좋아하는 일본의 바람대로 록히드 마틴이 40%나 분담율을 내주었다. F-35A의 생산을 담당할 일본 기업들은 미쓰비시 중공업, 이시카와지마 하리마(IHI) 중공업, 미쓰비시 전기 3개社가 선정됐고 각 파트는 아래와 같다.
- 미쓰비시 중공업 : F-35 주익, 랜딩기어, 후방동체, 기체 최종조립
- IHI 중공업 : F135 엔진 부품, 최종조립
- 미쓰비시 전기 : 레이더, EO-DAS 부품#
2013년 7월 19일, 일본 정부가 생산 참여를 승인했다.
일본에서 생산된 부품들 중 잉여 생산품은 F-35 도입국들이 참여하는 ALGS(국제물류지원시스템)에 의거해 해외로 수출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F-35를 도입할 경우 일본이 엔진, 레이더 등 중요한 부품을 취급하고 있는 이상 이것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길은 거의 없다.
또한 2014년 12월, 일본이 공식적으로 아시아 북태평양 지역 F-35 정비 및 업그레이드(MRO&U) 거점으로 선택됨에 따라 주일미군의 F-35들 역시 미쓰비시 중공업이 짓는 기체 최종 조립 및 검수(FACO) 공장에서 정비 및 수리를 받을 예정이다.## 따라서 일본은 F-35가 손상되거나 내부 계통이 고장나 분해 정비가 필요할 경우, 혹은 업그레이드 작업 시 기체를 미국으로 보내지 않고 자국 내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IHI사는 프랫&휘트니와 F135 엔진을 공동으로 생산하여 2017년 이후에 구입하는 38기분의 팬과 터빈을 포함한 17개 품목의 엔진부품을 제조해 납품한다고 하며# 엔진 분해 정비 및 수리 작업을 맡게 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회사마다 ATD-X를 분담 개발하는 부분과 F-35를 분담 생산하는 부분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이는 일본이 F-35를 통해 추후 자국산 차기 전투기인 F-3에 적용할 5세대 전투기용 기술을 쌓겠다는 의도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 ↑ 2015년 10월 정권교체로 전면재검토
- ↑ 20대는 나중에 결정하겠다고 했지만 F-15의 역사를 보나 규모의 경제로 보나 F-35 60대를 통째로 살돈이 없으니 나중에 20대 더 들여오겠다고 결정한 걸로 보는게 합리적.
- ↑ 2020년 이후 100여대 자체 제작하여 추가 실전 배치 예정
- ↑ 2015년 2월, 14대 추가 도입이 성사되었으며, 19대 추가 도입 가능성 역시 옵션으로 검토중이라고 한다.#
- ↑ 이스라엘제 전자전 장비를 탑재한 이스라엘 독자형
- ↑ 유럽에서 유일하게 F-15가 정규 배치되어 있는 기지로도 유명하다.
- ↑ 캐나다의 전 국방부 획득 담당자 曰 "만약 다른 것을 구입하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이것은 낭비다."
- ↑ 이와는 별도로 공자대는 F-15J의 절반 가량인 88대를 AN/APG-63v1 레이더, 신형 공대공미사일 탑재 등의 개량을 진행 중이어서 2030년대까지는 상당수의 F-15J가 현역으로 남을 전망이다.
- ↑ 22DDH 이즈모급이 이론상으로 고정익 함재기의 탑재, 운용이 가능하고, 일본의 군사대국화 기조를 고려한다면, 일본이 F-35B의 도입에 관심을 갖고 있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하지만 일본의 막대한 재정적자, F-35B의 운용을 둘러싼 해상자위대와 항공자위대의 견해차이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아무리 빨라도 2020년대 이전에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