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동음이의어)

1 바둑 용어

1.1 개요

바둑계의 용어. 원래 전통적으로 국수(國手)는 한 나라를 대표할 정도로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을 일컫는 존칭 중 하나였으며, 이 이름을 달고 열리는 기전 타이틀이 국수전(國手戰)이다. 1956년 한국에서 열린 제 1회 대회가 가장 오래된 기전이며, 그때부터 계속 동아일보에서 주최한다.

대전 방식이 다른 대회하고는 약간 다른데, 전년도 타이틀 보유자는 바로 결승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기사 중 전년도 4강 진출자를 포함, 총 16명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도전자를 결정한 다음(마지막 판은 3번기), 마지막으로 전년도 타이틀 보유자와 도전자가 총 다섯 번의 대국을 벌여 이긴 기사가 그 해의 국수가 된다.

1.2 이로부터 유래된 호칭

국수전의 우승자를 높이기 위해서 '국수'라는 호칭을 붙혀서 사용하며, 원칙적으로 국수 타이틀을 유지하는 동안에만 허용되기에 매년 단 1명만을 지칭하는 호칭이다. 다만, 국수 타이틀을 보유중이 아님에도 상시 국수 호칭으로 불리는 사람이 3명정도 존재한다. 어찌보면 영세칭호에 해당하는 사람들.

  • 조남철 九단(당시 五단)이 1956년 1회 국수전에서 우승하며 최초의 국수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10년간 장기집권하며, '조국수'는 조남철을 지칭하는 별칭처럼 되었다. 나중에 '조국수' 별칭은 조훈현 九단에게 넘어 갔다. 조남철은 한국 바둑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 한국기원과 동아일보로부터 대국수(大國手) 칭호를 추대받았다.
  • 조훈현 九단은 1976년부터 1985년까지 10년 연속 국수를 포함, 국수전에서 총 16회를 우승하면서(흠좀무) 이 타이틀을 장기 보유했기 때문에 조남철 九단의 '조국수' 칭호를 자연스럽게 이어 받았다.
  • 이창호 九단 역시 국수 타이틀을 10회나 따냄에 따라 자연스럽게 국수 칭호가 딸려 다니고 있다.

2 나라를 상징하는 동물

국가를 상징하는 동물을 말한다. 공식적으로 지정되는 경우도 있으나 국민들이 친근하게 여기는 동물이 비공식적으로 국가의 상징물이 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은 공식적인 국수나 국조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아무르 호랑이, 까치 등이 국민적인 공감대를 얻고 있으며 대통령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동물은 주로 봉황이 쓰인다. 다만, 공식적으로는 공석이다.[1]

국제적으로도 잘 알려진 국수의 경우엔 언론의 만평 등에서 해당 국가를 뜻하는 캐릭터로 대신 표현하기도 한다. 미국의 흰머리수리나 프랑스의 닭이 그 사례이다.

알바니아검독수리
오스트레일리아캥거루, 코알라
방글라데시벵골호랑이
캄보디아쿠프레이
캐나다비버
칠레안데스콘도르, 안데스사슴
바레인흰뺨불불
사이프러스사이프러스무플런
핀란드불곰, 백조, 유럽농어
프랑스
독일검독수리
온두라스흰꼬리사슴, 금강앵무
인도벵골호랑이, 공작, 킹코브라, 아시아코끼리, 갠지스돌고래
인도네시아코모도왕도마뱀, 아로와나, 자바뿔매
자메이카벌새(Doctor-Bird)
리투아니아황새
마케도니아사자, 스라소니, 오호리드송어
말레이시아벵골 호랑이, 코뿔소코뿔새
몽골세이커매
네팔
네덜란드사자, 젖소, 참새
뉴질랜드키위
파키스탄산양(Markhor), 바위자고, 인더스돌고래
파나마하피독수리
파푸아뉴기니듀공, 극락조
필리핀물소, 필리핀독수리,
카타르오릭스
영국사자
스코틀랜드유니콘, 붉은사자
소말리아표범
남아프리카공화국스프링벅, 푸른황새
스리랑카사자, 멧닭, Troides darsius(나비의 일종)
시리아, 사자
탄자니아기린
미국흰머리수리
터키보즈쿠르트[2]
레바논줄무늬하이에나
이집트나일악어
모로코바바리사자
웨일스레드 드래곤
콩고고릴라
코트디부아르아프리카코끼리

3 의 순우리말

해당 항목에 대해서는 국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과거에는 삼족오(고구려)나 (신라)이 국수 비슷한 대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삼족오는 해당 문서 참조. 대한민국 4대 국새인뉴를 봉황 대신 삼족오로 만들자는 여론도 있었다. 신라의 닭의 경우 삼국유사 4권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신라를 '구구탁예설라(矩矩托禮說羅)'라고 불렀다는데, 구구탁은 닭이고, 예설라는 귀하다는 말이라고 한다. 즉 닭을 귀히 여기는 나라. 이어서 신라는 닭신을 공경하여 높이기 때문에 관에 깃을 올려서 장식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절풍에 새깃을 꽂아 장식하는 조우관(鳥羽冠)이나 조미관(鳥尾冠)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애시당초 신라는 알영부인 설화에도 계룡이 등장하며, 김알지 탄강 신화에 흰 닭이 등장하고, 여기에서 '계림(鷄林)'이라는 국호가 파생되기도 한 것으로 보아 닭을 나라의 상징 국수급으로 신성시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2. 튀르크 신화속의 시조늑대이다. 아타튀르크집권기에 상징동물로 밀었지만 이후에 이슬람 전통에 어긋난다는 반발속에 흐지부지되었고 현재 터키의 국수는 미지정상태다. 하지만 터키 민족주의자들에게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상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