袈裟
목차
1 개요
승려가 장삼 위,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 원래는 인도의 승려나 비구니들이 자신의 몸을 감는 옷에서 유래했다. 그냥 펼쳐 놓으면 그냥 평범한 직사각형이지만 입는 방법이 대단히 복잡하고 입은걸 보면 묘한 간지(...)가 느껴진다.
산스크리트어의 'Kasaya'[1]의 음역어이다. 분소의(糞掃衣)라고도 하는데 수행자들이 버려진 옷감 조각을 기워 흙과 분뇨를 이용해 염색하여 사용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착용방법에 따라 편단우견(왼쪽으로 둘러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인도 전통예법에 따른 방식)과 통견(양 어깨를 둘러서 덮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승려를 나타내는 일종의 제복 역할을 하며, 전래지인 인도와 남방불교에선 일상복으로 사용되나 북방불교에선 추운 기후로 장삼(長衫)을 평상복으로 하여 가사는 장삼의 위에 걸치는 예복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불교와 함께 전래되며 색상이나 문양에 따라 각 종단의 유니폼 역할을 하기도 한다.
2 국가별 가사
2.1 인도의 원조 가사
추가바람.
2.2 한국의 가사
파일:8tTkkhq.jpg
고 법정 스님의 사진. 조계종의 가사 모습을 보여준다.
2.2.1 형태
파일:5fjVoA2.jpg
맺음단추로 되어있는 형태.
파일:Bko4UGl.jpg
고름을 매게 되어있는 형태. 참고로 이 사진은 바깥쪽 면이 앞으로 왔으며, 아래쪽 설명의 기준으로 좌우가 바뀌어 있다.
파일:SYKe3RM.jpg
한국의 가사는 독특하게 단추나 고름으로 고정시켜야 하는 형태를 갖고 있다. 그 형태는 안쪽 면을 앞쪽으로 오도록 했을 때거대한 붉은색 직사각형 천에 한 모서리의 왼쪽의 끝부분보다 어느 정도 여유를 두고 떨어진 곳에 끈이나 모서리에 맺음단추나 고름이 달려있고, 이 천의 모서리 부분에서 어느 정도[2] 아랫부분에(안쪽 면) 중앙에서 살짝 왼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단추고리나 나머지 고름이 달려있다.
또한 가사의 모습으로 종파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갈색, 혹은 갈색에 원이삼점 문양을 넣은 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붉은색 혹은 붉은색에 범어 진언을 넣은 가사는 대한불교천태종, 붉은색에 전통 가사의 형태를 계승하여 맺음단추를 쓰지 않고 귀퉁이에 천(天)자를 비롯해 한국의 전통 가사유물에서 보이는 다양한 자수와 무늬가 화려하게 새겨진 가사를 사용하는 곳은 한국불교태고종이다. 다만 '어느 정도'라고 한정해서 써 놓았듯이, 군소 종단들의 가사는 고유한 가사보단 전술한 대형종단 가사와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아 가사만으로 100% 알 수는 없다. 대한불교화엄종의 경우 후술되어 있듯 태고종과 비슷하고, 대한불교법화종 가사의 경우 조계종과 큰 차이가 없거나 금삐까다(...).
2.2.2 입는 방법
방향은 입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 왼쪽 부분을 어깨에 걸고 오른쪽 부분을 겨드랑이 아래 허리에 두른다.[3]
- 왼쪽 부분의 고름(혹은 단추)과 오른쪽 부분의 고름(혹은 고리)를 매듭을 짓는다. 이때 오른쪽 부분의 남는 천은 그냥 접어 내려뜨린다.
어차피 양쪽 높이가 안맞기 때문에 겨드랑이 부분의 남는 천을 접어야 쌤쌤이 된다.
파일:R8zFPY9.jpg
파일:MKiQA0U.jpg
호국승군무예의 고수인 故 청산스님의 가사. 입으면 대략 이런 모습이 된다. 다만 이건 왼쪽 소매를 장삼에 꿰메어 붙여놓았다.
가사는 대한불교화엄종의 가사다.참조링크
2.2.3 변형
일반적인 가사를 대가사(大袈裟)라고 부르고 위와 같이 간략화된 형태를 만들어 반가사(半袈裟)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몸이 불편하신 스님이나 군종 승려들이 자주 사용한다.
2015년 현 진각종 통리원장 회정정사사진출처
진각종 승직자들의 모습.사진출처
진각종의 경우 후술할 와게사와 유사한 가사를 착용한다.
2.3 일본의 가사
일본의 종단별 가사 한국보다 무늬가 화려하고 종단 뿐만 아니라 사찰별로 다른 색상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일본에선 반가사에서 더 간략화한 앞치마 형태의 카라(絡子)와 띠 형태의 와게사(輪袈裟)도 존재한다(...)
카라(絡子)를 착용한 스님. 이 복색은 일제강점기에 오조가사, 괘락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에서도 퍼졌으나 해방 이후 왜색청산과 율장 문제로 오늘날 한국에는 승려들이 이걸 쓰는 모습은 보기 힘들고, 착용해도 어려서 일반 가사를 입기 힘든 사미승이나 착용하는 정도다. 원불교의 법락의 원형이기도 하다.
와게사(輪袈裟)를 착용한 스님. 우리나라에선 일반적인 불교 승려들이 착용하는 모습은 전혀 볼 수 없고, 진각종 승직자나 군법당 법회시 군종법사 대신 법사 자격증을 가진 재가신자가 와서 법회를 할 경우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고야산진언종 금강봉사 스님들의 가사.사진출처
다만 일본에도 종파에 따라 이렇게 비교적 수수한 곳도 있다. 참고로 이곳 승복은 국내에서도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일제강점기 때 목포 유달산 봉우리에 부동명왕과 같이 금강봉사의 설립자 홍법대사상을 새겨놓았기 때문. 이를 부숴버려야 할지 유지해야 할지를 놓고 갑론을박이 거세다.*
한국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과 만난 일본 정토진종 부원장 하야시 스님.(사진출처:불교신문) 일본 와게사와 한국 승복의 차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좋은 사진이다.
2.4 중국의 가사
중국 북방 소재 불교 승려 가사(사진 출처: 소림사[중국 하남성 소재])
- 남방 지역 소재 불교 사찰에서 입는 승려 복장
- 사진 출처: SBS "주먹쥐고 소림사" TV방영분
2.5 스리랑카의 가사
2.6 태국의 가사
2.7 미얀마의 가사
통견 가사를 착용한 동자승의 탁발 행렬
비구니의 경우 분홍색 옷 위에 가사를 접어서 감아 고정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