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삭발이 안되는 한국군에서 유일하게 완전삭발이 가능한 보직 나무Army타불
1 개요
군부대 내에 예속되어 있는 불교 승려. 다른 종교는 교파가 없는 반면에 군대 내에 불교는 전부 조계종 소속이다, 따라서 군승은 100% 대한불교 조계종 출신이다.[2]
군승의 경우 2010년 이전까지는 타 조계종 스님들과 다르게 결혼을 할 수 있는(!) 예외 조항이 종헌에 있었다. 기술적으로 설명하자면, 복무가 종료될 때까지 파계를 인정하는 것을 "유예시켜준 것"인데, 1960년대 후반, 인프라 부족으로 처음 군종사관을 파송할 때도 전원 일반인이었으나 특별단기승려과정(!)까지 만들어 며칠 만에 승려로 입적해 보냈던 역사가 있었고, 이를 바로잡지 못한 채 2009년까지 오다가, 승려 출신 예비역 군종법사[3]들이 종헌 개정운동을 펼쳤고 2009년 4월 21일에 열린 대한불교조계종 종회에서 이 조항이 개정되어, 2010년부터 임관하는 모든 군종 법사들은 결혼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때 몇몇 동국대학교의 몇몇 군종사관후보생들이 눈물을 흘렸다 카더라. 다만, 결혼한 군종장교의 신분은 그대로 유지.
08년 기준 135명이 복무 중이며, 교단 차원의 지원금은 약 14억 원. 군 법당의 수는 409개이다. 신자 수는 2위고 매년 증가 중이라 카더라. 현대의 승병
2 상세
대부분 "군종 법사"라고 부르지만, 공식명칭은 '군종 승려'라고 한다. 줄여서 "군승". 매년 12월에는 육해공국직 부대에 근무하는 군승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군승의 날'이라는 날도 있다. 왜 이런 호칭문제가 발생했냐면, 바로 결혼문제 때문이다. 2010년 이전까지 결혼문제 때문에 승려인데 승려 아닌 승려 같은 신분이었던 군승을 '스님'이라 부를 수 없어 대신 찾아썼던 표현이 '법사'였고 그것이 현재도 그 잔재가 남아있기 때문. 하지만 지금은 군인사법 시행령과 군종특별교구의 세칙도 모두 바뀌었으므로 "법사님"이라 개인적으로 부르더라도, 공식적으로는 "스님"이 맞는 표현이고, 종단이나 교구측에서는 이 표현을 권장한다. 다만 불교의 문화에서 이름(본명)에 스님을 붙히는 것은 굉장한 결례인데, 법명은 병적시스템에 등록이 되지 않으므로 본인이 '누구누구 스님'이라고 말하기 전에는 알 수 없다는 현실적 이유로 "법사님"이 무난한 표현.
현재 군승 자원이 굉장히 부족한 상태라서, 2014년부터는 비구니들을 차출해서 군종장교로 파견해서 군종장교 쪽에서 최초로 여군 장교를 탄생시킬 예정.[4] 명법 스님이 첫 테이프를 끊었다. #
.. 라고 누군가가 썼지만, 실제로 군승 자원은 이제 어느 정도 인재풀을 가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해졌다. 매년 파송자 대비 지원자는 사실 항상 넘치고있다. 2010년 결혼허가조항이 폐지된 이후, 게다가 연령대, 경험, 교육도 각기 다른 궤적을 밟은, 심지어 예비역을 거쳐 군대를 가지 않아도 되는 승려들이 군종사관 복무를 희망하고 있을 정도라. 예비군승자원들은 대한불교조계종 내에서 가장 젊은 집단(20대가 주축, 심지어 10대 후반도 있다)이자 엘리트들이라 불교계 내에서도 호의어린 시선이 많다. 비구니(여성 승려) 파송도 인원부족이 아니라, 오히려 인재풀을 다양하게 구성해 기존의 교육인원들에게 긴장감을 주고, 대외적으로는 최초 여성군종장교 파송이라는 기록을 내기 위한 신.. 아니 부처님의 한 수. 예비역도 파송되고, 비구니 스님들도 파송되고, 오히려 기존의 미필 승려들의 파송 확률은 줄어들어 질적 향상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지나가던 스님의 위엄
3 선발 방법 및 자격
조계종의 예비승, 승려만 군종장교로써 임관이 가능하다. 임관루트는 크게 2가지. 1. 군종사관후보생 2.군종요원 제도인데. 이론상으로는 1. 군종사관후보생 배출 가능 기관은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 중앙승가대학교 이 3곳이고, 군종사관후보생으로 부족한 인원을 군종요원으로 보충해 파송한다는 개념이기에 개신교+가톨릭의 절충형이라고 볼 수 있다. 출신자 비율은 아무래도 중앙승가대학교 졸업자들이 많다. 일단 정식 승려가 되려면 승가고시를 합격해야 하고 학사학위와 정식 승려로서의 수계를 최단기간에 받을 수 있는 중앙승가대학교가 아무래도 유리하다. 하지만 실제 군 현장에서 부딪치는 인원들은 일반인들이고, 불교학과 현대학문을 고루 습득할 수 있는 동국대학교 졸업자들이 아무래도 유리하다고 하더라. 비율로는 동국대학교(서울, 경주) 30% 중앙승가대학교 50% 기타[5] 20% 정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35세 이하의 승려 중 학사학위를 가진 사람이 "지원"한다면 아주 높은 확률로 선발되었다. 굳이 동국대학교나 중앙승가대학교 출신이 아니라도 학사학위가 있는 스님이라면 지원이 가능했고, 4년 간의 수행과정 거쳐 승가고시에 합격해야 받는 '비구계'를 받지 않더라도, 출가한 지 1년~4년차인 심지어 승가교육기관을 거치지 않은 사람도 군종장교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대한불교조계종 군종특별교구 발족 이후, 2013년부터 교육이 체계화되기 시작했고, 이제는 2년간 학기중, 방학중 교육, 입대전 교육을 수료하지 않으면 군종사관 지원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론상은 지금도 출가 1년차 4년차가 군송으로 파송은 될 수 있으나. 학부 1, 2학년차에 선발되어 일반인임에도 스님들과 함께 방학마다 교육을 받은 군종사관후보생 출신자가 아닌 이상[6] 이론상은 파송이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론 불가능하다. 이미 비구계를 수지하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대학원 재학 중이거나 심지어 유학 중인 스님들도 군종장교로 복무하기위해 파송시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오래전 부터 교육을 받지 않고, 출가한지 1~2년된 사람을 파송할 만큼 인원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을런지?
단순한 직업적 안정성을 위해 20대 초반 혹은 중반이 되는 시기를 승려로써 보내는 것은 그런 삶에 뜻이 있는 사람이라면 인생을 바쳐도 좋을만한 정말이지 소중한 체험이 될지 모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면 시간낭비다.
4 이런 저런 이야기
모 군종법사 말로는 전술훈련을 가면 장례 의식, 전투 직전에 사기 고취를 위한 설법,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 불경 구절이 적힌 쪽지를 배포하는 등 정말로 전시상황에 군종 장교가 하는 종교적 행위를 한다고 한다. 장례 의식의 경우는 구덩이를 파고 멀쩡한 애들을 눕힌 다음에 염불을 외웠다고 한다. 통제관이 바로 옆에 있는데 누운 장병들이 자꾸 웃어서 욕을 좀 했다고. 다만 3년차 정도까지는 완전 군장 매고 행군하는 등 전투 훈련 빼곤 어지간한 훈련은 다 한다고 한다. 한미연합 군종 야외기동훈련 모습. 실제 전시 상황에서 군종장교의 역할에 대해 잘 볼 수 있다.
불교 조계종 군종교구의 표지모델은 일단 이대호 선수다. 안그래도 남자들만 바글바글한 군대에서 중증 야덕이 아닌 이상 뭔가 상승효과를 노릴 수 있는 모델선정인 걸까. 뱀발로 연예인 불자회 회장은 가수 장미화라고 한다. 그 외에는 김흥국이 있다.
전원 조계종 출신인 군종법사의 경우 예외적으로 결혼이 가능했으나, 2008년 교단 종헌 개정에 따라 결혼이 금지되었다. 대부분의 군종법사가 단독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가정을 꾸리는 경우가 많았고, 생활상의 이유로 연금이 보장되는 소령 계급 때 많이들 결혼하는데, 2008년도 이후에 결혼을 준비하고 있던 수많은 군종법사 대위들께 심심한 애도를 표한다.
5 대우
군종법사는 대우가 중위 기본급으로 출발하여 교단에서 달마다, 혹은 분기마다 활동비 명목으로 추가적인 지원을 해 주기도 한다. 하지만 어차피 가난한 군인들이라 얼마 되지도 않는다. 시설 유지비도 안 나올 기세.
6 실존 인물
- 혜능 - 속명 조효성. 육군 소속 비구니 군승
- 명법 - 최초 비구니 군승. 임관 전에는 하루 천배로 군사교육을 준비했고, 임관하자마자 최전방에서 복무하기를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7 기타
- ↑ 조계종 산하로 불교 군종장교는 조계종 독점이다.
- ↑ 응시 가능 학교를 보면 알 수 있듯 전원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승려들이다.
- ↑ 쉽게 말해, 법사가 되기 위해 출가한 게 아니라, 승려생활 중 군종사관 생활을 하고 다시 승려생활로 돌아온 스님들.
- ↑ 미군은 개신교 신자가 많은 특성상 여성 목사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 2014년 현재 미 해군 군종센터장이, 장로교 여성 목사인 군종소장 마거렛 키븐 제독이다.
- ↑ 학사학위 소지자 중 기타 전통교육기관을 수료한 스님
- ↑ 게다가 군종사관후보생이라면 졸업 후 출가생활도 2년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