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1 개요

部首

한자를 정리해 배열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 각 글자마다 구성 요소를 추출해 그 중에서 뜻에 해당하는 부분이 비슷한 것을 모아 공통되는 뜻 부분이 있는 모습을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부수는 시대나 자전에 따라 달라졌는데 현재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강희자전 방식이다. 한국의 자전과 대만의 자국어 사전에서는 모두 이 방식을 사용한다. 단, 중국 대륙이나 일본에서는 이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자전에서는 총 획수가 적은 한자의 경우나 뜻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는 모습이 유사한 부수에 편의상 일괄하는 일이 있다. (ex. : 부 0획[1])

부수는 위치에 따라, 변[2], 방[3],머리[4], 발[5][6], 받침[7], 몸[8], 제부수[9]로 나뉜다. 그리고 대체 부수가 어떤 형태로 위치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것도 있다. 부수의 배열은 주로 획수순이고, 획수가 같은 부수는 배열 순서가 따로 정해져 있다. 현재 유니코드는 한자를 포함하는 각 영역 안에서 한자 배열을 부수→획수 순서대로 하고 있다. 강희자전 방식의 부수는 모두 214개이며, 순서는 정해져 있다.

1획에서 5획까지는 그렇지만 6획부터 17획까지는 정자(正字)와 헷갈릴만한 글자 때문에 특히 한자검정시험에서 부수를 써 보라는 문제에서 가장 난잡함에 빠지기도 한다. 특히 푸를 청(靑), 용 룡(龍), 사슴 록(鹿), 삼 마(麻), 쥐 서(鼠), 이 치(齒), 피리 약(龠) 등 글자들은 대부분이 부수가 따로 달린 글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 모두 부수자 중 하나이다.[10]

2 목록

  • 부수의 훈음과 별개의 이름은 슬래시(/)으로 구분한다.
  • 독음의 경우 볼드 처리했다
  • 원 부수의 변형으로 별개의 이름이 있거나, 변형은 아니라도 한 부수로 편입된 것은 하위 항목으로 표시한다.

2.1 1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제부수丁, 七, 丘, 不, 丈, 上, 下, 世
뚫을 제부수中, 串가운데 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점#s-1 제부수丹, 丸, 主왼쪽 위에서 오른쪽 밑을 향하게 찍는다.
丿삐침 제부수乃, 乖, 乘, 乎, 之이 부수인 한자가 무엇인지 감잡기가
조금 어렵다, 乖나 乎의 경우 다른 부수로 오해할
가능성도 있기도 한데, 이 부수인게 적긴한게 위안이 되긴하다.
()발,제부수(乙)/방(乚)乾, 九, 亂, 乳, 也이게 받침인 음역자가 매우 많다. 모양 자체도 ㄹ을 닮았고, '을'의 종성인 ㄹ 발음을 딴 것이기 때문.
갈고리 제부수了, 事, 予

2.2 2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제부수于, 互, 五, 云,
돼지해머리머리京, 亥, 亡, 交, 亨(해)의 머리 부분
(亻)사람 제부수(변)仁, 今, 來, 價, 像
어진사람 光, 兀, 兒, 克, 兄
제부수內, 全, 兩
여덟 제부수其, 共, 公, 具
再, 冒, 円, 冊
민갓머리덮을 머리冠, 冥
이수변얼음#s-1 冷, 凍, 冬, 凜
책상 제부수凱, 凡
튼입구몸입벌릴 凶, 凸, 凹, 出, 函
(刂)칼#s-1 (선칼도방)제부수/방券, 分, 切, 刃, 利, 判, 別
제부수勇, 勢, 動, 勸, 勵
[11] 包, 匐, 勿
비수#s-1 제부수北, 化, 匙
튼입구몸
(터진입구몸)
상자 匣, 匡, 匪
감출혜몸
(터진에운담)
감출 區, 匿, 医
제부수半, 南, 卍, 卑, 協
점#s-2 제부수占, 卨
(㔾)병부 방/제부수卽, 卵, 卿, 危, 卷
민엄호기슭 厄, 厭, 原
마늘모사사로울 (=私)제부수去, 參
또#s-1 제부수友, 及, 反, 叛, 取

2.3 3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입#s-1 변, 머리, 발口, 叩, 哭, 告, 品
큰입구몸에워쌀 回, 固, 國, 四, 圖
흙#s-1 변, 머리, 발土, 地, 均, 基, 坤
선비#s-1 제부수, 변, 방, 머리士, 壬, 壻, 壯, 壽
뒤져 올 머리, 발, 받침夂, 备, 変, 处
천천히걸을쇠발천천히 걸을 夊, 夏, 复
저녁#s-1 제부수, 변, 방, 발夕, 多, 外, 夜,
제부수, 머리, 발大, 失, 央, 奇, 契
여자 변, 발女, 娘, 委, 威,
(孑)아들#s-1 (아들자변)변, 머리, 발子, 孔, 孟, 季, 學
갓머리집#s-1 머리宀, 守, 宗, 家, 客
마디#s-1 방, 발寸, 封, 專, 對, 導
작을 머리, 발小, 少, 当, 尔
절름발이 제부수, 방, 받침尢, 尤, 就, 尨
주검시엄주검 제부수, 엄尸, 尺, 局, 尹, 屋
왼손 제부수, 머리, 발屮, 屰, 㞢, 屯, 㞷
변, 머리, 발山, 岬, 峰, ,
개미허리내#s-5 巛, 巜, 巢, 巡, 巠川의 변형
내#s-5 제부수川, 州
장인#s-2 제부수, 변, 발工, 巨, 巧, 左, 差
몸#s-1 제부수, 머리, 발己, 已, 巳, 巴, 巽, 巷
수건 변, 발巾, 帽, 常, 席, 帆
방패 제부수, 발干, 年, 幷, 平, 幸, 幹
작을 幺, 幾, 幽, 幼, 幻
广엄호집#s-1 广, 康, 庫, 廣, 廳
민책받침길게 걸을 받침廴, 建, 廻, 延
스물입발스물#s-1 廾, 开, 弄, 弊
주살 방, 엄弋, 弌, 弍, 弎, 式, 弑
제부수, 변弓, 强, 弱, 弔, 張
(彐)튼가로왈돼지(고슴도치) 머리 방, 머리彖, 彛, 录, 归
터럭 彡, 彬, 彰, 影, 彩
두인변조금 걸을 彳,往, 徐, 得, 德

2.4 4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忄, 㣺)마음#s-1 (심방변, 마음심밑)변, 발心, 志, 感, 恭, 情
방, 엄戈, 戊, 成, 戟, 戰
지게 변, 엄戶, 所, 扇, 房, 屬
(扌)손#s-1 (재방변)제부수, 변, 발手, 才, 打, 擧, 擊
지탱할 支, 攲
()등글월문攴, 敲, 故, 敎, 敬
글월 변, 머리, 발文, 斑, 斕, 斉, 斐
말#s-5 방, 머리, 발[12], 料, 㪳, 斝
도끼 방, 발斤, 斧, 新, 斷
모#s-3 변, 발方, 旅, 旁, 族, 旗
이미기방없을 [13]제부수, 방无, 旡, 旣같은 부수로 본다.
목멜
변, 머리日, 明, 景, 旬, 晝
가로 제부수, 머리, 발曰, 曲, 曷, 更, 書
제부수, 변, 방月, 有, 朋, 朔, 望
나무 제부수, 변, 머리, 발木, 東, 樹, 果, 權
하품#s-1 欠, 歌, 次, 缺
그칠 제부수, 변, 머리, 발止, 正, 此, 歲, 歷
(歺[14])죽을사살발라낸뼈 제부수, 변歹, , 殃, 殉
갖은등글월문殳, 殺, 段, 毆, 毅
제부수毋, 毌, 母
견줄 머리, 발比, 毕, 毘
방, 발, 받침毛, 氈, 毫, 毯
성씨#s-1 제부수, 머리氏, 民, 氐
기운 /빌 [15]氣, 氛, 氢, 氦…
(氵, 氺) (삼수변, 아래물수)제부수, 변, 머리, 발水, 永, 氷, 海洋, 沓, 泉, 求
(灬) (연화발)변, 발火, 然, 炎, 熱, 無, 烏
(爫)손톱 (손톱조 머리)머리, 받침爪, 爲, 爬
아비 머리父, 爸, 爷
점괘 제부수爻, 爽, 爾
(丬[16])장수#s-2장변조각 爿, 壯, 牀, 牆
조각#s-2 片, 版, 牌
어금니 제부수, 변, 발牙, 㸦, 㸧, 牚
(牜) (소우변)변, 발牛, 牟, 物, 牢
(犭) (개사슴록변[17])변, 방, 발犬, 狀, 狗, 獄, 獻

2.5 5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검을 玄, 玆, 率
(王)구슬 제부수, 변, 발[18]玉, 王, 璧, 理
오이#s-1 방, 몸瓜, 瓣, 瓢
기와 방, 발瓦, 甁, 瓮
변, 머리, 발甘, 甛, 甚, 甞
변, 발生, 産,
제부수, 발用, 甫, 甩, 甭
재부수, 변, 머리, 발田, 申, 男, 畓, 略
변, 방疋, 疑, 疎
질엄병들어기대누울 疾病, 痛症,
필발머리등질 머리發, 癸, 登
변 머리 발白, 的, 皇, 百
가죽#s-1 변, 방皮, 皺, 皰
그릇#s-1 {틀:+3 皿, 盛, 監, 盡, 盧
변, 발目, 相, 眼, 看, 督
변, 머리矛, 矜, 矞
화살 변, 발矢, 短, 矣, 矮
변, 발石, 硬, 碧, 磬
(示)보일 (보일시변)변, 발示, , 祈禱, 禁,示(礻)(신자체, 간화자)
발자국 禸, 禽, 离, 禹
변, 머리, 몸禾, 秋, 秀, 秉, 積
구멍 머리穴, 空, 窓, 突
변, 머리立, 端, 竟, 競

2.6 6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대나무 머리竹, 簡, 籐, 筆, 算
변, 머리, 발米, 糟糠, 糞, 粱, 糖
(糹)실#s-1 (실사변)변, 발糸, 系, 繁, 緊, 繼糸(纟)(간화자)
항아리 변, 발缶, 缺, 罄
(罒, 罓)그물 (그물망머리)머리网, 䍙, 羅, 罷
변, 발羊, 美, 羚, 羔, 義
변, 방, 머리, 발羽, 翼, 翁, 翅, 翰
(耂)늙을 머리老, 考, 耉
말이을 변, 머리, 발而, 耐, 耑, 耍
가래#s-3 耒, 耕, 耗
귀#s-1 변, 발耳, 聽, 聲, 聞, 職
머리, 방聿, 肅, 肆
(月)고기 (육달월)변, 발肉, 腐, 脚, 肩, 腿
신하 臣, 臨, 臥
스스로 머리自, 臭
이를 변, 발至, 致, 臺
절구#s-1 머리, 발臼, 舅, 舊, 興
변, 발舌, 舒, 舍
어그러질 舛,
舟, 船, 般, 艇
괘이름 방, 발艮, 良, 艱
色, 艶
(艹, 䒑)풀#s-1 (초두머리)제부수(머리)艸, 葡萄, 蔡, 蘇
호피 무늬 호虎, 虜, 虐, 號
벌레#s-1 변, 방, 발虫, 蟲, 蝕, 螳螂, 蜜蜂
변, 머리血, 衆, 衄
다닐 行, 街, 衛, 術
(衤) (옷의변)변, 발, 몸衣, 袋, 裏, , 複
(覀)덮을 (덮을아 머리)제부수, 머리西, 要, 覆

2.7 7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방, 발見, 視, 親, 覺(간화자)
뿔#s-1 변, 발角, 解, 觜, 觸
(訁)말씀 (말씀언 변)변, 발言, 許, 語, 譽言(讠)(간화자)
谷, 谿
변, 발豆, 豌, 豈
돼지 방, 발豕, 豚,
갖은돼지
갖은개사슴록변
발없는벌레
해태
豸, 貌, 豹
조개#s-1 변, 발貝, 財, 賣買(간화자)
붉을 제부수赤, 赦, 赫
달릴 받침走, 起, 越
(𧾷)발#s-1 (발족변)발, 변足, 路, 蹇, 跳
몸#s-1 身, 軀
수레 거/차변, 발車, 輕, 軍, 輛, 轍(간화자)
매울 辛, 辭, 辨
머리, 발辰, 辱, 農
(辶)(갖은)책받침[19]쉬엄쉬엄갈 제부수, 받침辵, 近, 造, 道, 選
(阝)고을 (우부방)제부수, 방邑, 郡, 部, 鄕, 鄭
변, 방, 발酉, 酒, 醉, 醫
분변할 제부수, 변釆, 采, 釋
마을 변, 발里, 野, 量, 重

2.8 8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釒) (쇠금변), , , 金(钅)(간화자)
제부수(간화자)
門, 問, 聞, 閻, 關(간화자)
(阝)언덕 (좌부변)제부수(변)阜, 防, 院, 隊, 隣
미칠 , 종 제부수, 방隶, 隷[20]
방, 머리隹, 雄, 集, 雙, 離
머리雨, 雪, , ,
푸를 제부수, 변, 방靑, 靜, 靖(신자체, 간화자)
아닐 머리, 발非, 靠, 靟

2.9 9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변, 발面, 靤, 靨
가죽#s-1 변, 발革, 靷, 鞠, 鞏
가죽#s-1 변, 방韋, 韓, 韜(간화자)
부추#s-1 제부수, 발韭, 韮
소리#s-1 변, 발音, 韻, 響
머리 頁, 頃, 領, 順, 顯(간화자)
바람#s-1 변, 방風, 颱, 飄(간화자)
飛, 飜(간화자)
(𩙿) (밥 식 변)변, 발食, 飢, 飮, 養, 餐食(飠)(신자체), 食(饣)(간화자)
머리 제부수, 변, 방首, 馗, 馘
향기 제부수, 변, 발香, 馝, 馨

2.10 10획

글자부수 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변, 발馬, 駐, 騎, 駕, 驛(간화자)
骨, 體, 髓
높을 제부수
터럭머리머리털늘어질 제부수髮, 鬚
싸울 제부수鬥, 鬪(간화자)
울창주[21] 제부수鬯, 鬱
다리굽은솥 제부수
귀신 제부수鬼, 魂, 魅, 魔, 魏

2.11 11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물고기 변, 발魚, 魯, 鮮, 鯉(간화자)
변, 발鳥, 鵬, 鶴, 鷹, 鸞(간화자)
짠땅 제부수鹵, 鹽, 鹹(간화자)
鹿사슴 제부수, 발, 변, 엄鹿, 麗, 麒麟, 麏
보리 麥, 麵(신자체, 간화자)
제부수, 머리麻, 麾

2.12 12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누를 제부수(신자체)
기장 제부수黍, 黎
검을 제부수, 변, 발黑, 默, 點, 黨(신자체)
바느질 제부수, 변黹, 黼, 黻

2.13 13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맹꽁이 , 힘쓸 제부수黽, 鼈(간화자)
제부수
제부수鼓, 鼔[22]
제부수, 변, 발鼠, 鼱, 鼴

2.14 14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제부수, 변鼻, 鼾
가지런할 제부수, 몸齊, 齋(신자체), (간화자)

2.15 15획

부수이름훈음형태해당 한자비고
제부수, 변, 발齒, 齡, 齧(신자체), 齿(간화자)

2.16 16획

부수읽기형태해당 한자비고
제부수龍, 龕, 𪚥(신자체), (간화자)
거북#s-1 제부수龜, 龞(신자체), (간화자)

2.17 17획

부수읽기형태해당 한자비고
피리#s-1 제부수龠, 龡, 龥
  1. 획순으로 따지면 -1획이 되어야 하지만 그런 거 없다.
  2. 休의 人, 話의 言처럼 부수가 글자 왼쪽에 위치한 것
  3. 劍의 刀처럼 부수가 글자 오른쪽에 위치한것
  4. 符의 竹처럼 부수가 글자 위에 위치한 것
  5. 熱의 火, 恩의 心처럼 부수가 글자 아래에 있는 것.
  6. 廣의 广, 氣의 气처럼 좌상단 혹은 우상단을 감싸는 것.
  7. 道의 辵, 颱의 風, 越의 走, 建의 廴처럼 좌하단을 감싸는 것.
  8. 圍의 口, 問의 門 처럼 글자를 에둘러 감싸는 것
  9. 글자 자체가 부수인 것. 一, 至, 龍 등. 일단 부수 그 자체여야 하고, 독립된 글자로 쓰일 수 있어야 여기에 해당한다.
  10. 이는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예서로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가짜동족어 비스무리하게 된 것이다(...).
  11. 먹는 쌀이 아니라, 동사 '싸다'의 관형사형이다.
  12. 鬥의 속자
  13. 無와 같은 글자다.
  14. 일부 한자에서 모양자로 사용
  15. 乞과 같은 글자다.
  16. 속자
  17. '개견변'이라 하지 않고 뜬금없이 '사슴록'이 들어가 있는데 그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좌변으로 쓰일 때 모양이 사슴뿔과 비슷해서라는 설이 있긴 하다.#
  18. 변의 경우 점이 빠진 王으로 바뀐다.
  19. 원래는 한자의 음에서 따온 착받침이었는데, 진짜 책받침과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하다 와전된 것이다.
  20. 隶와 동자
  21. 고대 종묘제사에 쓰던 향주로 울금의 향과 옻기장으로 빚는다.
  22. 북 칠 고, 鼓와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