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수군의 수영 | ||||||
독립수영 | 삼도수군통제영 휘하 수영 | |||||
경기수영 | 황해수영 | 충청수영 | 경상좌수영 | 경상우수영 | 전라좌수영 | 전라우수영 |
조선 수군 중 규모가 가장 큰 수영이어서, 임진왜란이후 경상우수사가 겸직하여 삼도수군통제사를 맡게 되었다. 이는 조선 수군의 주 임무가 일본의 왜구 및 정규군의 침입을 막는 것이었고 경상우수영이 이 임무의 최전선이었기 때문이었다. 법제상으로 경상우수영은 약 75~100여 척의 전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전라좌수영과 전라 우수영의 함선을 합친 수(약 5~60여척)보다 더 많다.
원균이 전라병사로 가게되자, 임진왜란의 휴전 협정 기간 동안 권준이 임명됐다가, 원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이후 사직하였다. 이후 배설이 임명되었다가 명량 해전 직전 도주하자, 해전 이후 무의공 이순신이 후임 경상우수사로 임명된다.
임진왜란 이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른 경상우수영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신증동국여지승람 편찬 시기의 진포 위치로 임진왜란 시기와 동일하지 않다)
11관(창원(昌原)ㆍ진주(晉州)ㆍ김해(金海)ㆍ하동(河東)ㆍ거제(巨濟)ㆍ고성(固城)ㆍ곤양(昆陽)ㆍ남해(南海)ㆍ웅천(熊川)ㆍ진해(鎭海)ㆍ사천(泗川))
웅천현 : 제포진-첨사영, 안골포-만호
고성현 : 사량-만호, 당포-만호, 가배량수-권관, 소을비포수-권관
거제현 : 경상우수영-수사, 영등포-만호, 옥포-만호, 조라포-만호, 지세포-만호, 율포보-권관
남해현 : 평산포-만호, 미조항진-첨사, 곡포보-권관, 상주포보- 권관
진주목 : 적량-만호, 삼천진-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