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젬바둑 닉네임 | 3586 |
小林光一(1952년 9월 10일 ~ ). 일본의 프로바둑기사. 콩라인
실리를 굉장히 좋아해 3선이고 2선이고 마다하지 않고 실리를 챙기는 바둑을 둬 그와 정반대의 기풍인 다케미야 마사키로부터 '지하철 바둑', "3의 3에 두면 바둑돌이 판 바깥으로 떨어질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 현대에도 종종 쓰이는 포석인 고바야시류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사위는 조치훈이 "빨리 사라져 줬으면 좋겠다"고 말한 장쉬 九단, 문하생은 2005~07년 천원전을 3연패한 코노 린(河野臨) 九단 등.
조치훈의 라이벌로, 위에서 말했듯 실리를 챙기고 소름끼칠 정도의 냉정함으로 상대의 실수를 정확히 응징해 가면서 승리를 낚아채는 기풍이다. 조치훈의 바둑을 감성적이라고 한다면[1] 고바야시의 바둑은 이성적이었다.
많은 대회에서 우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치훈 때문에 2인자의 이미지가 강하다. 통산 우승(59-74), 7대 기전 우승(35-42) 횟수가 뒤지고 7대 기전 결승에서 조치훈과 10번 만나 2승 8패로 밀렸기 때문이다.
연도 | 기전명 | 결과 | 비고 |
1982 | 혼인보전 | 조치훈 4-2 고바야시 | |
1985 | 명인전 | 고바야시 4-3 조치훈 | |
1986 | 기성(棋聖)전 | 고바야시 4-2 조치훈 | 휠체어 대국 |
1987 | 천원전 | 조치훈 3-2 고바야시 | 조치훈 그랜드 슬램 달성 |
1990 | 혼인보전 | 조치훈 4-3 고바야시 | |
1991 | 혼인보전 | 조치훈 4-2 고바야시 | |
1992 | 혼인보전 | 조치훈 4-3 고바야시 | |
1994 | 기성(棋聖)전 | 조치훈 4-2 고바야시 | |
1997 | 명인전 | 조치훈 4-2 고바야시 | |
1999 | 기성(棋聖)전 | 조치훈 4-2 고바야시 |
특히 1990~92년 혼인보전은 3-1, 2-0, 3-0으로 앞서다가 역전패해 기성(棋聖)-명인-혼인보 대삼관을 달성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고바야시는 "3년간 대삼관의 찬스가 7번 있었는데, 그 7번 모두 조치훈에게 저지당했다."고 말했다. 서로 만날 때마다 실속은 조치훈이 다 챙겼는데 라이벌이라고 해야 하나? 하긴 조훈현과 서봉수도 서로 라이벌이었지만 실속은 조훈현이 대부분 다 챙겼다 다만 결정적 상황에서 자주 무너졌을 뿐 상대전적에서도 비등하며 커리어에서도 그렇게까지 크게 밀리지는 않는다. 서봉수가 조훈현에게 상대전적에서 압도당하고 전관왕을 내어줬던 것과 비교하자면 둘의 격차는 미세하다고 볼 수 있다.
고바야시의 전성기는 1984~94년의 약 10년으로 기성(棋聖)전 8연패, 명인전 7연패 포함 8회 우승, 천원전 2연패, 기성(碁聖)전 6연패, 십단전 3연패 등의 성적을 거두며 명예 기성(棋聖, 碁聖), 명인 자격을 얻었다. 하지만 최초의 명예 명인 자격은 1980~84년 5연패한 조치훈이 가져갔다. 역시 콩라인
1992년 왕좌전에서 후지사와 슈코에게 도전했으나 2-3으로 패배, 후지사와가 사상 최고령 7대 타이틀 방어 기록을 67세로 경신했다.
2015년 9월, 조치훈과 명인전 40주년 기념 대국을 벌일 예정이다. 두 사람의 맞대결은 2011년 마스터즈컵 결승 이후 4년만으로, 당시 조치훈이 승리하며 고바야시와의 상대 전적에서 66승 63패를 기록했다.- ↑ 실제로 조치훈은 지면 울면서 돌아가거나,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면 '나의 바둑은 끝났어'라면서 울며 탄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