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永根 (1853~1923)
1 소개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개화파 지식인. 상당히 골 때리는 생을 살다 간 인물이다.(…)
2 연혁
우선 민씨 일가와 엮여 있는 인물로 고종과 명성황후밑에서 일하였는데 백성들에게 좋은 관리는 절대 아니었고, 오히려 백성들의 고혈이나 빠는 탐관오리였다.
이전에도 동학농민운동 시기 전봉준은 격서에서 고영근과 민영준, 민영환을 탐관오리로 지목했었다. 전봉준 판결문과 공초기록문 동명 이인이 아니냐는 의문도 있는데, 네이버 백과사전의 항목을 보아도, 고종과 명성황후의 눈에 들어서 고속승진을 했다는걸 봐도 확실히 그 사람이 맞다. 함경매광감리, 경상좌도병마절도사, 중추원의관등, 엄청나게 해먹은 인물이었다.
그리고 관료의 입장으로 황국협회에 가담하였고 다시 독립협회로 이동하여서 활동하였다[1]. 1898년 11월 고영근은 독립협회 부회장, 만민공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관민공동회의 헌의육조가 그의 이름으로 나왔다. 그래서 독립협회 몫의 중추원 의원 17인중 한명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바로 그 중추원 병크로 독립협회는 개발살이 났고, 고영근은 독립협회의 재건을 노렸다. 그 과정에서 반대파 대신들을 암살하려다가 실패하였고 일본으로 망명하게 된다[2].
그리고 일본에서 다시 박영효, 안경수 등 당시 대한제국 정부에게 대표적으로 역적취급 받던 이들과 함께 독렵협회의 복설을 노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 와중에 윤호정을 통해서 역시 일본에 있던 우범선이 을미사변의 일본측 협력자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때문에 우범선을 죽이기 위해 일부러 접근해서 친하게 지내다가, 기회를 봐서 살해해버렸다. 우범선을 죽인 직후 경찰에 자수, 일본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고종이 이토 히로부미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사면을 요청하는 등, 외교적인 문제로 비화되어 결국 징역 5년으로 감형, 복역 후 조선으로 돌아왔다.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의 능참봉으로 재직했고, 1910년 한일병탄 후에는 일제가 사여한 모든 관작을 사양하고 계속 능참봉의 일을 계속했다. 고종 사후, 이왕가로 격하된 조선왕조에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된 “대한제국 황제”라고 쓰인 비석을 세웠다는 이유로 조선총독부에 의해 파직되고, 이듬해 사망했다.
3 도대체 어떠한 사람인가?
현대에 들어서는 명성황후의 죽음에 보복살해를 했다고 지나치게 미화된 인물이다.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았다는 점에서 충신으로 볼 수도 있고, 독립협회 부회장 겸 만민공동회 회장을 지냈다는 점에서 개화파 지식으로 볼 수도 있는, 완전히 모순적인 인물이다.
단적으로 민씨 척족에서 활동한 탐관오리로만 이해를 하면, 갑자기 독립협회에 가담하여서 개화파 지식인으로 활동한 것을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우범선 살해건도 마찬가지이다. 당장 고영근 본인은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 우범선을 죽였다고 주장을 하였으며, 조선에 보낸 글에서도 이를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걸 그대로 믿어주기가 상당히 껄끄럽다.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겠다는 마음과 조선왕조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기에는 독립협회 활동이나 일본 망명 시기의 활동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황현이 기록한 매천야록에서는 홍종우가 김옥균을 암살하여 고종의 신임을 받은 것처럼, 우범선을 암살하여서 일본 망명이라는 자신의 처지를 타파하려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모순을 뚫고 이 인물의 일생을 이해한다면 상당히 비판적인 결론이 나오기 쉽다. 본래 민씨 일가에서 일하다가 때를 잘 만나서 승진했던 고영근은 시기를 보고 독립협회와 친일로 말을 갈아탔지만 실패하였고, 이후 황현의 말처럼 일본 망명 시기를 타개하기 위해서 우범선을 암살하여서 다시 고종의 아래로 들어갔다라는 결론이 나오는 것이다. 이 해석에서 고영근은 대단히 이해타산에 밝은 인물이 된다. 단점은 마지막 홍릉 능참봉 시기의 일화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는 호의적으로 해석해서, 본래 민씨일족에서 은혜를 입었기 때문에 명성황후의 심복이었고, 그래서 명성황후가 죽은 다음에는 일시적으로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서 개화파 지식인으로도 활동을 하였지만 일본 망명 이후에 우범선이 행각을 알고는 본래의 충성심이 되살아나서 행동하였다는 것이다. 이 경우의 고영근은 대단히 충동적인 인물이 된다. 이 경우는 황국협회에서 독립협회로 넘어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위의 가정들은 어디까지나 심증이고,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은 고영근, 독립협회에서 만민공동회를 이끌었던 고영근이라는 모순된 전개를 확실하게 정리한 것은 부족하다.
결론은 하여간 참 희한한 인물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