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가

공무도하(公無渡河): 그대여 그 물을 건너지 말아다오

공경도하(公竟渡河): 그대는 그예[1] 물을 건너시네
타하이사(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당내공하(當奈公何): 이제 그대를 어이할꼬

公無渡河歌.

고조선 시대에 창작되어 기록상 전해지는 한국의 가장 오래된 시로, 공후인(箜篌引)이라고도 한다. 저자는 백수광부(白首狂夫)[2]의 아내이다.

임이 물을 건너는 것을 만류함.
임이 물을 건넘.
임이 물에 빠져 죽음.
임을 잃은 화자의 슬픔과 체념

위와 같은 기승전결의 구조를 띠고 있다.

갈래고대 가요, 한역 시가, 서정시
성격서정적, 애상적, 체념적
형식4언 4구체
주제임을 여읜 슬픔
의의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작품임.
문헌상으로는 가장 오래 된 서정 시가인데다가 유일하게 전해지는 고조선의 시라 국문학적 가치가 매우 높음.[3]
슬픔, 체념, 안타까움, 원형적 심상을 지닌 소재로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한을 노래함.

공후인은 중국 진(晋)나라 시대 사람 최표(崔豹)가 지은 <고금주(古今注)>와 조선 후기 한치윤의 <해동역사> 등에 수록되어 있다.

고조선의 진졸(津卒, 각 군사적 요충지에 속한 병졸) 곽리자고(藿里子高)가 어느 날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 가는데, 나루터에서 흰 머리를 풀어헤친 한 남자(백수광부)가 술병을 들고 물살을 헤치며 강을 건너가고, 그의 아내가 쫓아가며 그를 말렸다. 그러나, 이 남자는 아내의 말을 듣지 않고 건너다 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아내는 공후(箜篌, 발현악기의 하나)를 가져와 타며 슬피 공무도하(公無渡河)를 지어 불렀는데,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 여옥(麗玉)에게 그가 본 부부의 슬픈 운명을 이야기하니, 여옥이 그 이야기를 듣고는 지은 시이다.

- 최표, <고금주>

고조선의 뱃사공인 곽리자고(藿里子高)가 어느 날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 갔다. 그 때, 흰 머리를 풀어헤친 한 남자(백수광부)가 술병을 들고 물살을 헤치며 강을 건너가고, 그의 아내가 쫓아가며 그를 말렸다. 그러나, 이 남자는 아내의 말을 듣지 않고 건너다 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아내는 공후(箜篌)를 가져와 타며 슬피 공무도하(公無渡河)를 지어 불렀는데, 노래가 끝나자 아내도 남편을 따라 스스로 강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 여옥(麗玉)에게 그가 본 광경과 노래를 들려주니 여옥이 슬퍼하며 공후에 그 소리를 타며 노래하였는데 듣는이 모두 슬퍼하였다.

여옥은 그 노래를 이웃 여자 여용(麗容)에게 주었는데 이로써 널리 전해지게 되었다.
- 한치윤, <해동역사>

<공후인>의 저자와 연대에 관한 이와 같은 전승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시의 내용이 매우 단순한 편이라 아마도 매우 오래된 민요를 시로 옮겼을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한국 역사상 기록으로 전하는 유일한 가장 오래된 시이자, 고조선의 유일한 시라 국문학상으로 가치가 높지만 일각에서는 중국 기록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단순히 고조선의 시라고 하기엔 너무 중국적이라는 지적을 하기도 한다. 곽리자고, 여옥 등 배경 설화의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중국의 한문 뉘앙스가 강해 우리나라의 이름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중국 시가 아닌가라는 의문도 있긴 하다.[4] 다만 열하일기, 해동역사 등에서 한사군낙랑군 조선현, 곽리자고가 조선인임을 밝히는 등 우리나라의 시가임을 계속 밝혀오고 있다.

백수광부와 그의 아내, 그리고 배경설화의 서사에 대한 해석은 매우 분분한데, 보통 문학시간에 배우길 강을 건너는 백수광부는 고조선의 제사장인 무부로 해석한다. 신내림을 받고 황홀경 속에서 신성성을 보여주기 위해 무당이 작두를 타듯 물에 들어갔으나 결국 빠져 죽었다고 볼 수 있다.[5] 정병욱은 백수광부를 디오니소스와 같은 주신(酒神)으로 보고 그의 아내를 님프와 같은 음악의 신으로 보아 신화적인 시가로 보기도 했다. 그러나 시와 배경 설화의 내용이 워낙 단편적이라 이와 같은 해석들은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다. 그런 덕분에 여러가지 해석이 나올 수 있었고 위의 해석 외에도 여러 해석들이 분분하다.

당대의 시인인 이하도 이를 배경으로 시를 읆은 바 있다.

고조선을 다루는 웹툰 본초비담 2부 마지막화는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활용한 결말을 내었고[6], , BGM으로 소리꾼 정하린의 공무도하가를 감상할 수 있었으나 작가가 사고를 쳐서...자세한 사정은 본초비담, 정철항목 참조.

첫 소절이 독립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의 제목의 모티브가 되었다.
김훈 역시 <공무도하>라는 제목의 소설을 쓴 바 있다. 현대를 배경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남아 있는 자들'의 이야기들을 그 특유의 담담한 필치로 서술하고 있다.

디시위키에서는 탈조선의 첫 사례라고 한다.
  1. 기어이
  2. 이름이 아니다. 한자 뜻대로 머리가 하얀 (늙은, 직업이 없는) 미친 기혼자
  3. 단 중국의 시라는 의문도 있다.
  4. 물론 곽리자고나 여옥 등의 이름이 발음을 단순 음차 혹은 뜻을 번역하여 쓴 이름일 가능성도 있다.
  5. 이 때 백수광부가 들고 있는 동이를 술동이로 해석, 황홀경에 들어가기 위해 술을 마셨다는 주장까지 있다
  6. 백수광부가 고조선의 제사장인 무부인 점, 머리가 흰 이유를 알비노로 연결, 광증 역시 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