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고등교육법에 근거하고 교육부에서 관할하는 일반대학과 달리 각각의 과학기술원법[1]이 존재하고 미래창조과학부에서 관할한다.[2] 특수대학으로 분류되며, 수시 지원 횟수 제한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기술발전 및 이공계 인재 양성이 목적인 만큼 연구기반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학비가 저렴하고 장학 혜택이 풍부하다.
현재 4개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한글 자모순)
2 특징
2.1 학술+연구+투자
기본적으로 특수대학들의 특징 및 국립대의 특징, 공과대학의 특징, 이과대학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인 동시에 연구기관이라는 특징도 있어 기관 전반적으로 연구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편이다. 국가 과학 및 공학의 발전 및 인재양성을 위해 국가로 부터 많은 지원(법률적으로나 돈적으로나)을 받는 기관이다보니 입시는 치열한 편이다. 전원 기숙사 생활을 원칙으로 한다.
연구원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초고가의 장비들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 덕에 학부생들도 값비싼 장비들을 만져볼 수 있다. 정부로 부터 막대한 예산을 끌어다 설립하다보니[3] 가능한듯.[4] 포항공과대학교같은 막대한 재력을 갖춘 연구중심대학을 제외하면 대학교에서 과학기술원 수준의 장비를 들여놓는 경우는 많지 않다. 국립대를 세울 때 종합대학으로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며,[5] 사립의 경우 학문양성에 힘쓸 의지가 있는게 아니라면 굳이 비싼 장비를 들일 까닭도 없다.[6]
대한민국의 산업구조 특성상 국가로 부터 재정적으로나 제도적으로나 많은 지원을 받다보니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7] 학사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 등을 개설함과 동시에 우수한 학생과 교수를 빨아들인다.[8] 정부가 과학, 공학의 발전을 위해 운영하는 기관인 만큼 신뢰도가 높은 편이라는 점도 한 몫 한다 볼 수 있다.[9] 실제로 광주과학기술원이나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경우 학부 모집을 시작하자 마자 신생대학 치고는 엄청난 경쟁률을 보여주었다.
2.2 지방공대
공부 못하면 기술 배워야지
정부의 지역균등발전 정책에 인서울 대학교로 넘쳐나는 수도권을 피해, 싼 땅값에 넓은 부지[10][11]를 위해 전원 기숙사 생활 가능한 점을 믿고 과학기술원들은 지방에 설립되는 경우가 많다.[12]
이는 과학기술원이 지역사회에 도움기 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원만 만들고 끝 이라기 보단 근처에 친구들을 데려온다. 대학 자체도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관인데[13] 학생의 수준도 어느 정도 보장되며 돈 잘되는 이공계대학, 그것도 각종 고가장비들도 보유한 대학이다보니 주변에 연구소를 갖춘기업들이나 정출연까지 딸려오니 유치하고 싶어하는 것.[14] 그래서 제 4 과학기술원떡밥이 돌자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3 비슷한 것
3.1 학교가 아닌 연구시설
"과학기술원" 이름만 같을 뿐 위처럼 대학이 아닌 연구시설 같은 곳이다. 과학기술원이란 이름을 쓰며 독자적인 법안을 가지고 있으나 위의 기관과 같은 유형[15]인지는 불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처럼 명백히 "기술 연구원"으로 언급한 연구시설은 많으니 생략한다.
3.2 다른 이름의 유사 교육기관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과학기술원은 아니지만 미래창조과학부 소속 대학이다.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교육부"가 아닌 "과학기술부"의 카이스트를 모델로 과거 "정보통신부"가 설립한 대학... 이었는데 어른의 사정으로 카이스트에 합병되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는 다르다.
- ↑ 특별법이다.
- ↑ 그런데 이런 대학들도 대학알리미에 정보를 공시한다.
- ↑ 설립 당시에는 정부로 부터 많은 돈을 가져다 쓰지만 그 이후에는 꼭 그렇지도 않다. 연구성과를 활용해 예산을 자체적으로 매꾸기도 한다.
- ↑ 심지어 장비를 종종 최신장비로 갈아치우기도 하는데 우수한 연구자를 대량으로... 보유한 만큼 이들의 생산력이 장비교체비를 뛰어 넘기 때문인 것 같다.
- ↑ 특수한 목적을 가지지 않는 이상 국민들에게 다양한 고등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짓기 때문이다.
- ↑ 비슷하게 과학고등학교같은 것도 사립으로 설립하는 경우는 아직 없다.
- ↑ 물론 이공계 학생이나 과학고등학교, 영재학교의 교사는 잘 알고있다.
- ↑ 초기 포항공과대학교를 생각하면 된다.
- ↑ 특수대학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 ↑ KAIST 114만㎡ GIST 63만㎡
- ↑ 별로 안 넓어 보이지만 학생수에 비하면 제법 넓다.
- ↑ 초창기의 한국과학기술원은 서울에 있었으나 대전으로 이전했다.
- ↑ 국립대가 들어서면 학교의 편의시설이 지역주민들에게도 개방되는 경우가 많기에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부유한 국립대가 들어설 경우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것은 당연하다.
- ↑ 자체적으로 연구소를 크게 세우고 초고가 장비들을 굴리면서 연구원을 대량으로 고용할 수 있는 기업들은 대기업말고는 없다고 봐도 된다. 이들은 주변 대학의 도움 없이도 각종 연구를 할 수 있겠지만 상당수는 주변 대학에 연구과제를 주거나 협력연구를 하는 등의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 ↑ 단순히 학부과정을 개설하지 않는 것인지 아예 다른 기관인 것인지
- ↑ 대신 UST 학위과정을 개설하고 있다.